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II. 이론적 고찰
1. 일본의 세대교류 흐름
2. 일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개념 및 특성
3. 일본 주거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
III. 사례조사
1. 조사개요
2. 조사내용
3. 소결
IV. 결 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2023)에 따르면,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는 모두 60대로 진입하였고,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노인 가구 비중은 처음으로 25%를 초과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의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3세대 가족의 감소, 1인 가구의 증가, 가족형태의 다양화 등 가족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와 맞물려 세대갈등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에 따라 세대교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Generation Perception Survey(2024)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3%가 우리 사회의 세대갈등이 매우 심각하거나, 심각한 편이라 응답하였으며,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2024)에서도 세대 간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인식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포용적인 사회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Presidential Committee for National Cohesion, 2023), 고령자의 소외 및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1인가구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지붕세대공감사업, 행복주택 내 고령층의 입주, 세대공존형 주택 조성 등 세대가 공존하는 주거 개념이 점차 등장하고 있다.
세대교류의 흐름과 인구구조의 변화, 고령자에 대한 사회적 흐름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은 2010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 저출생 고령화 문제 해결책으로 ‘다세대(多世代, Multi-Generational Interaction) 교류’ 개념이 등장하였다. 다세대 교류의 필요성은 내각부에서 추진하는 「마을・사람・일 창생 종합전략」에서 언급되었으며, 다세대 교류형 주택은 국토교통성으로부터 ‘100년 생활 환경 개선 모범사업’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세대의 증가와 가족 구조 및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세대 갈등 심화의 해결책으로 세대교류에 주목하였다. 일본의 다세대 교류형 주택 사례를 바탕으로 세대 및 지역 간 교류가 행해지는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 및 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향후 국내 다세대 교류 공간 계획 시 공간 설계와 프로그램 계획, 세대교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일본의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로써,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해 일본의 다세대 교류 정책 및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개념 및 현황, 특성, 커뮤니티 공간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일본 웹사이트를 통해 다세대 교류형 주택 사례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을 파악한다. 셋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 대상의 범위로 사례 대상지는 일본 관동지방이며, 10년 이내(2015년 이후)에 조성된 다세대 교류형 주택 6곳(단지형 3곳, 복합형 3곳)을 선정하였다.
기존의 세대교류 공간 연구는 주로 국내의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 노인복지시설, 지역 커뮤니티 공간 등을 대상으로 한 공간계획, 활성화 방안 연구가 대부분이다. Yang(2019)은 노유자복합시설에서의 세대간 교류를 촉진할 수 있는 공간배치 및 교류공간 계획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Yeom, Ryu, and Kim(2020)은 국내의 세대교류형 주거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의 연구사례와 국내,외의 평면사례를 통해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드는 공간프로그램을 파악하고, 세대 교류형 공간구성을 제안하였다. Song(2021)은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노인의 젠더별 선호요소 차이와 젠더별 세대 교류의 조건을 파악하여 세대 교류를 촉진하며 모든 젠더를 포용하는 커뮤니티 공간 전략을 도출하였다. Chen and Cho(2022)는 세대 간 교류를 증진하는 공공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세대 간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주택 단지 외부 공공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대교류가 일찍이 시작된 일본을 대상으로 하며, 다세대 교류형 주택이라는 새로운 주거유형에 대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II. 이론적 고찰
1. 일본의 세대교류 흐름
세대교류란, 서로 다른 세대가 상호 협력하여 상부상조 하는 것이자 고령자 세대가 습득한 지혜와 예지, 사물에 대한 가치관과 해석을 젊은 세대에게 전해주는 것이다(Jeong, Kim, & Park, 2010). 또한 어린이, 청년, 중년세대, 고령자가 각자 서로가 가지고 있는 지혜, 경험, 기술 등을 나눔으로서 자신을 성장, 발전시키고 자신 주위의 사람들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건전한 지역 만들기를 실천하는 활동으로, 각자가 활동의 주역이 되는 것을 말한다(Baek, 2019).
일본에서 전개된 세대교류 흐름은 Kuroiwa(2018)의 ‘일본의 세대 간 교류 전개’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일본은 1960년대 미국과 같이 고령화, 핵가족화와 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지역 연결의 약화는 세대 간 단절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었다(Yoshizu, 2017). 초기에는 어린이와 고령자 간 교류를 목표로 하는 교육적 활동으로 시작되었고, 타 세대와의 교류가 줄어든 아이들에게 대인관계의 상호성이나 호혜성을 배우도록 하기 위해 이벤트나 행사 등 단기적 프로그램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세대교류가 지속가능한 활동이 되게 하기 위해 유로(幼老)복합시설에서의 ‘유로통합케어’가 시도되었다. 육아, 가족생활, 고령자 생활이라는 각 전문분야를 상호 연관시켜 전체적인 생활방식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의미에서 유로복합시설을 조성해 교류를 도모한 것이다(Ozaki, 2017). 보육원이나 초등학교 등의 어린이시설과 노인데이서비스센터나 양로원 등의 고령자시설이 합병되면서 의도적이고 지속적인 세대교류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교육적 효과, 삶의 보람 증가와 함께 돌봄의 질과 비용 대비 공간의 효율성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 공생형 서비스를 추진하여 지역 복지로서 세대 간 교류 방식이 논의・검토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이후에는 지역지원사업을 통해 고령자가 수혜자이자 지원자임을 강조하며 역할이 부여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역에서 개최되는 체조교실이나 살롱을 노인이 직접 지도 및 운영하거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읽어주는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개호보험제도가 시행되었으나, 재정부담 문제로 요개호 상태가 되지 않는 것, 즉 개호예방을 강화하는 것으로 개정된 데 있다. 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지역포괄지원센터가 조성되었으며 지역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는 고령자를 포함하여 서로에 대한 ‘지지’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12년에는 지역지원사업으로 ‘개호예방・일상생활 지원 종합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지역 전체에서 고령자의 생활을 지원한다’는 것을 컨셉으로 하였다. 2015년 총무성에서는 일본형 CRCC(“생애활약지역”)를 추진하였다. 이는 쇠퇴해진 지방을 살리기 위한 지역, 사람, 일자리 통합전략 정책으로, 고령자는 서비스를 받는 수동형이 아닌 주체가 되어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지역사회(다세대)의 협동을 통해 거주자가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활약하여 남녀노소 관계없이 다세대와 지역공헌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2016년 「마을・사람・일 창생 종합전략」에서는 세대를 초월한 서로 지원을 목표로 하며 소규모 다기능형 거점시설이 지역에 다수 생겨났으며, 프로그램보다는 장소공유를 통한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하였다.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정책 흐름에 근거해 지속가능한 다세대 교류 거점을 조성하였으며, 국토교통성은 2021년부터 현재까지 ‘인생 100년 시대를 지원하는 주거 환경 정비 모델 사업’을 통해 다세대 교류를 지원하는 주거 모델을 발굴 및 지원하고 있다.
2. 일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개념 및 특성
일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은 세대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존재하는 주거환경을 말하며, 노인을 중심으로 청년층과 부부나 아이가 있는 부부, 한부모 가정, 독신자 등 다양한 입장을 가진 폭넓은 세대의 사람들이 같은 장소에서 서로 도와가며 생활하고 있다(Tanimura, 2019). 서비스가 있는 고령자 주택과 일반주택이 혼합되어 있어 건물 또는 단지 내 일상적인 교류가 가능하고, 운영주체 또는 거주자가 기획한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교류를 지속하고 있다.
다세대 교류형 주택은 2000년대 중반 소규모 사업자를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17년 국토교통성의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후 다수 생겨나게 되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및 지자체의 제도로는 국토교통성의 ‘스마트 웰니스 주택 등 추진 모델사업(2009)’, 도쿄도의 ‘일반주택과 결합된 서비스가 있는 고령자형 주택정비사업(2014)’, 요코하마시의 ‘요코하마 다세대・지역교류형 주택 인정 제도(2012)’ 등이 있다(Katagiri, 2018). 공급유형은 공공 및 민간임대와 공유지, 시유지를 활용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있다. 주택유형으로는 서비스형 고령자 주택이나 노인홈, 보육원, 학생 기숙사, 장애인 주택, 데이서비스, 상업시설 등 특정 세대 전용 거주공간과 일반임대주택, 커뮤니티・상업공간이 동일한 건물 안에 있는 복합형, 앞서 언급한 특정 세대 전용 거주공간과 일반임대주택, 커뮤니티・상업공간이 복합 또는 개별 건물로서 한 부지 내에 있는 단지형, 개별주호를 갖되 주방이나 화장실, 거실 등 공용공간을 공유하는 컬렉티브하우스형 등 사업 주체나 교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운영방식은 거주자에게 맡기는 자주형, 관리주체가 있는 경우 관리조직이 주택 내 상주하며 상시 관리하는 매개형과 전문가나 지역민, 관계자 등이 포함된 공동체를 구성하는 협의체형으로 구분되며 , 세 유형 모두 주민간이나 지역과의 교류 이벤트, 고령자의 생활지 원 등을 협의・운영하는 구조이다. 교류대상은 핵심 거주자인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하며, 지역재생, 마을 만들기 차원에서 추진됨에 따라 지역민(전 세대)까지 확대되어 있다(Suzuki, 2021).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ulti-Generational Interaction Housing
Reorganization of Katagiri(2018), Suzuki(2021)
3. 일본 주거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
일본 주거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요코하마시의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of Multi-Generational and Regional Interaction Type Housing(2016)에 제시된 커뮤니티 공간과 일본 다세대 교류센터의 커뮤니티 공간 자료, 관련 선행연구 Katagiri(2018), Lee&Lee(2016), Lee(2021)를 바탕으로 공간의 기능에 따른 유형을 정리하였다. 요코하마시는 입주자끼리 주변 지역 주민이 교류할 수 있는 스페이스, 개호・의료・보육시설, 식료품, 상점 등 일상생활을 지지하는 서비스 공간 확보를 다세대・지역교류형 주택의 인정 요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Katagiri(2018)에서 다세대 거주형 주택 사례의 교류 시설로는 공유 다이닝, 키즈 스페이스, 도서관, 공유주방, 식당, 실내 홀, 다목적 집회실, 오락실, 담화실, 야외 광장 및 정원, 옥상정원, 대채원, 온천 및 온욕장, 스포츠 시설이 있다. Lee(2021)는 커뮤니티공간을 주민교류공간, 체험 및 교육공간, 휴양공간, 건강증진공간, 생활편의공간으로 분류하고 있다. Lee&Lee(2016)은 일본 커뮤니티센터의 공간을 교육・학습공간, 정보・교류공간, 문화・집회공간, 서비스・관리공간으로 분류하고 있다. 위의 연구에서 제시된 커뮤니티 공간 유형 및 시설 분류를 바탕으로, 유사한 성격의 공간들을 재분류 하여 아래와 같이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을 정리하였다<Table 2>.
Table 2.
Types of Community Spaces in Japanese Multi-Generational Interaction Housing
III. 사례조사
1. 조사개요
본 연구의 사례조사 대상지는 일본 관동지방이며, 다세대・지역 교류형 주택 조성사업(정비 및 인정)을 실시한 요코하마시의 사례를 포함하여 10년 이내(2014년 이후) 조성된 다세대 교류형 주택 사례 6곳(복합형 3곳, 단지형 3곳)이다. 다세대 교류형 주택이 가장 많이 조성된 지역 및 유형을 선정하였으며(Katagiri, 2018), ‘다세대 교류형 주택’, ‘다세대 교류형 주택 정비’를 키워드로 Google 검색을 통해 추출된 사례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해당 사례의 홈페이지 및 웹사이트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사례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별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였다.
2. 조사내용
본 연구의 조사내용은 <Table 3>, <Table 4>, <Table 5>, <Table 6>, <Table 7>, <Table 8>과 같다.
1) Case S
Case S는 시유지를 대여해 민간 사업자가 정비・운영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요코하마 다세대・지역 교류형 주택 제 1호 모델이다. 거주자는 노인과 육아세대가 중심이며, 노인세대는 건강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거주하고 있는 노인세대 중 자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독립형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요간호 2, 요간호 1, 요지원 1・2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근 보육원, 초・중학교와 연계한 교류 거점의 역할을 하며 다세대와 함께 공생하는 주거유형이다. 공간의 운영은 운영주체 측에서 코디네이터를 배치해 거주자간, 지역과의 교류 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하며 커뮤니티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지역민이 포함된 운영 협의회를 통해 이용 계획 작성이나 이용료 설정 등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운영하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모두 1층에 위치한다. 교류공간은 지역교류공간, 공동거실이 있고, 생활편의공간은 공동식당, 편의점, 학원, 약국, 클리닉이 있다. 모두 1층에 배치되어 있고, 출입구가 사면에 위치해 있어 접근이 용이하며, 편의점, 학원, 약국, 클리닉은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역교류공간과 공동거실은 함께 이용이 가능하며 지역민에게 개방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거주자나 지역민의 이용현황을 고려해 이들의 활동을 지원한다. 육아모임이나 요가교실 등 여성을 위한 활동이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작품전시, 라디오 체조, 노인들의 차담회, 종이연극이나 보육원과의 교류회, 서예교실 등 다양한 문화예술활동과 세대교류 이벤트가 진행된다. 또한 아이가 있는 부모가 쇼핑을 가게 되면 노인이나 코디네이터가 아이를 돌봐주는 대신 필요한 물건을 구매해주는 등의 교류도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식당에서는 근처 보육원의 아이들과 공동식사를 하는 등의 정기적 교류가 이루어진다.
Table 3.
Case S
![]() | ![]() | |||||
Housing Type | Complex Type | Location | Kanagawa | |||
Year | 2015 | Scale | 6th floor | |||
Supply Type | Public Support Private Lease | |||||
Operator | Gakyon Cocopan Co., Ltd.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Consultative Group Type | |||||
Residence Type (Room) | Senior(70, Nursing Care/ Self-Reliant Type), General rental(29) | |||||
Environment | Nursery School,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Local Interaction Space, Common Living Room |
Parentaling Groups, Yoga Class, Art Ex- hibitions, Radio Ex- ercises, Tea Party, Paper Plays, Learn- ing Class, etc. | ||||
Education/ Learning | - | - | ||||
Living Convenience | Common Restaurant | Concerts, Seasonal Events, Communal Meals | ||||
Convenience Store, Academy, Pharmacy, Clinic | - | |||||
Rest | - | - | ||||
![]() | ![]() | |||||
Local Interaction Space* | Common Restaurant** |
2) Case H
Case H는 후지사와시의 관민 일체의 공동 프로젝트이다. 철거된 후지사와 공장부지 활용에 대한 논의 결과, 지역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시설을 유치하고 새로운 거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거주자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세대이며, 1층에 위치한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지역민들과 연결된다. 주변에는 건강・복지・교육시설인 웰니스 스퀘어, 공원, 상업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모두 1층에 위치한다. 교류공간인 지역교류홀은 건물 입구 홀에 위치해 있고 보육원, 학원과 내부에서 연결되어 동선상 인사, 마주침과 같은 자연스러운 교류가 나타나며,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시・청각을 통한 간접적 교류가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거주자뿐만 아니라 지역민에게 개방되어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교류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교육・학습공간으로 세미나홀에서는 건강 등 주제별 워크숍이 진행되거나 행사장소로 사용되며, 휴식공간인 광장에서는 정기적으로 아침시장과 문화제가 개최된다. 생활편의시설에는 탁아소, 보육원, 학원과 같이 아동・청소년 세대가 이용하는 공간들이 있어 교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접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Table 4.
Case H
![]() | ![]() | ||||
Housing Type | Hybrid Type | Location | Kanagawa | ||
Year | 2016 | Scale | 4th floor | ||
Supply Type | Public Support Private Lease | ||||
Operator | Gakyon Cocopan Co., Ltd.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 ||||
Residence Type (Room) | Serviced Senior House (70) | ||||
Environment | Wellness Square (Health, Welfare, Education), Park, Animal Facility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Regional Interaction Hall |
Seasonal Events, Multi-Generational Interaction Events (Game Trans- mission, Singing, Puppet Shows, Choral Concerts, etc.), Wellness Marche, Traffic Safety Events | |||
Education/Learning | Seminar Hall |
Health Education/ Coun- seling, Event Workshop/ Seminar | |||
Living Convenience |
Daycare Center, Nursery School, Pharmacy, Clinic, Academy | - | |||
Rest | Plaza | Morning Market, Cultural Festival | |||
![]() | ![]() | ||||
Regional Interaction Hall* | Seminar Hall** |
3) Case R
Case R은 시유지인 구 호도가야현 세무소 터를 활용하여 요코하마시 주택공급공사가 공급한 주거 커뮤니티 복합시설로 시설의 컨셉은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마을 만들기 실현이다. 주변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보육원, 종합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공간의 운영은 지역 내 자치회와 시민활동단체로 구성된 ‘관리 운영 협의회’를 중심으로 자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 활동에 있어서 정보연계와 공유 ・새로운 활동의 창출을 목표로 반상회와 정례회의나 자선이벤트 등이 개최되고 있으며, 현재는 협의회 참여단체에 한하여 공간을 사용하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1-2층에 위치한다. 1층에 위치한 지역교류공간은 버스터미널 공개공지와 면해있어 유리문 개방 시 공간이 확장되며 지역 주민들에 의한 전시나 체험 등 이벤트 공간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생활편의시설로는 보육소, 지역케어플라자, 클리닉, 약국, 카페, 부동산이 있다. 2층에 위치한 지역케어플라자는 다목적 공간으로 조성되어 축제 및 이벤트 장소로 사용되며 체험프로그램, 주민들이 참여하는 악기연주회, 노인세대를 위한 건강상담 및 재택의료강연, 프로그램 작품전 등이 운영되고 있다.
Table 5.
Case R
![]() | ![]() | |||||
Housing Type | Hybrid Type | Location | Hodogaya | |||
Year | 2023 | Scale | 7th Floor | |||
Supply Type | Public Lease | |||||
Operator | Yokohama City Housing Supply Corporation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 |||||
Residence Type(Room) | Senior(13), General rental(11) | |||||
Environment | Bus Terminal,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Nursery School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Local Interaction Space |
Picture Book Reading, Play, Disaster Prevention Quiz, History Exhibition, Village Workshop, Child ren’s Summer Festival, Halloween Event | ||||
Education/Learning | - | - | ||||
Living Convenience | Daycare Center | Smoke Evacuation Exper ience | ||||
Local care Plaza |
Soba Making Experience, Resident Concert, History Lecture, Health Consul tation, At-Home Medical Lecture, Art Exhibition | |||||
Clinic, Cafe, Pharmacy | - | |||||
Rest | Rooftop Plaza | - | ||||
Plaza | Live concert, morning market | |||||
![]() | ![]() | |||||
Local Interaction Space* | Plaza** |
4) Case N
Case N은 고령자와 다른 거주자와의 교류를 구조화 하고 있는 임대주택으로, 한 동은 주거용이고 한 동은 카페, 방문 개호 센터 사무실, 재택 방문 진료소가 있어 커뮤니티 및 지역 의료거점의 역할을 한다. 주거동 1층의 노인세대 입주자는 돌봄 정도에 상관없이 거주가 가능하고, 2층의 일반주택 거주자는 임대료를 절반만 내는 대신 1층의 고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 역할은 매일 아침 외출 전 인사를 하는 것과 달에 한번 거주자를 모아 다과회를 여는 것이다. 학교가 주변에 있어 주로 청소년, 청년이 일반주택에 입주하고 노인에게는 카페 소일거리, 세탁 등 간단한 일을 제공한다. 집 내부는 IoT기술을 접목한 것이 특징이다. 우편함 위에 얼굴인증 카메라, 화장실 덕트의 진동 센서, 조명 등이 있어 일정기간 실내에서의 활동량과 외출 빈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운영자 측으로 통지가 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1-2층에 위치한다. 교류공간인 카페에서는 다과회, 요리교실, 상담, 취미생활 공유 등 소규모의 일상형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카페 앞 주차공간을 활용해 거주자와 지역민을 위한 플리마켓, 음악공연과 같은 이벤트도 진행된다. 2층은 계단과 소규모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젊은세대가 사는 일반주택과 고령자가 이용하는 클리닉, 재택개호센터가 양쪽에 위치해 있어 동선상 자연스러운 교류가 가능하다.
Table 6.
Case N
![]() | ![]() | ||||||
Housing Type | Complex Type | Location | Kanagawa | ||||
Year | 2021 | Scale | 2 Building, 2nd floor | ||||
Supply Type | Private rentalal | ||||||
Operator | Nosibi Co., Ltd.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Self-Propelled Type | ||||||
Residence Type (Room) | Senior(4), General Rental(2), Social Workers(2) | ||||||
Environment | High school, College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Cafe |
Cooking Class, Life Counseling, Sharing Hobbies, Tea Party, Local Flea Market, Performance | |||||
Education/Learning | - | - | |||||
Living Convenience |
Coin Laundry Room, Clinic, Home Care Center | - | |||||
Rest | Small Rest Area | - | |||||
![]() | ![]() | ||||||
Cafe* | Coin Laundry Room** |
5) Case K
Case K는 JR동일본 그룹의 사택 터였으나, 다세대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마을만들기를 목표로 조성되었으며, 일본형 CCRC의 프로토타입이 되도록 시설 운영을 실시하고 있다. 다세대 교류의 거리를 컨셉으로 임대주택, 유료노인홈, 상업시설, 보육원이 한 부지 내에 있다. 거주자는 돌봄 정도가 낮은 요지원 1부터 5까지의 노인세대를 포함하며 임대주택에는 주로 육아세대가 많이 살고 있다. 공간의 운영은 운영주체의 전문가가 기획한 이벤트가 한 달에 한번씩 진행되고, 반상회가 중심이 되어 거주자들과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기획하고 있다. 주변환경으로는 초등학교, 동물원이 있어 이와 연계한 교류 프로그램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모두 1층에 위치한다. 교류공간인 지역교류실은 유료노인홈 1층에 있고 테라스와 근접하게 위치해 있어 거주 노인과의 일상적 교류와 시・청각적 간접교류에 용이하다. 교육・학습공간인 커뮤니티 라운지는 일반 임대주택 1층에 위치해 있고, 주로 거주자들을 위한 홈 파티, 서클활동, 워크숍이 진행된다. 생활편의공간은 단지 입구에 위치한 별도의 상가동으로, 체조교실, 농산물 판매점, 클리닉,학원, 체육관 등 건강, 교육, 문화 등 생활과 밀접한 상점들이 입점해 있으며 자체적 워크숍이나 현지 NPO와 제휴한 워크숍이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휴식공간은 다양한 형태의 광장・테라스(잔디, 놀이기구, 무대, 텃밭)가 4개의 시설을 이어주고 있으며, 이는 거주자, 지역민들의 일상적 교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계획되었다. 시설 내 보육원에서는 프로그램 보다는 우연한 마주침 등의 일상적 교류가 나타나며 운동회, 발표회, 탄생회와 같은 이벤트가 있을 경우 노인을 초대하고 있다. 시설 주변으로는 보육원, 유치원, 초등학교가 있어 육아세대를 대상으로 다양한 워크숍, 이벤트, 단체 활동 등을 제공한다.
Table 7.
Case K
![]() | ![]() | ||||||
Housing Type 700 | Complex Type | Location | Kanagawa | ||||
Year | 2018 | Scale | 4 Building 5th Floor | ||||
Supply Type | Publicly Supported Private rentalal | ||||||
Operator | JR East Japan Urban Development Co., Ltd., East Japan Railway Company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Self-Propelled Type | ||||||
Residence Type (Room) | Paid Senior Home (80), General Rental (60) | ||||||
Environment | Middle School, Nursery School, Kindergarten, Park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Regional Interaction Room | Art Classes, Work shops | |||||
Education/Learning | Community Lounge | Home Party, Cir cle Activities, Wor kshops | |||||
Living Convenience |
Gymnastics Classes, Agricultural Products Stores, Clinics, Academies, Gymn-asiums, After-School Education Centers, etc. | Own Workshop or NPO- Affiliated Workshop | |||||
Rest |
Terrace, Square, Outdoor Stage |
Spring and Fall Stre et Festivals (Mar ket, Song and Dance Pres entations), Children’s Play Events, Bon Odori Comp etition | |||||
Garden |
Planting a Vegetable Garden, Making a Vegetable Garden Sign | ||||||
![]() | ![]() | ||||||
Outdoor Stage* | Regional Interaction Room** |
6) Case M
Case M은 2017년 미나미마키가하라역 주변 지역을 지역 활동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역과 마을을 분리하는 4 m의 단차를 이용하여 마을 활동거점이 되는 테라스형 광장을 조성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가족, 청년, 노년층을 위한 다세대 공존 주거환경 및 지역 커뮤니티 시설을 조성하였다. 젊은층과 육아세대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부모와 자녀가 가까이에 살며 서로 돕는 라이프스타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고령자, 젊은세대를 대상으로 지역 문제에 대한 의견조사를 진행하여 시설 계획에 반영하였다. 고령자용 주택의 경우 생활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며 돌봄정도가 높지 않은 자립형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임대주택 1층에는 보육원, 학원이 위치해 있다.
커뮤니티 공간은 모두 1층에 위치한다. 교류공간은 다세대교류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지역관리거점 미나미마키 연구소가 있다. 이 연구소는 요코하마시, 소테츠부동산, 요코하마 국립대학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구조를 갖고 있으며, 요코하마의 크리에이터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운영 위원회를 구성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있다. 다세대교류의 장소로 광장과 연구소 공간을 활용하고 주변 기관과 연계한 이벤트와 워크숍을 통해 다세대 교류를 도모하고 있다. 연구소 앞에 위치한 트라이스탠드 부스는 거주자와 지역민이 1일 사장이 되어 판매나 퍼포먼스, 갤러리나 교실, 상담소 등을 운영해보는 실험공간이다. 교육・학습공간에는 학원이 있고, 생활편의시설에는 보육원, 상업 및 의료시설, 노인지원시설이 있다. 휴식공간인 광장에서는 미나마키 연구소에서 계획된 프로그램 진행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 이벤트 중 하나인 ‘미나마키 마르쉐’에서는 아이부터 노인까지 폭넓은 층이 판매자와 방문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영화상영, 연주회 등 다양한 문화예술행사가 진행된다. 또한 각 시설에 방재 설비를 정비하고, 방재 부스 행사를 개최하는 등 방재활동을 통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Table 8.
Case M
![]() | ![]() | |||||
Housing Type | Complex Type | Location | Kanagawa | |||
Year | 2017 | Scale | 5 Building 6th Floor | |||
Supply Type | Public Support Private rentalal, Sale | |||||
Operator | Sotetsu Real Estate Co., Ltd. | |||||
Operating System | Intermediary Type | |||||
Residence Type (Room) | Senior (57, Service Type), General Rental (65), General Sale(105) | |||||
Environment | Minamimakigahara Station, Natural Park | |||||
![]() | ||||||
Space Type | Space Composition | Program | ||||
Interaction |
Minamaki Laboratory |
Minamaki’s Bookshelf, Try-Stand (Sales and Experience), Exhibi tion, Gymnastics Class, Work Exhibition, Children’s Day Work shop, Perform ance Sharing Session | ||||
Education/Learning | Academy | - | ||||
Living Convenience |
Daycare Centers, Commercial and Medical Facilities, Senior Support Facilities (Day Service, Visiting Nursing Office) | - | ||||
Rest | Plaza |
Minamaki Marche (Film Screenings, Concerts, Product Sales and Workshops), Children’s Stores and Playgrounds, Local Festivals, Disas ter Prevention events | ||||
![]() | ![]() | |||||
Plaza* | Minamaki Laboratory** |
3. 소결
이상 일본 내 다세대 교류형 주택 6곳(복합형 3곳 ,단지형 3곳)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 교류대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9>. 먼저 입지적 환경으로는 인근에 보육원, 어린이집, 학교, 동물원 등이 있어 각 기관과 연계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유동인구가 많은 버스정류장, 지하철역과 접해 있는 경우(Case R, M)도 있어 입지적으로 공간 활성화에 용이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Table 9.
Main Features of Multi-Generational Interaction Housing
복합형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교류로 거주자 및 공간 이용자 간 친밀한 교류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단지형에 비해 폐쇄적일 수 있기 때문에 입구를 사면에 배치(Case S)하여 개방감을 주고, 홀에 핵심기능을 부여하거나 홀을 통한 동선계획(Case H)으로 교류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지역교류공간을 외부공간(공개공지, 광장)과 연계(Case H, R)해 사용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고 자연스러운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단지형은 건물 간 사이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외부 공간 창출이 가능하고, 보다 활동적이고 큰 큐모의 이벤트 및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소규모 사례(Case N)의 경우 외부 휴식공간과 계단을 중심으로 일반 임대주택과 재택개호센터를 마주보게 배치하여 일상적 교류를 유도한다. 거리형 구조(Case K, M)는 거주자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의 보행공간으로 활용되어 거부감 없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진입부 및 저층부에 상가 및 광장, 지역교류공간, 커뮤니티라운지를 배치하고 주변으로 광장, 테라스, 야외무대, 정원을 계획함으로써 교류의 접점을 늘릴 수 있고, 이벤트나 프로그램 진행 시 자연스러운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에 용이하다. 하지만, 프로그램 참여를 위해서는 이동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공간 배치 시 이동이 불편한 고령자를 배려하여 고령자용 주택에 지역교류공간을 배치하거나 1층 커뮤니티 공간의 출입구가 외부공간과 연결되는 개방된 구조(Case N, K)로 이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은 다음과 같다. 교류공간의 핵심 기능은 지역민을 포함한 다세대교류이며, 다목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장소공유를 통한 자연스러운 교류를 유도한다. 또한 커뮤니티 공간의 주 이용자는 주택이라는 공간 특성상 거주자가 중심이 되지만, 프로그램에 따라 외부인에게도 개방하는 정도가 달라진다. 개방성이 가장 높은 광장, 테라스, 정원, 텃밭 등의 외부공간을 비롯해 대부분의 커뮤니티 공간이 지역민에게 개방되어 있고 휴식이나 지역행사 장소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세대교류를 위한 프로그램은 주로 아동, 청소년과 노인 또는 부모와 아이가 참여하며, 계절행사(할로윈, 크리스마스회 등), 놀이전승, 게임, 요리교실, 노래, 콘서트 등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건강 및 문화예술 이벤트로 진행된다. 일부 사례에서는 교통안전, 방재활동을 통한 교류(Case R, M)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프로그램 운영은 대부분 1일 이벤트 또는 단기 프로그램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벤트의 경우 거주자 및 지역민의 참여도나 호응도 또는 운영주체의 기획 의도에 따라 정기 이벤트로 매년, 매달 운영되기도 한다(Case H, N, K).
교육・학습공간은 교류공간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와 연계하여 이용되거나 거주자들을 위한 서클활동, 다과회, 홈파티, 워크샵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생활편의공간은 클리닉과 약국, 고령자 건강지원시설 등 의료시설과 보육원, 탁아소, 학원가 입점해 있어 고령자와 아동・청소년의 일상적 세대교류를 유도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이벤트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거나 상가동에서 자체적 또는 NPO와 제휴를 통해 지역민들에게 다양한 주체의 워크숍을 제공하는 경우(Case K)도 있다. 휴식공간으로는 테라스, 잔디광장, 야외무대, 정원이 있으며, 버스정류장의 공개공지(Case K), 지역의 광장(Case M)과 면해있어 이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그램은 바비큐 파티, 전시 및 연극, 봄・가을 거리축제, 어린이 놀이행사와 같은 중・대규모 축제나 봉오도리 대회와 같은 지역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운영은 대부분 매개형으로, 운영주체 담당자나 코디네이터가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거주자나 지역민의 이용현황을 고려해 이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매개형과 협의체형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관리 및 운영은 전문가가 담당하면서 공간 이용이나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 협의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Case M의 경우 지역의 크리에이터, 대학생이 운영위원이 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있으며, 거주자와 지역민이 1일 사장이 되어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을 운영해보는 실험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는 아이가 있는 부모가 쇼핑을 가게 되면 거주 노인이 아이를 돌봐주는 대신 필요한 물건을 사다주며(Case S) 상호이익을 도모하거나 노인에게 소일거리, 세탁 등 간단한 일을 제공하여 역할을 부여(Case N)하기도 한다. Case N의 경우 일반주택 거주자의 임대료 부담을 낮추는 대신 함께 거주하는 고령자에게 매일 아침 외출 전 인사를 하고 달에 한번 거주자를 모아 다과회를 여는 등 고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부여하며 세대교류를 구조화하고 있다.
IV. 결 론
일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 및 프로그램 사례분석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세대형 교류 주택은 조성 시 입지적 환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학교, 보육원, 공원, 공공시설 등 주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교류의 대상과 공간적 범위를 확장시키고, 지역 내 다양한 공간 자원과 연계함으로써 상생구조를 만들 수 있다.
둘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은 고령자용 임대주택과 일반임대(분양)주택이 결합된 형태이다. 고령자를 위한 주택은 돌봄이 필요한 노인세대부터 자립형 노인까지 다양한 조건을 가진 고령자들이 거주하며, 건강상태에 따라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부터 데이케어, 재택개호 등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일반임대주택에는 육아세대를 비롯한 신혼부부, 청년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환경은 3세대를 수용하는 넓은 주거 공간 없이도 1세대부터 3세대가 공존하며 유연한 교류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이웃으로서 서로의 세대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주택유형의 이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류의 접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특히, 세대교류의 핵심공간인 지역교류공간은 다목적 이용을 통한 장소 공유, 외부 공간과 연계한 공간 확장, 동선 교차를 유도하는 공간 배치, 진입부나 저층부로 개방된 공간 배치 등의 계획을 통해 일상적 교류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 또한 교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성격의 외부 공간을 조성하거나 거리형 구조를 통해 사람들이 계속해서 유입되고 모일 수 있게 하고 이벤트나 프로그램 진행 시 자연스러운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지속적인 다세대 교류를 위해 전문가를 통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지역민의 이용현황을 고려해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거주자 및 지역민을 중심으로 한 협의체를 구성하여 공간 이용이나 프로그램 계획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참여하는 거주자가 아닌 활동하는 지역민으로서 그 역할이 확대될 수 있으며 지역 구성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도해봄으로써 수요자 맞춤형 교류, 효과적인 세대교류의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거주자는 주로 돌봄과 일상생활에서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1-2인가구의 노인세대와 육아세대가 중심이 되기 때문에 클리닉, 약국, 편의점, 보육원, 탁아소, 학원과 같은 생활편의시설이 입점해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환경은 안전하고 독립적인 삶을 지속할 수 있게 하며, 시설의 서비스를 지역민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 교류 거점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대교류의 개념은 서로의 세대를 지지하고 고령자가 지역민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기를 지원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므로 서로의 일상생활을 지원해줄 수 있는 교류활동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으며, 비교적 참여가 저조한 청년과 중장년의 수요를 파악 및 지원함으로써 입주와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문헌과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활동과 교류대상의 구체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다세대 교류형 주택의 커뮤니티공간 유형과 프로그램을 파악해봄으로써 국내에 다세대 교류 개념의 주거공간이 도입될 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