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II. 시선추적에 관한 문헌고찰
1. 주거 분야의 시선추적기법 연구
2. 공간계획 연구에서 시선추적기법의 시각적 관심 적용
III. 연구방법
1. 자극물 이미지선정
2. 조사방법 및 내용
IV. 학인당의 시각적 관심 분석결과
1. 분석 대상자의 배경사항
2. 외관이미지의 시선추적 분석결과
2. 외관이미지의 주관적 관심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전주 한옥마을은 전주를 대표하는 주요 관광지이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23년 1,5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가 1,129만 4,916명 보다 36% 증가하여 역대 최대 인원을 갱신하였다(Kim, 2024). ’16년도 이후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갔으며, 그 중 다시 찾는 관광객 수도 ‘23년 기준 63.7%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당일에만 관광을 하고 돌아가는 것보다 숙박을 하는 관광객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숙박시설 이용도도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전주 한옥마을의 경관을 보존하면서 함께 숙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Jyung, 2023). 관광지에서는 호텔이 주요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지만, 전주한옥마을은 소규모의 개별 관광객의 비중이 높다는 특성과 숙박시설이면서 지역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한옥형태의 게스트 하우스가 활성화 되고 있어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게스트 하우스 사례를 바탕으로 하이브리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연구에서는(Kim et al., 2019) 게스트 하우스의 전통적인 특성이 주로 건물의 외부 공간적 요소에서 나타났으며 “한옥이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특성을 최대한 살려 이용자로 하여금 전통한옥에 머무르는 느낌을 주려는 경우가 많았다”라고 하였다. 한옥 숙박시설은 일반 숙박시설과 달리 조선시대의 기와집이 가지고 있는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호텔과 같은 숙박시설과 차별성이 있어 현대인들에게는 새로운 공간의 체험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와집의 한옥숙박시설 특성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관심으로 다가오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한옥 숙박시설의 지속적 제공을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앞으로 전주 한옥 숙박시설을 이용 가능한 젊은 세대의 관심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지속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옥을 숙박시설로 지속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주 인재고택 학인당 사례를 중심으로 이를 이용할 미래 이용자인 대학생들의 한옥 외관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관심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선의 주목을 받는 학인당 한옥이미지의 요소가 무엇인지, 그 요소는 한옥에 대한 전통성과 호감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이용자의 숙박 의향과도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추후 마케팅 차원에서 한옥을 숙박시설로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공간적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II. 시선추적에 관한 문헌고찰
1. 주거 분야의 시선추적기법 연구
시선추적(Eye-tracking)은 무의식적으로 움직이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그 사람이 어떤 것을 주목하고 주시하는지 그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활용하는 연구방법이며, 일반적으로 눈동자가 특정 영역을 주시할 때에는 정신을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주목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시선추적기법을 사용한다(Lee, Ha, & Byun, 2022). 자극물에 대하여 피험자에게 직접적인 관심을 묻지 않더라도 데이터만으로 피험자의 관심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Ko, Choi, & Kim, 2023)에서 최근 시선추적기법은 주거와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주택 외관이나 출입공간(Lee, Ha, & Byun, 2022; Cho, 2020; Cho, 2016)의 주시특성 연구에서 사용되었고, 전통과 현대주택에 관한 대학생의 관심도를 파악한 연구에도 사용되었다(Lee & Choi, 2023). 다세대・다가구 주택정면의 출입구 외관을 다룬 Lee, Ha, and Byun(2022)는 주시시간과 주시빈도로 주목도를 판단하였고 주시시간과 주시빈도가 높인 환경요인이 높은 주목도를 갖는다고 해석하였으나 높은 주목도를 나타낸 출입구와 범죄 두려움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주목도는 높지 않아도 CCTV표지판 및 건물 앞 도로의 주목도는 일반적 범죄 두려움, 창문의 주목도는 신체범죄의 두려움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Cho(2016)은 빌라 사보아 주택을 대상으로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출입구와 창문에서 주시빈도가 높아 주택의 개구부에 주목함을 밝혔다. 그리고 Cho(2020)는 주택의 층수와 주택 건물의 동수에 따라 형상을 구분한 입면이미지의 주시특성을 파악한 결과, 층수와 동수에 관계없이 개구부 영역(창문, 현관, 천장 등)의 시각적 주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밝혔다. Lee and Choi(2023)은 대학생들의 전통주택과 현대주택의 시선 추적을 분석한 결과, 전통과 현대주택 모두 정면의 중심부 즉, 전통주택은 나무와 지붕, 현대주택은 창문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의식조사에서는 현대와 전통주택 모두 지붕에 관심을 둔 것으로 파악되어 전통주택의 경우 지붕에 시선 주목도와 관심이 있었고 현대주택은 시선 주목도와 관심이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선추적 연구는 주택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방범성을 높이거나 도시경관 형성, 전통성 지속 차원에서 주택 입면 주목도와 관심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주택을 마케팅적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한옥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시선추적기법을 적용하여 미래 이용자의 시선 주목도를 파악한다.
2. 공간계획 연구에서 시선추적기법의 시각적 관심 적용
주거 및 공간계획 관련 분야에서시선추적기술을 활용하면 시선의 행동을 세부적으로 측정하여 선호하거나 관심을 갖는 것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공간환경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 소매 환경에서 환경이 주는 감각 자극이 감정 상태와 고객경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Donovan & Rossiter(1982)의 마케팅적 관점을 기반으로, Huddlestona et al.(2018)는 시선추적 기법을 사용하여 소매점 환경에서의 시각적 관심과 구매를 입증하였다. Kim and Lee(2021)는 어떤 환경적 단서가 시각적 관심을 끌고 감정적 반응에 기여하는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고정물이나 소품과 같은 시각적 상품요소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쾌적하고 매력적인 소매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서비스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Berni et al.(2022) 연구에서는 시선추적과 질적 인터뷰를 활용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작은 집의 시각적 주의력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밝혀냈다. 디자인의 다감각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초소형 주택의 다양한 시선 요소를 인식하고 식별했으며 이는 10개의 관심영역(AOI)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관심영역의 시선 체류시간은 초소형 주택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평가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주택의 품질, 창의성 및 적합성에 대한 의미를 특징으로 하는 변수로 표현되었다. 즉, 이는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시선이 머무는 요소들이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시선추적기술은 관심을 갖는 요소들이 감정과 인식과 관련되므로 마케팅과 공간계획시 디자인의 단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도 전주 한옥숙박시설의 결정이나 디자인 관련 단서를 파악하는 데 시선추적기법을 적용 분석한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학인당의 시각적 관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선추적의 실험방법과 설문조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인 ‘인재고택 학인당’은 한국관광공사 품질인증의 고택스테이(Heritage Stay) 중 전주시 한옥보존지역의 대표한식 건물로서 역사성을 인정받아 민속 문화재로 지정된 곳이다. 전주에는 지정된 고택스테이가 2곳(학인당, 동락원)이 있으나, 당초 개인 주거용을 숙박시설로 활용한 학인당으로 하였다. 전주 한옥의 숙박시설은 주로 개인 주거용이었으므로, 연구결과의 활용성을 고려할 때 학인당으로 하였다.
1. 자극물 이미지선정
시선추적 연구의 자극물 선정은 학인당 공식 홈페이지(https://hagindang.modoo.at/)에 제시된 뷰어에서 3개의 이미지를 추출하였고, 홈페이지 연락처를 통해 이미지 사용 승인을 받았다. 3개의 이미지는 학인당 공식 홈페이지에 제시된 이미지 중 주거환경을 전공한 석・박사과정 5인이 전부 동의한 이미지를 선정한 것이다. 자극물로 선정된 이미지는 학인당의 본채에서 별당채로 이동하는 동선에 따라 순서대로 선정하였다. 이미지 1은 마당의 자연적 요소가 함께 제시된 안채 정면이고, 이미지 2는 별당채 외관의 정면이며, 이미지3은 본채와 별당채로 에워싸여진 빈 마당과 함께 한옥이 제시된 모습이다. 선정된 3개의 이미지는 한옥의 전통성을 나타내는 구성요소인 기와지붕과 처마선, 기단과 창호 등의 입면, 마당과 녹색 자연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공통적으로 한옥의 전통성에 대한 표현이 명료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선정이미지는 공통 특성을 담고 있지만 이동 동선의 위치에 따라 자연과 마당 그리고 구성요소가 보이는 것에 달라져 이미지별로 한옥의 전통성을 느끼는 것이 다를 수 있다고 판단, 이를 고려하여 이미지를 선정한 것이다.
2. 조사방법 및 내용
1) 실험피험자(설문대상자) 선정
시선추적실험의 피험자는 한옥숙박시설 잠재이용객 중 앞으로의 관심을 고려하여 접근이 용이한 J대학생으로 정하였고, 눈덩이 표집을 실시하여(2024월 4일 29일~2024년 5월 1일) 학부생 35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2) 시선추적실험
한옥에 대한 시각적 관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대상 자극물인 학인당 외관 이미지 3개에 대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환경은 J대학의 실험실의 일부에 암막커튼을 쳐서 빛을 차단하였다. 암막 공간 내에 책상을 두고 그 위에 24인치 모니터를 설치하고 모니터 하단에 EyeLogic사 LogicOne 제품의 시선추적기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암막커튼 밖에서 연구자는 앉아서 실험진행을 안내 설명하고 실험과정을 관리하였다. 이때 연구자는 시선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SMI사의 BeGaze 3.7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실험과정을 관리하였다 <Figure 1>.
피험자가 실험을 위해 연구실에 방문하면 연구자는 피험자가 실험실 환경에 적응하도록 대기공간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게 하며 실험 과정 설명과 함께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게 한다. 피험자가 암막커튼 안의 실험공간에 들어가면 모니터 책상 앞에 착석해 모니터와 거리 및 눈 초점을 조정하게 하고 연구자는 조명을 끈 후 피험자가 10초간 암순응 시간을 갖게 한다. 본 실험 전에 순서대로 나타나는 4개의 원 안의 빨간 점을 응시하여 눈의 초점을 인식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실험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였고 이때 시선 정확도가 떨어지는 피험자는 재측정을 진행, 시선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피험자에서 탈락시켰다. 본 연구 실험의 진행 순서는 <Figure 2>와 같이 학인당의 외관이미지(이미지1~3)를 순차적으로 10초씩 응시하게 하고 각 이미지 사이에 0.5초씩 빈 화면을 응시하게 하였다. 이는 공간주시특성의 유형화를 위한 주시시간범위 설정 연구인(Kim, 2012)의 연구결과 중 “주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간범위는 10초가 가장 적합하다”에 근거하여 시간을 배분하였다.1) 그리고 이미지 사이에 0.5초의 빈 화면을 응시하게 하여 바로 다음이미지로 실험이 진행되었을 때 전 이미지에 대한 시선추적 결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3) 설문조사
시선추적실험 후 피험자의 한옥 외관이미지 관련 주관적 관심을 설문으로 파악하였다.2) 설문은 응답자의 한옥에 대한 배경사항과 시선추적 실험 관련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응답자 배경으로는 인적사항 및 평소 한옥의 관심 정도, 한옥방문경험, 한옥숙박경험, 향후 한옥 숙박의향에 대한 5점척도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시선추적 실험에 관련하여 각 외관 이미지를 보고 전통성이 느껴지는지, 호감도는 어느 정도인지, 숙박하고 싶은 의향이 생기는 지에 대한 5점척도 질문을 하였고, 외관 이미지 3개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것과 가장 전통적이라도 생각하는 것, 가장 선호하는 것, 가장 숙박하고 싶은 것 선택과 각각에 대한 이유를 파악하였다.
4) 분석방법
시선추적 실험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SMI사의 BeGaze 3.7을 활용하여 ‘Heat map’3)과 ‘Focus map’,4) ‘Gridded AOIs’와 ‘한옥 구성요소별 AOI’를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데이터는 윈도우용 SPSS 25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퍼센트, 평균(표준편차)의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이때 피험자 35명이 실험과 조사에 응하였으나, 시선추적데이터의 유효 동공 각도(1° 이하)를 충족한 31명(유효율 88.6%)의 시선추적 및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IV. 학인당의 시각적 관심 분석결과
1. 분석 대상자의 배경사항
분석대상자는 여성 23명(74.2%), 남성 8명(25.8%) 총 31명으로 이들의 한옥에 관한 관심을 이해하기 위해 평소 한옥에 관심을 갖는 정도와 한옥 방문경험, 숙박경험, 추후 숙박의향을 파악하였다. 평소 한옥에 대한 관심 정도는 ‘매우 마음에 든다’ 9.6%(3명), ‘마음에 든다’ 38.7%(12명), ‘보통이다’ 32.3%(10명)로 ‘마음에 들지 않는다’ 19.4%(6명)를 제외한 80.6%가 긍정적이었다. 한옥 경험은 90.3%(28명)가 한옥을 방문해 본 적이 있었고, 54.8%(17명)는 한옥 숙박을 경험해봤다고 응답했다. 앞으로 한옥에 숙박할 의향이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는 87.1%(27명)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분석대상자는 시선추적 실험을 하면서 기본적으로 한옥을 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외관이미지의 시선추적 분석결과
Heat map, Focus map, Gridded AOI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3>, <Figure 4>, <Figure 5>는 한옥 외관이미지 1~3에 대한 체류시간(Dwell time) 분석과 Heat map & Focus map의 시선 추적 결과이며, 3개의 이미지 모두 중심화 경향에 따라 가운데를 가장 오래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Heat map & Focus map 상 1, 2번 이미지의 경우 주택의 이름이 적힌 현판을 가장 오래 주목하였고 3번 이미지에서는 주변의 경관이 보이는 지붕이 맞닿는 부분과 한옥 외벽・창호, 마당을 주목하였다.
<Figure 6>는 외관이미지 1~3을 요소별 영역 AOI으로 나눈 것이며, 각 이미지의 요소별 영역 AOI의 분석 지표값은 <Table 1>, <Table 2>, <Table 3>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분석지표에서 3순위까지를 주목한 요소를 파악하면, 이미지1에서 오래 본 요소는 이미지의 왼쪽 소나무 자연경관, 지붕, 외벽과 창호이며, 3번 이상 다시 본 횟수(Revisits)가 많은 요소는 지붕, 외벽과 창호, 다시 본 사람(Revisitors)이 많은 요소는 중앙부의 지붕, 외벽과 창호였다. 시선의 고정시간(Fixation time)이 긴 요소는 지붕, 외벽과 창호, 이미지 왼쪽의 소나무 자연경관 순이며 시선 고정횟수(Fixation counts)는 왼쪽 소나무 자연경관이 가장 많았고, 지붕, 벽과 창호였다. 이미지2는 이미지1과 달리 가장 오래 본 요소는 오른쪽 한옥 정면의 외벽・창호였으며 그 다음이 건물의 지붕과 자연경관 순이었다. 다시 본 횟수와 다시 본 사람이 많은 요소, 시선 고정시간과 고정횟수가 가장 많았던 요소가 모두 오른쪽 한옥건물의 외벽・창호였고, 다음이 지붕이었다. 그리고 이미지2에서는 현판의 시선 고정시간이 지붕과 거의 비슷하였다. 그 외 기단, 마당의 잔디, 자연경관의 시선 체류시간이나 시선 고정시간 및 횟수는 낮았다. 이미지 3에서 가장 오래 본 요소는 오른쪽 한옥 건물의 외벽・창호이며 그 다음이 오른쪽 한옥 건물의 지붕, 왼쪽 한옥 건물의 외벽・창호 순이었다. 다시 본 횟수가 가장 많은 요소와 다시 본 사람이 많은 요소도 오른쪽 건물의 외벽・창호였고, 다시 본 횟수는 한옥 처마선이 만나 경관이 보이는 부분이 많았다. 왼쪽 한옥 건물의 지붕은 다시 본 사람이 많았다. 시선의 고정시간이 길었던 요소와 고정횟수가 많았던 요소는 오른쪽 한옥 건물의 외벽・창호, 지붕이었고, 그 다음은 고정시간은 한옥 건물의 처마선이 만나는 부분이었고, 시선 고정횟수가 많았던 요소는 왼쪽 한옥건물의 외벽・창호였다.
Table 1.
Table 2.
Table 3.
이미지 3개에 대한 요소별 영역 AOI 지표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3개의 이미지에서 한옥 건물의 외벽・창호와 지붕에 대한 체류시간과 방문의 주목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한옥 정면에 현판이 있는 경우 시선이 고정되어 주목을 받는 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한옥건물 주변의 자연경관도 시선이 집중되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2. 외관이미지의 주관적 관심 분석결과
1) 설문응답 분석결과
자극물로 설정한 학인당 이미지에 대한 전통적인 느낌과 호감도 그리고 앞으로 학인당 한옥의 숙박의향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이다<Table 4>. 3개의 학인당 이미지 중 전통적인 느낌에 대해서는 이미지3(4.61점)이 가장 높았고, 이미지1(4.13점)이 가장 낮았다. 전통적 느낌의 이유로 이미지3에 대해 아궁이, ㄷ자 또는 ㅁ자의 구조, 마당 중심배치, 오래된 느낌, 전통적 구조를 제시하였고, 이미지2는 격자창과 처마, 이미지1은 궁궐느낌, 조경, 나무색의 어두움, 처마와 외관이 눈에 띄어서, 장엄해 보이는 것을 제시하였다.5) 이미지 호감도와 한옥 숙박의향은 이미지1이 가장 높았고(4.16점, 4.10점), 그 이유로는 나무와 자연, 넓은 마당, 조경 구성, 개방감, 트인 전망으로 호감을 그리고 기억에 남을 것 같아서 소나무를 보며 쉬고 싶어서, 조경이 아름다워서, 넓은 공간이어서 숙박하고 싶어 하였다. 이미지3은 각각의 평균이 3.61점과 3.77점으로 가장 낮았지만, 이미지1과 달리 가운데 마당, 아늑한 느낌, 편안함이 호감을 그리고 ㄷ자로 폐쇄적이고 프라이버시와 안정감이 있어 일부는 숙박하고 싶어 하였다. 이미지2는 4.06점으로 중간이었고, 자연조화, 소박, 깔끔, 한적함이 호감을 준다고 하였고, 옥외공간이 넓어 보임, 안정감과 쾌적감의 느낌으로 숙박하고 싶어 하였다.
Table 4.
이를 시선추적 결과와 관련지어 보면 사람들은 한옥 건물로 둘러싸인 공간 모습에서 한옥의 벽・창호 입면과 지붕이 보이고 2개의 한옥건물 처마선이 맞닿은 부분에 시선이 주목된 이미지3에서 전통적인 느낌을 높게 받았는데, 이는 마당이 있는 ㄷ자 또는 ㅁ자 한옥 배치구조와 연결점을 갖는 것이다. 그에 반해 지붕과 벽・창호의 시선 주목은 같지만, 소나무 조경요소를 주목한 1번 이미지는 전통적 느낌, 호감도와 숙박의향이 모두 4점 이상이었고 좋아하는 이미지 선택에서도 19명(61.3%)로 가장 높았다. 1번 이미지는 시선추적결과와 전통적 느낌과 숙박의향을 제시한 이유가 나무, 자연, 조경은 같았으며, 시선이 지붕을 주목한 것은 처마와 외관의 장엄함 느낀다는 응답과 연결되고 있다.
2) 주관적 관심과 시선 체류시간의 관계
본 연구는 학인당 이미지의 전통적 느낌, 호감도, 숙박의향의 평균을 주관적 관심으로 설정하여, 각 이미지의 AOI 영역 시선 체류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able 5>. 그 결과 이미지의 대부분 영역은 시선 체류시간과 주관적 관심과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미지1의 기단(Person’s r = -.479), 이미지3의 마당 영역(Person’s r = .393)이 체류시간과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단의 시선 주목은 <Table 1>에서 체류시간도 짧음에도 이미지1의 학인당 한옥 관심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이미지1의 전통 느낌이 처마와 외관의 장엄, 궁궐 느낌을 언급한 내용과 연결 지을 수 있다. 기단은 궁궐 건물에서 더욱 눈에 띄는 요소인데, 오히려 이는 한옥 관심에 긍정적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이미지3의 마당 역시 시선 체류시간이 짧지만, 한옥 관심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미지3은 마당의 한옥배치를 한옥느낌, 호감, 숙박의향 등에서 언급된 것으로 볼 때 한옥 관심을 이끌 수 있는 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Table 5.
AOI | Subjective Interest | ||
Image1 | Image2 | Image3 | |
Roof1) | -.304 | -.104 | -.011 |
Roof (left) | - | -.244 | - |
Signboard | -.175 | .079 | - |
Wall & window/door1) | .090 | .080 | -.121 |
Wall & window/door (left) | - | .055 | .060 |
Stylobate1) | -.479** | -.104 | -.122 |
Stylobate (left) | - | -.123 | .277 |
Grass | -.151 | -.275 | .393* |
Landscape1) | -.129 | .160 | - |
Landscape (left) | -.080 | - | - |
Eaves contact point | - | - | -.246 |
학인당에 대한 호감, 전통느낌, 숙박의향의 평가를 각각으로 구분하여 시선추적 AOI의 시선체류시간과 상관관계 결과에서도 모두 비유의적이었고, 이미지1에서 Stylobate 기단요소 주목과 숙박의향(Person’s r = -.491, p < .01), 이미지2에서 Grass인 마당 요소와 전통 느낌(Person’s r = -.413, p < .05)의 관련성이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서도 이미지는 다르지만 기단과 마당 요소는 같았다.
그리고 시선추적결과 시선의 체류시간이 길게 나타난 지붕, 조경, 현판, 처마가 맞닿은 부분은 한옥의 관심과 모두 상관계수가 0에 가깝거나 음의 값을 갖고 유의적이지 않아 관심을 두는 것에 시선이 주목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인당을 사례로 한옥 외관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주목을 파악하고 한옥의 전통성과 호감도, 숙박의향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해 숙박시설로서의 한옥을 지속 활용 가능한 대상으로 이끌기 위한 단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선추적 결과 한옥의 외벽과 창호, 지붕에 대한 주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판과 자연경관도 한옥의 요소로 평가하여 주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마케팅에서 시각적 관심이 구매에 영향을 끼친다는 Huddlestona et al.(2018)의 연구결과에 따라 시각적 주목이 높은 외벽 등이 숙박의향을 포함한 주관적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판단하였으나 기단과 마당 요소를 제외하고는 통계적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시선의 중심화 경향으로 이미지의 중앙부에 위치한 요소에 시선이 집중되었을 뿐, 주관적 관심의 경우 응답자의 생각과 이유를 포괄하여 제시된 이미지 전체를 판단한 것이기 때문에 중심을 포함한 주변까지인 주택 전체를 판단한 것으로 여겨진다. 띠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 주목과 주관적 감정이나 생각의 관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시선주목과 주관적 관심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옥을 숙박시설로 지속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한옥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 유지관리하거나 리모델링 및 신축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한옥 숙박시설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선의 주목이 큰 지붕이나 외벽・창호로 전통적 모습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때 지붕의 연결 선상에서 처마, 이에 대응하는 하부의 기단은 웅장함의 궁궐 느낌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집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창과 문, 그리고 벽의 기둥과 인방, 창살 등 목재 활용과 같은 부분이 함께 고려되어 전통적 숙박시설로 제시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한옥이 채와 마당의 발달로 위요된 공간을 갖는 특징이 있는데 연구결과로 볼 때 이러한 특징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ㄷ자나 ㅁ자의 한옥 숙박시설 건물배치로 조용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프라이버시도 제공하여 투숙객에게 편히 쉬는 장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자연경관 요소의 나무 조경이 조화롭게 제시되면 더욱 한옥 숙박시설의 장점을 부각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한옥의 이름을 나타내는 현판에도 주목하였는데, 이는 사는 사람의 생각과 가치를 집에 표현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현대주택에서 쉽게 볼 수 없는 것이라 호기심에서 주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오늘날 집의 이름이 사라져가는 현실에서 한옥 숙박시설에서 이를 보여주고 투숙객에게 그 의미도 전달하여 우리의 주거문화 알리는 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다만 본 연구는 전주 학인당 단일사례만 분석하였고 잠재 이용객인 대학생만을 표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기에 결과 해석에 한계가 있다. 여러 한옥 숙박시설과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시선추적의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한옥에 대한 주목과 관심에 대해 더욱 체계적이고 통계적 분석을 제시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