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 February 2025. 065-075
https://doi.org/10.6107/JKHA.2025.36.1.065

ABSTRACT


MAIN

  • I. 서 론

  • II. 이론적 배경

  •   1. 고령자복지주택의 등장과 진화

  •   2. 고령자의 다양한 욕구와 지원 프로그램

  • III. 연구방법

  • IV. 연구결과

  •   1. 조사 단지 특성

  •   2. AIP 지원 프로그램 제공 현황 분석

  •   3. 각 영역별 세부 지원 프로그램 운영 특성 분석

  • Ⅴ. 결 론

I. 서 론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고령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주거 분야에서는 고령자 맞춤형 주택을 통해 임차 노인의 거주 안정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독거 노인 등 노인 단독가구가 최소한의 도움으로 자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도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Choi, 2008).

저소득층 고령자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협받거나 자립 생활을 저해하는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Oh, 2005; Kim, 2002), 주거지원을 포함한 복합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정부는 저소득 무주택 고령가구를 위해 ‘고령자복지주택’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MOLIT, 2016). 이 사업은 고령자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주택을 제공하며, 복지관을 통해 여가문화생활, 건강관리, 일상생활지원 등 각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고령자복지주택은 지난 몇 년간 매년 1천호씩 공급되었으나, 최근 정부는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에 따라 공급 규모가 연간 3천호까지 확대될 예정이다(MOEF, 2024).

고령자복지주택의 공급 확대에 따라 학계에서도 최근 들어 고령자복지주택 관련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주로 주택 단위세대의 물리적 특성이나 거주자 인식(Kim & Jang, 2024; Bak et al., 2018), 복지관의 공간특성(Moon & Hwang, 2023; Chang, 2022)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일부 연구는 특정 서비스의 효과를 다루거나(Ahn et al., 2020),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측면에서 서비스 모델을 개발(Lim et al., 2020)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고령자복지주택의 서비스 운영 현황을 분석했으나, 1개 단지의 고령자복지주택을 포함한 다른 노인주택을 대상으로 하였다(Hong et al., 2022). 또한, Bak et al.(2018)은 단지의 물리적 여건과 관리자 역량에 따라 운영되는 지원 프로그램의 유형과 질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지적하였는데, 제공되는 지원 프로그램은 거주 노인의 거주 만족도와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고령자복지주택이 단순히 주거의 제공을 넘어, 노인의 안정적인 계속 거주(Aging in place; 이하 AIP)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고령자복지주택에서 운영되는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거주 노인의 AIP 관점에서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고령자복지주택의 프로그램 운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신규 고령자복지주택의 프로그램 운영 및 공간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I. 이론적 배경

1. 고령자복지주택의 등장과 진화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대응하여, 주거 분야에서는 저소득층 고령자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Kang et al., 2019). 대표적으로, 무주택 저소득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령자용 공공임대주택이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거주공간 제공만으로는 노인의 다양한 욕구 충족하기 어렵기에, 그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노인의 욕구를 총족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한 욕구에 충족하도록 공급되는 노인주택이 고령자복지주택으로, 이 주택은 주거약자용으로 설계된 안전하고 편안한 주택과 복지관을 함께 공급하며, 입주 노인 뿐 아니라 지역 노인들을 위한 복지서비스 플랫폼으로도 기능을 하고 있다(Jang et al., 2022).

고령자복지주택은 2016년 ‘공공실버주택’으로 시작되었으며,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주거약자용 주택에 민간의 기부금을 활용하여 복지관을 함께 건설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MOLIT, 2016). 2019년부터 정부의 정규 사업으로 편성되면서 명칭이 고령자복지주택으로 변경되었고, 복지관 건립비용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하기 시작했다(MOLIT, 2019). 공공실버주택으로 공급되던 초기에는 사회복지관에서 여가복지 프로그램을 주로 제공하였으나, 고령자복지주택으로 진화하며 사회복지관에서 노인복지관이 설치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고, 그에 따라 노인에게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건강의료서비스나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특화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 특히, 청양군 고령자복지주택과 같이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복지관에 종합재가센터를 두고, 돌봄, 일상생활지원, 건강관리, 의료서비스, 요양보호 서비스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례도 등장했다(Huh, 2024). 청양군 사례는 지역 내 복지 자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입주 노인 및 지역 노인의 AIP를 지원하며,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는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전국에는 2023년 기준 약 4천여호의 고령자복지주택이 공급되었으며(MOEF, 2024), 각 단지의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고령자의 다양한 욕구와 지원 프로그램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노인들은 빈곤 해소를 위한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나(57.1%), 보건의료(47.8%), 돌봄 및 요양(39.9%), 고용 및 일자리지원(15%), 여가문화활동 지원(7.8%), 주거 지원(6.3%)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복합적 요구를 보여주었다(MOHW, 2023). 또 다른 연구에서도 AIP를 위해서는 주택의 유지ㆍ관리, 주택개조와 같은 주거문제의 해결이 가장 기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Jung et al., 2024). 노인의 연령이나 건강상태, 거주지역에 따라 필요한 지원 유형이 다를 수 있으나, 일상생활 지원, 돌봄 지원, 의료지원의 중요성이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다.

이와 같이 노인의 AIP를 위한 다각적 지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본 연구의 선행연구 성격인 Jang et al.(2024)의 연구에서는 AIP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유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거 분야와 노인복지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를 위한 AIP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고령자복지주택 역시 공공임대주택인 만큼 Jang et al.(2024)에서 제안한 AIP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영역을 활용하여 고령자복지주택의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진단하는 것이 적합하다. 해당 연구에서 제안된 지원 프로그램은 6개 영역 81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주요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1>.

먼저, ① ‘주거관리 및 주거생활지원’ 영역은 고령자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 유지를 위한 주택 유지·보수와 생활 편의 시설 제공 등의 서비스를 포함하며, 13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일자리 및 경제활동 지원’ 영역은 고령자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적합한 일자리 제공 및 직업 훈련 등을 제공하며, 총 3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③ ‘일상생활 지원’ 영역은 식사 준비, 청소, 세탁 등 일상적인 생활 활동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가사 지원 서비스로, 16개 지원프로그램이 포함된다. ④ ‘돌봄 지원’ 영역은 10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신체적ㆍ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개인위생 관리, 이동 지원, 정서적 돌봄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⑤ ‘의료 및 건강 지원’ 영역은 20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데, 주로 고령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물리치료, 방문 간호, 재활 서비스 및 건강 상담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⑥ ‘여가문화, 교육 및 사회활동 지원’ 영역은 19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고립 방지를 목표로 문화 활동, 교육 프로그램, 사회적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Table 1.

Key Areas of AIP Support Programs and Their Concepts

Classification Definition
Housing management and housing life Inspecting and manag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private and shared spaces, providing housing-related counseling and education to ensure a safe and pleasant housing life and communal living environment for residents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Supporting residents in finding employment through counseling and networking, offering direct job opportunities related to the rental complex, and providing job-related training to promote sustained economic activity
Daily life Supporting self-reliant and semi-independent elderly individuals in maintaining basic daily activities and enhancing convenience through necessary activities and spaces
Care Assisting semi-dependent elderly individuals to delay admission to nursing facilities or hospitals as much as possible, enabling them to continue living in their current homes
Medical & health Supporting resid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ensure a healthy housing life
Leisure, culture, education Helping elderly individuals who are vulnerable in leisure, cultur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social interactions to enjoy fulfilling and healthy social lives

Note. Summarized based on the study by Jang et al.(2024).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AIP 관점에서 고령자복지주택의 지원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 프로그램은 선행연구(Jang et al., 2024)에서 제시한 6개 영역, 81개 프로그램으로, 각 프로그램별 운영 여부와 함께 운영 주체, 운영 방식, 운영 공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 외에 단지에서 추가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해당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단지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소재 지역, 단지 개발 방식, 세대 수, 준공 기간, 입주민 특성을 함께 조사하였다. 응답자 경력 조회를 위해 담당 직무과 전체 경력, 유관 분야 경력을 각각 조사하였다. 기본 조사항목은 응답자 특성과 단지 특성에 대한 8개이고, 그밖에 81개 프로그램의 운영 여부에 따라 최대 324개 응답이 수집된다. 조사항목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2>.

Table 2.

Survey Content

Classification Survey items
Respondents’ characteristics Job responsibilities, total work experience, relevant field experience
Complex characteristics Region, complex development method
total number of households, occupancy period, resident characteristics
Program status Operation status, entity, method, space, additional programs operated

설문조사는 고령자복지주택에서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을 담당하는 관리사무소와 복지관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이 통상 전 세대의 입주가 완료되어 초기 셋팅이 완료된 이후부터인 점을 감안하여 준공 이후 입주기간이 1년 이상 경과한 19개 단지1) 중 관리사무소와 복지관 두 곳에서 모두 설문조사 참여 의사를 밝힌 10개 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격적인 설문조사에 앞서 한 단지를 대상으로 사전조사하였고, 그 결과 관리사무소와 복지관의 응답자 모두 모호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질문은 없다고 답변하여 조사도구의 수정은 없었다. 이후 설문자료를 조사대상자에게 이메일 배포․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사는 2024년 4월 3일부터 약 1달간 진행되었으며, 설문자료를 배포한 10개 단지 중 9개 단지에서만 관리사무소와 복지관 담당자가 모두 응답을 회신하여 총 9개 단지, 18명의 응답 결과만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관리사무소와 복지관 담당자들은 평균 경력 12.4년으로 최소 2년 4개월의 유관 경력을 보유하고 있어 충분한 업무경력을 지닌 자들로 응답의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개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

Survey Overview

Classification Details
Target Senior Welfare Housing with over one year of occupancy as of 2024, including one representative each from the management office and the welfare center
Method Email survey
Period April 3, 2024 – May 3, 2024 (about one month)

IV. 연구결과

1. 조사 단지 특성

지원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단지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조사단지 중 수도권 2개 단지, 광역시/특별시 1개 단지였으며, 도지역이 전체의 66.7%로 가장 많았다. 단지 구성은 고령자복지주택 단일 단지가 77.8%로 가장 많았는데, 수도권과 도지역의 1개 단지는 공공주택단지 내 대단지의 일부로 조성되었다. 단지의 평균 세대수는 116.7호로, 최소 80세대에서 190세대까지 다양했으며, 혼합단지 사례 중에는 1천 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에 고령자복지주택이 별도의 동으로 구성된 경우도 있었다. 단지 세대 규모는 고령자복지주택이 통상 100호 공급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에도, 그보다 작은 규모로 공급된 곳이 전체의 44.4%에 달했다. 준공이후 기간은 평균 46.6개월로, 대부분 3년을 넘었고, 3년 미만인 곳이 2단지에 불과했다. 입주민 구성은 미응답 2개 단지를 제외한 7개 단지에서 96.4%가 독거노인가구였고, 나머지 3.6%만이 노인부부로 구성되어 독거노인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Table 4.

Analysis of Surveyed Complex Characteristics (N=9)

Classification f %
Region Metropolitan area 2 22.2
Metropolitan/special cities 1 11.1
Provincial regions 6 66.7
Complex development method Independent 7 77.8
Mixed development within public housing complexes 2 22.2
Number of units Fewer than 100 units 4 44.4
100–200 units 5 55.6
Average (unit) 116.7
Occupancy period 1 to less than 3 years 2 22.2
3 years and more 7 77.8
Average (monthst) 46.6
Resident characteristics
(N=7)
Single elderly residents 98 96.4
Elderly couples 4 3.6
Total (unit) 102 100.0

2. AIP 지원 프로그램 제공 현황 분석

AIP를 지원하는 6개 영역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81개 프로그램 외에 조사된 단지에서 추가로 운영된 ‘반려동물 관련 프로그램’, ‘미용 서비스’, ‘명상 프로그램’, ‘수공예 및 뜨개질 교실’ 4개를 포함하여 총 85개의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Table 5>. 가장 많은 단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주거관리/주거생활’ 영역으로, 9개 단지 중 평균 5.8개 단지(65%)에서 해당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단지당 평균 8.7개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었다(64.6%). 다음으로 ‘여가문화/교육/사회활동’ 영역은 평균 4.8개 단지에서 운영되었고, 단지당 11.2개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과반 이상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자리/경제활동’ 영역은 평균 4.7개 단지(52.2%)에서 운영되었으며, ‘의료/건강’ 영역은 평균 4개 단지(44.4%)에서, ‘일상생활지원’‘은 약 40%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돌봄지원’ 영역은 가장 적은 비율(20.2%)로 운영되었다.

가장 많은 단지에서 활발히 운영된 ‘주거관리/주거생활’ 영역의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운영 단지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3개 단지에서 10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는데, 이들 단지는 소재 지역, 개발 방식 등 여타 단지 특성에서 큰 차이는 없었고 입주 기간이 모두 50개월 이상인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입주 기간이 동일한 다른 2개 단지를 분석했을 때도 8-9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준공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리사무소의 업무가 안정화될수록 관련 프로그램이 활발히 제공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5.

Program Operations by AIP Support Areas (N=9)

Classification No. of complexes (%) Total no. of programs Average no. of programs operated (%)
Housing management and housing life 5.8 (65.0) 13 8.4 (64.6)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4.7 (51.9) 3 1.6 (53.3)
Daily life 3.6 (39.9) 17 6.9 (40.6)
Care 1.8 (20.2) 11 2.2 (20.0)
Medical & health 4.0 (44.4) 20 8.9 (44.5)
Leisure, culture, education 4.8 (53.4) 21 11.2 (53.3)

3. 각 영역별 세부 지원 프로그램 운영 특성 분석

AIP를 고려한 6개 영역의 세부 프로그램의 운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운영 주체, 방식, 공간을 기준으로 프로그램별로 운영 단지 수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각 항목은 모두 중복 응답이 허용되었다.

1) 주거관리/주거생활 지원 프로그램

‘주거관리/주거생활’ 영역의 13개 프로그램은 모두 운영되고 있었고, 단지별로 운영 특성은 다양했다<Table 6>. 먼저, 가장 많은 단지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은 ‘공동생활예절교육’과 ‘재난/화재예방교육’으로, 9개 단지에서 모두 운영되었다. 이 두 프로그램은 모두 관리사무소에서 운영하였는데, 1개 단지를 제외한 모든 단지에서 직접 제공하였고, ‘재난/화재예방교육’은 복지관에서도 병행 운영되었다. 이 두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주로 방송이나 단지 내 유인물 등의 방식으로 제공되어 별도의 공간 없이도 운영이 가능했다. ‘단지 시설물 사용 안내’와 ‘세대 내 안전점검’ 프로그램은 8개 단지에서, ‘간단집수리’, ‘공용공간 위생관리’, ‘안전한 환경조성’은 7개 단지에서 운영되었다. 반면, ‘세대 에너지 효율 개선’과 ‘집 정리 및 수납 서비스’ 프로그램은 각각 2개와 1개 단지에서만 운영되었다.

Table 6.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nagement and Housing Life Support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Housing consultation/information prov. (n=5) 4
(80.0)
2 (40.0) 5
(100.0)
1
(20.0)
5
(100.0)
5
(100.0)
5
(100.0)
② Shared living etiquette edu. (n=9) 9
(100.0)
- 8
(88.9)
1
(11.1)
- - 9
(100.0)
③ Complex facility usage guide (n=8) 8
(100.0)
1
(12.5)
7
(87.5)
1
(12.5)
8
(100.0)
8
(100.0)
-
④ Housing mod. support for aging/disability (n=2) 2
(100.0)
- 2
(100.0)
- 2
(100.0)
- -
⑤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n=2) 2
(100.0)
- 1
(50.0)
1
(50.0)
2
(100.0)
- -
⑥ Minor home repairs (n=7) 7
(100.0)
- 5
(71.4)
4
(57.1)
7
(100.0)
- -
⑦ Home org. & storage service (n=1) 1
(100.0)
- - 1
(100.0)
1
(100.0)
- -
⑧ Simple household item repairs (n=6) 5
(83.3)
1
(16.7)
4
(66.7)
3
(50.0)
6
(100.0)
- -
⑨ In-unit safety inspections (n=8) 8
(100.0)
- 6 (75.0) 4 (50.0) 8 (100.0) - -
⑩ Common area hygiene mgmt. (n=7) 6
(85.7)
1
(14.3)
6
(85.7)
3
(42.9)
7
(100.0)
7
(100.0)
7
(100.0)
⑪ In-unit hygiene mgmt. (n=5) 5
(100.0)
- 4
(80.0)
2
(40.0)
5
(100.0)
- -
⑫ Disaster/fire prevention edu. (n=9) 9
(100.0)
4
(44.4)
8
(88.9)
4
(44.4)
- 9
(100.0)
9
(100.0)
⑬ Safe environment creation (n=7) 7
(100.0)
1
(14.3)
5
(71.4)
2
(28.6)
- 7
(100.0)
7
(100.0)
Average no.
(5.8 complexes)
5.6
(96.0)
0.7
(13.2)
4.7
(80.3)
2.0
(35.5)
3.9 (67.1) 2.4 (40.8) 2.8 (48.7)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전체 운영 현황을 종합해 보면, 제공 주체는 관리사무소가 제공 프로그램의 96.0%를 담당하며 거의 모든 프로그램을 제공했으나, 복지관의 제공비율은 13.2%로 낮았다. 복지관의 제공 비율이 낮은 것은 주로 복지관이 여가 및 복지 중심 프로그램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공 방식에서는 ‘직접 제공’이 80.3%, ‘연계 제공’이 35.5%로 나타났다. 제공 공간은 ‘세대 내’가 67.1%로 가장 많았고, ‘공간 불필요’ 48.7%, ‘별도 공간 필요’ 40.8%로 확인되었다. ‘관리사무소 제공’과 ‘직접 제공’ 방식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주거관리/주거생활’ 영역의 프로그램은 대부분이 주택 상태 관리와 주택 사용 교육에 집중되었는데, 관리사무소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고유의 역할에 해당하므로 이 영역 서비스의 직접 제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영역의 프로그램 중 운영을 위해 별도 공간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대체로 세대 내에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비율이 높으며, 이는 안전점검이나 시설문 안내 집수리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운영 빈도가 낮은 ‘세대 에너지 효율 개선’과 ‘집 정리 및 수납 서비스’는 초기 비용 부담, 전문인력 부족 등의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2) 일자리/경제활동 지원 프로그램

‘일자리/경제활동’ 영역은 총 3개의 프로그램 구성되며, 운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가장 많이 운영된 프로그램은 ‘일자리/경제활동 관련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와 ‘일자리 직접 제공’으로, 각각 6개 단지에서 제공되었다. ‘일자리/경제활동 관련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 프로그램은 주로 복지관에서 운영되었으며, 일부 관리사무소가 함께 운영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직접 제공과 연계 제공 방식이 고르게 활용되었고, 상담 및 정보 제공/연계라는 성격에 따라 세대 내, 별도 공간, 또는 공간 없이 운영도 가능하였다. ‘일자리 직접 제공’ 프로그램은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고(66.7%), 프로그램을 직접 제공하는 단지가 대체로 많았다(71.4%). 이 두 프로그램은 비교적 단기적으로 제공 가능하고, 공간 활용이 필요 없는 경우도 많았다. 반면, ‘직업 교육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운영과 교육 공간 확보, 운영 비용이 필요한 특성으로 인해 2개 단지에서만 운영되었다.

Table 7.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Support Programs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Job/economic activity consultation/ info. prov. (n=6) 1
(16.7)
6
(100.0)
4
(66.7)
3
(50.0)
6
(100.0)
6
(100.0)
6
(100.0)
② Vocational training program (n=2) - 2
(33.3)
2
(33.3)
- - 2
(33.3)
-
③ Direct job prov. (n=6) 2
(33.3)
4
(66.7)
4
(66.7)
2
(33.3)
- - 6
(100.0)
Average no.
(4.7 complexes)
1.0
(21.4)
4.0
(85.7)
3.3
(71.4)
1.7
(35.7)
2.0
(42.9)
2.7
(57.1)
4.0
(85.7)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전체 운영 현황을 보면, 단지 중 약 85.7%의 단지가 복지관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다. 운영 방식은 ‘직접 제공’이 약 71.4%, ‘연계 제공’이 약 36.7%로 나타났다. 공간 활용 측면에서는 ‘공간 불필요’가 응답의 85.7%로 가장 많았고, ‘세대 내’ 응답이 42.9%, ‘별도 공간 필요’ 응답이 57.1%로 조사되었다. 이는 ‘일자리/경제활동’ 영역의 프로그램이 주로 정보 제공 및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되어 공간 활용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영역 프로그램들이 사회복지적 성격을 강해, 복지관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일자리/경제활동 관련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와 ‘일자리 직접 제공’은 비교적 운영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특성으로 인해 더 높은 운영 비율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직업 교육 프로그램’은 운영 조건이 까다로워 운영 비율이 낮았다.

3) 일상생활 지원 프로그램

‘일상생활’ 영역의 프로그램 운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8>.

Table 8.

Characteristics of Daily Life Support Programs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Consultation/ info. prov. (n=8) 2
(25.0)
8
(100.0)
7
(87.5)
3
(37.5)
8
(100.0)
8
(100.0)
8
(100.0)
② Family & emotional support consultation (n=7) 1
(14.3)
7 (100.0) 6
(85.7)
4
(57.1)
7
(100.0)
7
(100.0)
7
(100.0)
③ Legal consultation (n=6) - 6
(100.0)
- 6
(100.0)
6
(100.0)
6
(100.0)
6
(100.0)
④ Financial & asset management consultation (n=6) - 6
(100.0)
1
(16.7)
5
(83.3)
6
(100.0)
6
(100.0)
6
(100.0)
⑤ Meal & side dish delivery (n=4) 2
(50.0)
4 (100.0) 3
(75.0)
3
(75.0)
4
(100.0)
- -
⑥ Meal prov. (n=9) 2
(22.2)
9 (100.0) 9 (100.0) 1
(11.1)
- 9
(100.0)
-
⑦ Meal preparation - - - - - - -
⑧ Laundry svc. (n=4) 1
(25.0)
3
(75.5)
3
(75.5)
1
(25.0)
4 (100.0) - -
⑨ Trash & recycling mgmt. (n=3) 2
(66.7)
1
(33.3)
3 (100.0) 1
(33.3)
- 3
(100.0)
-
⑩ Household item rental (n=5) 4
(80.0)
1
(20.0)
5
(100.0)
- - 5
(100.0)
-
⑪ Purchase proxy - - - - - - -
⑫ Bank/government errands support (n=1) 1
(100.0)
- 1
(100.0)
- - - 1
(100.0)
⑬ Shuttle & pickup svc. (n=2) - 2
(100.0)
2
(100.0)
- - - 2
(100.0)
⑭ Public transportation reservation (n=1) 1
(100.0)
- 1
(100.0)
- - - 1
(100.0)
⑮ Shared storage (n=1) 1
(100.0)
- 1
(100.0)
- - 1
(100.0)
-
⑯ Guestroom (n=4) 3
(75.5)
1
(25.0)
4
(100.0)
- - 4
(100.0)
-
⑰ Pet-related programs (n=1) - 1
(100.0)
1
(100.0)
- - 1
(100.0)
1
(100.0)
Average no. (3.6 complexes) 1.2
(32.2)
2.9
(79.0)
2.7
(75.8)
1.4
(38.7)
2.0
(56.5)
2.9
(80.6)
1.9
(51.6)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전체 17개 프로그램 중 유일하게 ‘급식 제공’이 모든 단지에서 운영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주로 단지 내 설치된 경로식당을 기반으로 복지관에서 운영하였다. 다만, 경로식당이 없는 일부 사례는 다목적 공간을 함께 활용하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유연한 공간 활용 사례를 보여주었다. 그 외 ‘일상생활지원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는 8개 단지에서, ‘가족 및 정서지원 상담’은 7개 단지에서 운영되었으며, ‘법률 상담’과 ‘금융 및 재무상담’은 각각 6개 단지에서 운영되어 상대적으로 활발히 운영되었다. 주요 프로그램들은 복지관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일상생활지원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와 ‘가족 및 정서지원 상담’은 일부 단지의 관리사무소에서도 운영되었다. 이 두 프로그램은 운영 기관에서 직접 제공하는 경향이 강했고, 그밖에 ‘법률상담’과 ‘금융 및 재무상담’은 기관 연계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프로그램은 대체로 상담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세대 내에서의 개별 상담, 집합 교육, 또는 공간 없이 정보만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되어 다양한 공간에서 운영이 가능했다. ‘법률상담’과 ‘금융 및 재무상담’은 주로 도지역에서 연계 제공되는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관련 기관의 서비스 접근성이 낮아 외부 기관의 협력이 더욱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단지 외 활동을 지원하는 ‘셔틀 및 픽업서비스’는 2개 단지에서만 제공되었고, ‘은행/관공서 업무 대행 및 지원’, ‘대중교통 예약’은 1개 단지에서만 운영되어 운영 비율이 낮았다. 이는 고령자복지주택 거주자 대부분이 자립 생활이 가능한 1인 가구로, 단지 외 활동 지원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식사준비’와 ‘물품의 구입대행’은 운영되지 않았다. 이 두 프로그램은 관리사무소나 복지관 모두 해당 분야의 전문성 부족하고, 시간 제약과 비용 부담으로 인해 운영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상생활’ 영역의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적 성격이 강한 프로그램으로 주로 구성되어, 복지관이 직접 제공하는 경향을 주로 보였다. 운영 방식의 경우, ‘직접 제공’ 프로그램의 비중(75.8%)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2배 많았다. 하지만, 상담 관련 프로그램에 한하여 ‘연계 제공’에 응답한 단지 수가 ‘직접 제공’ 응답 단지 수의 2배 이상 차지하였는데, 전문성이 요구되는 상담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므로, ‘연계 제공’의 비율도 높았다. 운영 공간의 경우, 약 80.6%의 프로그램이 ‘별도 공간 필요’로 나타났는데, ‘세대 내’와 ‘공간 불필요’ 응답도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각각 56.5%, 51.6%), 프로그램의 성격과 운영 방식에 따라 공간 필요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급식 제공’이나 ‘생활용품 대여’ 프로그램은 운영을 위한 공간이 필수적이지만, 상담 프로그램은 다양한 공간에서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단지 규모가 클수록 복지관과 관리사무소 간 협력 체계가 더 원활히 구축되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대규모 단지(150세대 이상)에서는 복지관이 담당하는 프로그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여가문화/교육’ 지원 프로그램이나 복합적인 일상생활지원 프로그램이 보다 활발히 운영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소규모 단지(100세대 이하)에서는 공간 및 운영 인력의 제약으로 인해 일부 특화 프로그램에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돌봄 지원 프로그램

‘돌봄’ 영역의 프로그램은 11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운영 중인 프로그램은 6개에 불과했다<Table 9>. 가장 많은 단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돌봄 관련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 ‘안부확인서비스’, ‘비상호출서비스’로 전체 9개 단지 중 5개 단지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비상호출서비스’는 관리사무소에서 주로 운영하였으나, 나머지 두 프로그램은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 프로그램은 모두 해당 운영 주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돌봄 관련 상담・정보 제공 및 연계’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의 연계를 통한 운영 사례도 다수 존재하였다(60%). 세 프로그램은 세대 내에서 운영 가능하거나 공간이 불필요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돌봄 관련 상담・정보제공 및 연계’는 문자 알림, 홍보물 전달 등의 방식으로 공간 없이도 운영될 수 있었다.

Table 9.

Characteristics of Care Support Programs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Consultation/ info. prov.(n=5) 1
(20.0)
5
(100.0)
4
(80.0)
3
(60.0)
5
(100.0)
5
(100.0)
5
(100.0)
② Well-being check service (n=5) 1
(20.0)
5
(100.0)
5
(100.0)
1
(20.0)
5
(100.0)
- -
③ Bathing assistance - - - - - - -
④ Meal assistance - - - - - - -
⑤ Toilet assistance - - - - - - -
⑥ Personal care - - - - - - -
⑦ Mobility support (n=2) 1
(50.0)
2
(100.0)
1
(50.0)
1
(50.0)
- - 2
(100.0)
⑧ Rental of carerelated assistive devices (n=2) 1
(50.0)
1
(50.0)
2
(100.0)
1
(50.0)
- 2
(100.0)
-
⑨ Emergency call service (n=5) 5
(100.0)
2
(40.0)
5
(100.0)
2
(40.0)
5
(100.0)
- -
⑩ Short-term caregiving service - - - - - - -
⑪ Beauty service (n=1) - 1
(100.0)
- 1
(100.0)
- - 1
(100.0)
Average no.
(1.8 complexes)
0.8
(45.0)
1.5
(80.0)
1.5
(80.0)
0.8
(45.0)
1.4
(75.0)
0.6
(35.0)
0.7
(40.0)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운영 단지가 적은 프로그램으로는 ‘이동 지원’, ‘돌봄 관련 보조기구 대여’, ‘미용 서비스’가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복지관에서 운영되었다. 반면, ‘일상생활 돌봄’이나 ‘개인 위생 관리’와 같은 신체 돌봄 관련 프로그램은 전혀 운영되지 않았다. 이는 고령자복지주택이 자립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은 전문인력 확보와 지속적인 운영 비용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복지관이나 관리사무소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돌봄’ 영역의 프로그램 운영 특성을 종합해 보면, 고령자복지주택이 기본적으로 자립 노인이 거주하는 특성 상, 돌봄 관련 프로그램의 운영이 매우 활발하진 않았다. 운영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면, 관리사무소보다는 복지관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2배 가까이 많았고, 외부 기관의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도 전체 프로그램의 과반에 가까운 비율이었다. 이와 함께 운영 단지의 80%가 직접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복지관과 관리사무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도 일부 확인되었다. 운영되지 않는 5개 프로그램의 경우, 자립 생활을 전제로 하는 고령자복지주택의 거주자 특성 외에도, 단지 내 복지관과 관리사무소에서 이들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인력 및 예산 부족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의 수요가 특정 단지에서 확인된다면, 외부 지원 및 연계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5) 의료/건강 지원 프로그램

‘의료/건강’ 영역의 프로그램 운영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0>. 전체 20개 프로그램 중 16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고, 미운영 프로그램은 ‘건강용품 대여 서비스’, ‘의료서비스’, ‘방문의료서비스’, ‘수영장’ 프로그램이었다. 가장 많은 단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정신건강 관련 교육’, ‘신체활동 프로그램’, ‘치매예방 프로그램’, ‘피트니스’프로그램으로, 9개 단지에서 모두 운영되었다.특히, ‘정신건강 관련 교육’은 LH공사가 공급한 공공임대주택에서 모두 운영 중이었다. ‘신체활동 프로그램’, ‘치매예방 프로그램’, ‘피트니스’의 경우 복지관에서 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 ‘치매예방 프로그램’은 복지관에서 직접 제공하거나 외부 기관 연계를 통해 제공되었다. 반면,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피트니스’의 경우 복지관이 직접 운영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노인 스스로 이용하거나 프로그램 운영자를 고용해 진행되는 형태였다. 이들 프로그램은 운영을 위해 별도 운동공간이 필수적이다. 운영하는 단지가 적기는 하나, 일부 단지에서는 ‘건강식단제공 서비스’, ‘물리치료서비스’, ‘재활서비스’, ‘방문간호서비스’와 같은 입주 노인의 건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었는데, 대체로 복지관이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이었다.

Table 10.

Characteristics of Medical and Health Support Programs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Consultation/ info. prov.(n=7) 3
(42.9)
7
(100.0)
5
(71.4)
5
(71.4)
7
(100.0)
7
(100.0)
7
(100.0)
② Physical health edu. (n=8) 1
(12.5)
8
(100.0)
7
(87.5)
3
(37.5)
- 8
(100.0)
-
③ Mental health edu. (n=9) 1
(11.1)
9
(100.0)
6
(66.7)
5
(55.6)
- 9
(100.0)
-
④ Diet & nutrition edu. (n=4) 1
(25.0)
4
(100.0)
4
(100.0)
1
(25.0)
- 4
(100.0)
-
⑤ Personal hygiene mgmt. edu. (n=3) - 3
(100.0)
3
(100.0)
- - 3
(100.0)
-
⑥ Self-health check equip. mgmt. (n=8) 2
(25.0)
7
(87.5)
7
(87.5)
2
(25.0)
- 8
(100.0)
-
⑦ Healthy meal prov. (n=2) 1
(50.0)
1
(50.0)
1
(50.0)
1
(50.0)
- - 2
(100.0)
⑧ Health product rental - - - - - - -
⑨ Physical activity prog. (n=9) 1
(11.1)
9
(100.0)
9
(100.0)
1
(11.1)
- 9
(100.0)
-
⑩ Dementia prevention prog. (n=9) 1
(11.1)
9
(100.0)
6
(66.7)
6
(66.7)
- 9
(100.0)
1
(11.1)
⑪ Physical therapy (n=2) - 2
(100.0)
2
(100.0)
- - 2
(100.0)
-
⑫ Rehabilitation (n=1) - 1
(100.0)
1
(100.0)
- - 1
(100.0)
-
⑬ Dementia treatment prog. (n=4) - 4
(100.0)
4
(100.0)
1
(25.0)
- 4
(100.0)
-
⑭ Health mgmt. (n=1) - 1
(100.0)
1
(100.0)
- - 1
(100.0)
-
⑮ Medical service - - - - - - -
⑯ Traditional medicine consult (n=2) - 2
(100.0)
2
(100.0)
2
(100.0)
- 2
(100.0)
-
⑰ Home nursing (n=2) - 2
(100.0)
1
(50.0)
2
(100.0)
2
(100.0)
- -
⑱ Home medical - - - - - - -
⑲ Fitness prog.
(n=9)
1
(11.1)
9
(100.0)
8
(88.9)
1
(11.1)
- 9
(100.0)
-
⑳ Swimming pool - - - - - - -
Average no.
(4.0 complexes)
0.6
(13.6)
3.9
(97.5)
3.4
(83.8)
1.5
(37.5)
0.5
(11.3)
3.8
(95.0)
0.5
(12.5)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프로그램의 운영 특성을 종합하면, ‘의료/건강’ 영역은 노인의 깊은 관심도와 맞물려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고, 주로 복지관이 운영 주체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86.4%). 특히, ‘자가 건강 체크 장비 관리’ 프로그램을 제외한 대부분 프로그램은 복지관에서 운영되었고, 운영 방식은 대체로 직접 제공의 형태였다(83.8%). 그러나 건강/의료 영역의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한 만큼, 건강 관련 교육이나 상담, 건강 체크, 한방 진료 연계 및 방문 간호 등의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도 많았다. 운영 공간의 경우도, 건강관리와 운동,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는 만큼 대부분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사례가 많았다(95.0%). 이처럼 전문성을 요구하는 프로그램과 별도 공간을 필요로 하는 특성으로 인해, 의료/건강 영역은 운영 주체와 시설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며, 전문 인력 확보와 시설 확충이 요구된다.

6) 여가문화/교육/사회활동 지원 프로그램

‘여가문화/교육/사회활동’ 영역은 전체 영역 중 가장 많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별 학습 공간 제공’ 프로그램을 제외한 20개의 프로그램이 모두 운영되었다<Table 11>. 이 영역의 프로그램은 필수적인 일상생활 지원보다는 여가와 학습,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성격으로 인해, 9개 단지에서 모두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없었다. 가장 많은 단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생활 IT기기 활용 교육’, ‘음악교육’으로 8개 단지에서 운영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여가문화/교육/ 사회활동 관련 상담・정보제공’, ‘어학 교육’, ‘도서 대여 및 독서 관련 프로그램’, ‘미술교육’이 각각 7개 단지에서 운영되었다. 이들 프로그램들 중 ‘어학교육’은 복지관에서만 운영되었고, 다른 프로그램들은 복지관과 관리사무소도 함께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비중이 많았고, 관리사무소는 최대 3개 단지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운영 방식은 주로 운영 주체가 직접 제공하는 것이 많았지만, 일부는 외부 기관과의 연계가 이루어졌다. 주로 관리사무소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외부 기관 연계가 많았다. 이들 프로그램은 모두 공간이 필요했고, ‘노래방’이나 ‘게임룸’, ‘당구장/탁구장’, ‘카페/라운지’와 같은 공간 기반의 프로그램도 과반 수 이상의 단지에서 설치되어 운영 중이었다. 이러한 공간은 주로 복지관 내에 마련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한편, ‘수공예 및 뜨개질 교실’, ‘명상 프로그램’, ‘단지 축제’와 같은 소수의 단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또한, ‘요리 교실’, ‘원예교육’과 같은 프로그램은 운영 단지가 많지는 않으나, 노인이 집단 거주하는 특수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이라 볼 수 있다.

‘여가문화/교육/사회활동지원’ 영역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종합하면, 고령자복지주택이 자립 생활이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주택인 만큼 이 영역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구성되었고,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수도 많은 편이었다.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복지관에서 주도적으로 운영했는데, 복지관은 주로 프로그램 직접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부 프로그램 특히, 관리사무소가 제공하는 경우 외부 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영역의 프로그램은 대체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했으며, ‘상담 및 정보제공’, ‘도서 대여’ 같은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공간 기반의 특성을 가진 프로그램이 많았다.

Table 11.

Characteristics of Leisure, Culture, Education,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s (N=9)

Classification Entity Method Space
Mgmt office Welfare center Direct prov. Linked prov. Within the unit Separate space No space req.
① Consultation & info. prov. (n=7) 2
(28.6)
7
(100.0)
7
(100.0)
1
(14.3)
7
(100.0)
7
(100.0)
7
(100.0)
② Computer skills edu. (n=5) 1
(20.0)
5
(100.0)
5
(100.0)
1
(20.0)
- 5
(100.0)
-
③ IT device usage edu. (n=8) 1
(12.5)
8
(100.0)
7
(87.5)
3
(37.5)
- 8
(100.0)
-
④ Cooking class (n=5) 2
(40.0)
4
(80.0)
4
(80.0)
2
(40.0)
- 5
(100.0)
-
⑤ Language edu. (n=7) - 7
(100.0)
6
(85.7)
1
(14.3)
- 7
(100.0)
-
⑥ Humanities & general knowledge edu. (n=4) - 4
(100.0)
4
(100.0)
- - 4
(100.0)
-
⑦ Book rental & reading-related prog. (n=7) 1
(14.3)
7
(100.0)
7
(100.0)
1
(14.3)
- 7
(100.0)
1
(14.3)
⑧ Horticulture edu. (n=6) 2
(33.3)
6
(100.0)
6
(100.0)
2
(33.3)
- 6
(100.0)
1
(16.7)
⑨ Music edu. (n=8) 2
(25.0)
8
(100.0)
8
(100.0)
2
(25.0)
- 8
(100.0)
-
⑩ Art edu. (n=7) 2
(28.6)
7
(100.0)
7
(100.0)
2
(28.6)
- 7
(100.0)
-
⑪ Complex festival (n=3) 3
(100.0)
2
(66.7)
3
(100.0)
2
(66.7)
- 3
(100.0)
-
⑫ Leisure culture talent donation/ volunteer training (n=5) 1
(20.0)
5
(100.0)
5
(100.0)
1
(20.0)
- 5
(100.0)
-
⑬ Other resident social activity support (n=3) 1
(33.3)
3
(100.0)
3
(100.0)
1
(33.3)
- 3
(100.0)
3
(100.0)
⑭ Karaoke (n=5) - 5
(100.0)
5
(100.0)
- - 5
(100.0)
-
⑮ Game room (n=6) 1
(16.7)
6
(100.0)
6
(100.0)
1
(16.7)
- 6
(100.0)
-
⑯ Billiards/ Ping-pong room (n=5) 1
(20.0)
5
(100.0)
5
(100.0)
1
(20.0)
- 5
(100.0)
-
⑰ Café/Lounge (n=5) 1
(20.0)
5
(100.0)
5
(100.0)
1
(20.0)
- 5
(100.0)
-
⑱ Resident self-directed activity space (n=3) 2
(66.7)
3
(100.0)
3
(100.0)
- - 3
(100.0)
-
⑲ Individual learning space - - - - - - -
⑳ Handcraft & knitting class (n=1) - 1
(100.0)
1
(100.0)
- - 1
(100.0)
-
Meditation prog. (n=1) - 1
(100.0)
- 1
(100.0)
- 1
(100.0)
-
Average no.
(4.8 complexes)
1.1
(22.8)
4.7
(98.0)
4.6
(96.0)
1.1
(22.8)
0.3
(6.9)
4.8
(100.0)
0.6
(11.9)

Note. Multiple responses applied

Ⅴ. 결 론

빠르게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로 고령자를 위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되는 가운데, 정부는 고령자복지주택 공급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환경의 제공은 물론 생활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여 거주 노인의 AIP 실현을 지원하고 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 공급될 예정이므로, 현재 준공된 주택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 거주 노인의 AIP를 적절히 지원하고 있는지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복지주택의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고, 그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논의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된 사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들은 AIP 지원을 위한 6개의 영역을 모두 포괄하고 있었으나, 단지 별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수와 종류에서 편차가 있었다. 평균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도 전체의 절반 내외의 비율에 불과하며, 특히, ‘돌봄’영역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지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고령자복지주택의 기본 대상이 자립 노인임을 반영하는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령자복지주택이 입주 노인의 영구적인 거주를 지원하므로, 시간이 경과하며 입주 노인들의 돌봄 및 요양지원 요구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입주 초기와 노화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입주민 특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프로그램 운영 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돌봄’ 영역과 같이 현재 단계에 불필요한 프로그램도 단계적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현황은 단지 규모와 지역적 여건이 프로그램 운영 편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단지에서는 복지관 중심의 여가문화/교육 프로그램과 종합적인 일상생활지원 프로그램이 비교적 활발히 운영되었다. 반면, 소규모 단지는 공간과 인력 자원의 한계로 인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했다. 특히, 소규모 단지는 돌봄이나 의료/건강 영역의 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복지 인프라가 취약한 도지역 소재 단지에서는 외부 기관과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프로그램의 질과 다양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수도권이나 광역시 소재 단지에서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외부 자원 연계도 활발하였다. 따라서 소규모 단지에서는 자원 제약을 고려하여 외부 기관과의 협력 및 지역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부족한 자원을 보완하고, 필수 프로그램 이외에도 일부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도지역 소재 단지는 고령자복지주택이 지역 복지 거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 인력과 예산을 추가적으로 배정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 주체를 분석한 결과, 영역별 차이가 두르러지게 나타났는데, 대체로 많은 프로그램을 복지관이 담당하고 있었고, ‘주거관리/주거생활’ 영역의 프로그램은 관리사무소가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다. 복지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중 상당수는 직접 제공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전문성이 요구되는 상담, 의료/건강 프로그램의 경우 외부 기관과의 연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입주 노인의 AIP 지원의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리사무소와 복지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전문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외부 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이를 담당할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지역 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넷째, 운영 프로그램은 대체로 운영 기관이 직접 제공하며 단지 입주자 특성에 맞춰 자체적으로 기획되고 운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전문성을 요하는 상담이나 의료 프로그램은 외부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므로, 지역 내 유관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담당 인력의 배치와 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봉사 및 지역 자원을 연계하여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운영되는 프로그램 중 일부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거나 세대 내에서 운영 가능한 것도 있으나,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도 많았다. 그러나 고령자복지주택의 초기 설계 단계부터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고민하고, 운영 공간을 계획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운영 계획 없이 공간이 설계되다 보니 실제 사용 단계에서는 공간 부족이나 부적합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많았다. 따라서 프로그램 운영을 고려한 공간계획과 더불어 변화하는 입주민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가변적 공간 설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자복지주택에서 거주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신규 프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신규 고령자복지주택의 공유공간과 복지관 계획 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가 고령자복지주택 도입 초기에 공급된 일부 단지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만을 조사한 연구로, 실제 거주 노인의 프로그램 이용 실태와 만족도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AIP 가능성을 함께 조사하여 입주민의 실질적인 AIP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Notes

[8] 1) 1~2차 공공실버주택 22개 단지 중 조사 당시 입주 1년 이상된 단지는 19개로, 장성영천, 분당목련, 성남위례, 영월서로가, 충북보은, 옹진백령, 화천신읍, 영덕영해, 전남광양, 경남고성, (시흥은계, 수원광교, 세종시흥사랑, 부안봉덕, 안동 강변늘푸른타운, 제천청전, 보령명천, 진도쌍정, 전북정읍)임. 본 연구의 조사에 참여한 단지는 괄호안에 작성된 9개 단지임.

Acknowledgements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RS-2023-00251407).

이 논문은 2024년 (사)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References

1

Ahn, J. H., Choi, J. M., & Chang, H. W. (2020). A study on Wel-Tech community care service design for the elderly in public silver hous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11), 2001-2010.

10.9728/dcs.2020.21.11.2001
2

Bak, D. H., Kim, Y. H., & Lee, S. H. (2018). An analysis of dwelling environment of Public Silver Housing based on post occupancy evalu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4(12), 65-76.

3

Chang, J. Y. (2022). A study on the space area composi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service combined public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7(7), 97-108.

4

Choi, Y. (2005). Household types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9, 123-149.

5

Hong, Y. K., Ju, S. R., & Lee, S. W. (2022). An analysis of housing welfare services for public rental supportive hous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3(1), 169-179.

10.6107/JKHA.2022.33.1.169
6

Huh, H. M. (2024, November 6). Cheongyang county's senior welfare housing with a focus on care attracts nationwide benchmarking efforts. *Aju Business Daily*. Retriever from https://www.ajunews.com/view/20241106130055200?utm_source=chatgpt.com

7

Jang, M. S., Kim, T. W., Kim, M. G., & Kwon, O. J. (2022). Case analysis of platform development for integrated support of social services using public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3(5), 65-75.

10.6107/JKHA.2022.33.5.065
8

Jang, M. S., Yun, J. h., & Kim, M. G. (202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s considering aging in place of senior resid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33(4), 587-598.

10.5934/kjhe.2024.33.4.587
9

Jung, S. Y., Lee, J. H., Yoo, H. Y., Kim, Y. R., & Jung, Y. S. (2024). Supporting aging in place for older adults: what and how to provide assistance.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0

Kang, E. N., Ju, B. H., Lee, J. C., & Bae, H. W. (2019). A plan to reorganize the senior housing policy in response to super-aged societ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

Kim, J. H., Jeong. Y. M. (2002).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1), 16-26.

12

Kim, M. G., & Jang, M. S. (2024). The status of indoor environmental adjustments and satisfaction of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n senior welfare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5(4), 15-28.

10.6107/JKHA.2024.35.4.015
13

Lim, J. W., Jun, B. H., Kil, H. M., & Park, Y. R. (2020).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Tech based community care model for older people living in public silver housing: focusing on service provider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40(6), 1327-1347.

10.31888/JKGS.2020.40.6.1327
14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OEF) (2024). Strategies for promoting senior residences. Retrieved from https:// 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menuNo=4010100&searchNttId1=MOSF_000000000069863&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23). 2023 survey on the status of older adults. Retrieved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act=view&list_no=1483359&tag=&nPage=1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Public silver housing: tripartite agreement betwee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Local Governments, and LH Corpo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76983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9). Integrated facilities for seniors with physical therapy rooms and community gardens: over 1,000 units planned. Retrieved from https://www.molit.go.kr/ USR/NEWS/m_71/dtl.jsp?id=95081878

18

Moon, J. Y., & Hwang, Y. S. (2023).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welfare facilities in elderly welfare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2(5), 70-83.

10.14774/JKIID.2023.32.5.070
19

Oh, Y. H., Seok, J. E., Kwon, J. D., Kim, J. S., Park, Y. R., & Lim, J. K. (2005).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living conditions of women, rural residents, and elderly living alone.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