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흐름
3. 선행연구
II. 이론적 배경
1.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 개념 및 현황
2.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특성
3. 공동주택 작은도서관 활성화요인
III. 사례분석
1. 사례분석 개요
2. 사례분석
3. 사례조사 분석결과
IV. 결 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재 작은도서관은 단순한 도서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주민간의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생활 SOC의 주요 시설로 주목받고 있다(Han, 2021). 작은도서관을 생활밀착형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시키고자 LH는 2021년부터 전국 작은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진행하여 주거복지서비스를 적극 지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Kim, 2024). 특히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은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 2조 3항에 따라 500세대 이상의 주택 단지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대규모 아파트 수의 증가에 따라 작은도서관의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 기준은 자료 수와 면적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내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미비하여 양적 팽창은 이루었지만, 이에 맞는 수준의 질적 향상은 이루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Choi, 2023). 이처럼 작은도서관의 설치에 대한 기준이 부족하고 관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방치되는 도서관이 없도록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국에서 아파트 거주비율이 가장 높은 광주광역시의 경우, 2024년 기준으로 388개 관이 운영되고 있으나 그 중 13곳은 연간 이용자가 0명인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이용률이 저조하고 방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Kim, 2023). 또한 작은도서관 수가 전국대비 많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도서자료 수는 4,269권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고, 전용 면적도 90 m2로 전국 평균면적인 114.7 m2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Small library operation status survey result report, 2022).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국내 추천 운영 사례와 선행연구를 공간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활성화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작은도서관 추천 운영 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활성화 요인을 도출한다. 둘째,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방법 및 흐름
문헌조사와 질적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사례조사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활성화요인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와 국내우수사례를 인터넷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분석은 2024년 8월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 5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는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서론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국내 우수사례와 선행연구 분석 결과를 통합하여 활성화요인을 재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 사례분석 틀에 적용하였다. 결론에서는 사례분석결과를 토대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주요 내용을 <Figure 1>로 요약하였다.
3. 선행연구
앞서 진행된 선행연구들은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주제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공간과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내용은 미비했다. 2011~2024년 공간측면의 작은도서관활성화 관련연구 4편을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작은도서관이 속한 공동주택 주민공동시설 공간 측면 연구 2014~2023년 최근 4편을 조사하여 다음 표 <Table 1>, <Table 2>로 정리하였다. 공간대상지는 대부분 서울, 경기 소재로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분석과 광주광역시와 관련된 연구 자료가 부족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활성화 요인은 크게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 문화적 요소로 분석된다. 물리적 요소는 공간과 시설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며, 문화적 요소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및 프로그램이 해당되고, 사회적 요소는 사람과 사람과의 교류 및 관계를 포함한다. 세부적으로는 물리적인 측면에 시설의 접근성과 가변적인 공간이 활성화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며, 문화적 측면에서는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사회적 측면에서는 타 기관과의 연계와 지원, 그리고 시설 내 지역민 간의 교류가 활성화에 기여하는 요소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활성화요인 도출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Table 1.
Previous Study on Small Library Revitalization
Researcher | Research content | Research subject |
An (2011) | - In order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ased on facilities, personnel, materials, use and programs,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and presented measures based on this. | A small library in a public housing complex in Jeonju |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3) | - A design manual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at summari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mall libraries. | - |
Kim (2017) | -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spatial facilities and equipment, data, operation, usage status, and operation activity programs, and presented design guidelines through this. | Small library in Seoul and Gyeonggi |
Gwon et al. (2023) |
- Analyzing the operation status of small libraries in public rental housing - Presenting measures to revitalize operation based on best practices of small library websites | Small library in LH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
Table 2.
Prior Study on Revitaliz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for Residents
Researcher | Research content | Research subject |
Cha et al. (2014) |
- In order for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to function as a hub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
Community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 in Yeoksam 2-dong, Gangnam-gu, Seoul |
Im (2015) |
- Analyze spatial structure and derive planning elements for each community space through research on community space - Based on case studies, extract elements that should be applied to design and suggest a design plan for small-scale community spaces. |
Community facilities within an apartment complex with more than 2,000 households |
Oh (2018) |
- Through prior research, community activation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patial factors, community factors, organic factors, and functional factors. - Analyze cases according to the community activation evaluation table to find out the degree of application and suggest elements and measures necessary for small-scale resident autonomous community facilities. |
Sejong City 1st living area apartment complex small-scale resident self-governing community facility |
Gang (2023) |
-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rivately-sold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we hav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presented a plan for revitalization based on survey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
Daejeon Metropolitan City apartment complex community facility |
II. 이론적 배경
1.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 개념 및 현황
작은도서관은 도서관법 제 2조 4항에 따라 공중의 생활권역 내에서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500세대 이상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법적 설치기준은 건물면적 33 m2, 도서관 자료 1,000점 이상으로 하고 있다<Table 3>.
Table 3.
Small Library Installation Standards
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Article 3 Library facilities and library materials | |
Building area | Library resources |
33 m2 | More than 1,000 |
작은도서관의 유형은 설립 주체에 따라 구분된다<Table 4>. 사립의 경우에는 아파트 내 작은도서관이 39.4%로 전체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Small library operation status survey result report, 2022).
Table 4.
Status of Small Libraries Nationwide by Founding Entity
2.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특성
작은도서관 통합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우수 사례 중 최근 2년 이내에 업로드 된 공동주택 내에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하여 4곳을 선정하였다. 4곳은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작은도서관 웹 사이트 뿐만 아니라 작은도서관협회 등 관련 사이트에서도 소개하여 자료량이 많은 곳을 기준으로 두었다. 사례는 공간구성과 프로그램 측면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였다.
Table 5.
Overview of Best Domestic Cases
공간구성 측면으로 보면, 사례 A는 주민회의실, 스터디룸, 지붕집 등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 이용자인 아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폐쇄성이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측면으로는 매달 인형극, 미술교육 등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각 프로그램에 따라 아파트 주민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개방된다. 그 외 홍보와 소통을 위해 인스타그램 계정과 카페를 운영하고 있으며 온라인 독서 인증 동아리가 존재한다.
공간구성 측면으로 보면, 사례 B는 좌식공간과 입식공간으로 나뉘어 있으며, 정숙한 분위기보다는 적정소음이 있는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좌식 공간에는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창문과 빈백이 배치되어있다. 도서관이 위치한 커뮤니티 센터에는 주민 카페와 아동 돌봄센터도 함께 있어, 센터를 이용하는 아이들이 도서관에서 독서하고, 책을 대출해 카페에서 읽는 등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프로그램 운영은 주 이용자인 초등학생들과 학부모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엄마들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모임도 운영되고 있다.
사례 C의 공간구성은 주 이용자인 중장년층과 아이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계획되었고, 어린이들을 위한 좌식 형태의 열람실이 존재한다. 프로그램 측면에서 보면, 서울 은평구 작은도서관 협회에 등록되어 은평구의 18개 공공 및 작은도서관과 협업하여 프로그램과 행사를 진행한다. 방학 동안에는 주변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작은도서관에서 독서 후 독서록을 작성하면 학교에서 상을 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적 장점을 살린 친환경 활동 등 여러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공간구성 측면으로 보면, 사례 D는 좌식과 입식 두 가지 형태의 열람실과 작업실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실은 주 이용자인 아이들을 위해 자유롭게 창작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면 유리를 통해 경관을 볼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다. 프로그램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양한 만들기 활동과 과학 실험에 집중하여 진행하고 있다. 이 작업실은 어린이와 작은도서관 협회, 도서문화재단 씨앗, reliquum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성남시 청소년재단의 지원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사례분석 내용을 종합해보면 공간구성 측면에서는 단순한 독서 공간을 넘어 아이 돌봄, 학습, 휴식 등 다양한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주 이용자 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외에 외부 지원, 작은도서관 간의 연계, 내부 소규모 단체를 통한 활발한 교류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Table 6>과 같다.
Table 6.
Excellent Case Study Summary
3. 공동주택 작은도서관 활성화요인
우수사례와 선행연구의 활성화 요인은 크게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 문화적 요소, 세 가지 요소의 측면으로 재분류하고 그 중 다수 언급된 요인들을 추출하여 <Figure 6>과 같은 활성화요인을 도출하였다. 물리적 요소에는 공간의 접근성과 공간의 구조적인 가변성이 있고, 문화적 요소에는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문화 형성, 입주민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교육, 서비스 제공이 있다. 사회적 요소에는 작은도서관 간의 네트워크, 지역민 교류, 타기관 단체의 지원과 연계가 있다. <Figure 6>을 통해 도출한 요소는 접근성, 가변성, 편의성, 교류성으로 정리하면 다음 <Table 7>과 같다.
Table 7.
Small Library Activation Elements
III. 사례분석
1. 사례분석 개요
본 연구의 대상지는 광주광역시 자치구 중 아파트 비율이 가장 높은 광산구 소재의 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 61곳 중 5곳이다. 5곳은 위치 상 작은도서관이 밀집하여 있고, 사전방문 허가를 받은 곳으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2024년 8월에 실시하였으며 앞서 활성화 요인으로 도출한 접근성, 가변성, 편의성, 교류성을 중심으로 공간구성과 가구 및 집기시설, 프로그램 활동여부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자세한 조사를 위해 사서가 있는 곳은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계획과 주요 이용자, 하루 평균 이용 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사례 대상지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Table 8>.
Table 8.
Survey Overview
2. 사례분석
Table 9.
G1
사례 G1은 자원봉사자를 통해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자의 답변에 따르면 주요 이용자는 초등학생과 학부모로 하루 평균이용자는 10-15명, 방학기간에는 20-30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이용자를 고려하여 성인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책 친구 프로그램과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사춘기 프로그램 등이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이는 광산구 마을 공동체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지고 있었다.
Table 10.
G2
사례 G2는 LH의 생활 SOC사업의 일환으로 작은도서관 개선 사업 지원을 받은 곳이다. 사업을 통해서 도서 비품 지원과 인테리어 변경, 커뮤니티 공간 구성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는 작은도서관 순회사서 사업에 선정되어 자원봉사자와 순회사서 1명이 운영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공모사업의 지원을 통해 프로그램과 물품을 충당하고 있었다. 주요 이용자의 세대가 특정되지 않고 아동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이용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이용자는 20-30명으로 파악되었다.
Table 11.
G3
사례 G3은 방문 시 운영시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와 사서가 없었고,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좌석 수는 8개로, 방문한 곳 중 가장 규모가 작고 도서 수 또한 적었다.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없었다.
Table 12.
G4
사례 G4는 최근 8월에 재개관한 곳으로 운영자 1명이 운영하고 있었다. 재개관 전에는 별도의 운영 인력이 없었고 지역 아동센터처럼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관리비와 LH지원 금액으로 도서를 재정비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자 예정중이다. 현재 하루 평균이용자는 5명으로 파악되었다.
Table 13.
G5
사례 G5는 사서와 프로그램이 없으며,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고 있는 곳으로 유일하게 사서공간이 존재하지 않았다. 공간의 절반 정도는 개방된 구조의 독서실로 운영되고 있으며 독서실은 중고등학생들이 이용 중이었다.
3. 사례조사 분석결과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현황과 특성을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면적에 따른 공간 구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넓은 면적일수록 일반적인 열람실과 사서공간 외에도 전시공간, 공유주방 등이 다양한 기능의 공간이 마련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면적이 좁을수록 공간 구성의 다양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소규모 공간에서는 구조적 가변성을 적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함을 시사한다. 국내우수사례와 비교하였을 때, 면적, 작은도서관 간의 연계나 지원, 이용자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활성화요인별 측면으로 보면 접근성은 모든 사례들이 놀이터, 돌봄시설, 운동시설 등의 타 커뮤니티시설과 복합형 건물에 위치하여 시설 간의 연계성이 높고, G1과 G5를 제외한 나머지 사례는 중앙배치하여 모든 주거동에서의 물리적 접근성이 우수하다. 가변성은 대부분의 사례가 작은도서관의 특성상 고정적인 서가와 가구 등으로 공간의 다양한 활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G1, G2 사례에서는 좁은 공간에서 효율성을 높이고자 모듈형 가구, 폴딩도어의 사용으로 열람실을 넓게 확장하여 프로그램실로 이용하는 등 공간의 가변적 활용을 지원하고 있었다. 편의성은 사례 G1, G2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프로그램 계획이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G2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범위가 넓어 이에 맞는 노인-아동 교류 프로그램, 작품활동과 전시 성과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류성은 G1, G2 사례에서 나타났으며, 마을 공동체 지원사업 및 LH지원사업을 통해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특히 G2는 유일하게 내부 소규모 단체에서의 교류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인터뷰 조사 결과에서는 대부분 운영인력이 1-2명이거나 사서가 따로 없이 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사서가 없는 사례들은 프로그램 또한 존재하지 않아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위해서는 운영 인력의 충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본 결과 광주광역시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의 사례들은 높은 접근성을 보였으나 가변성, 편의성, 교류성 측면에서는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V. 결 론
본 연구는 공동주택 내 작은도서관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론적 연구를 통해 활성화 요소를 제시하여 작은도서관 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주거동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접근성’을 고려해야한다. 중앙 배치하여 주거동에서 지리적 위치가 근접하도록 계획하고 타 커뮤니티 시설과 연계가 가능한 복합형 건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는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누림으로써 자주적 방문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변성’을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작은도서관의 기능이 독서에서 돌봄, 커뮤니티 등 다양한 기능으로 확대됨에 따라 좁은 면적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앞선 사례와 같이 모듈가구와 공간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폴딩도어의 사용 또는 바퀴가 달린 서가, 가구배치를 통한 공간의 구분으로 다양한 행태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공동주택 내 입주민들을 위한 ‘편의성’을 제공해야한다.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사춘기 교육 강의, 창작활동 등 이용자 특성과 선호도에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다. 또한 주요 이용자를 비롯한 입주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노인-아동 교류 프로그램, 공유주방을 활용한 요리 프로그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넷째, 관련 사업 및 기관과 연계하여 활발한 ‘교류’를 지원해야한다. 재원 마련 뿐만 아니라 도서관 간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작은도서관 간의 연계 시스템과 공공도서관의 대차 서비스 등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 내부 소규모 단체나 온라인 모임을 도모하고 이를 SNS로 홍보하여 입주자의 참여를 이끌고,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류성이 충족된 사례에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이용자 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교류성이 작은도서관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접근성, 가변성, 편의성, 교류성의 요소들이 충족될 때 작은도서관은 더욱 성장하고 활성화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상의 한정으로 인해 몇 가지 한계가 있다.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간, 프로그램, 이용자, 운영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지만 운영적인 측면은 인력과 사서의 역량에 따른 결과 차이가 크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공간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현장 조사와 운영자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나, 실제 이용자의 요구와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용자 기반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높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다 실제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작은도서관의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공립도서관의 현황을 바탕으로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공동주택 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공간적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들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작은도서관들이 지역 사회의 중요한 문화적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