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 April 2024. 045-054
https://doi.org/10.6107/JKHA.2024.35.2.045

ABSTRACT


MAIN

  • I.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II. 이론적 배경

  •   1. 정리수납

  •   2. 정리수납전문가와 정리수납 서비스

  •   3. 삶의 질

  • III. 연구방법

  •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   2. 조사대상의 기초 분석

  •   3. 조사내용

  • IV. 연구결과

  •   1. 정리수납과 안정감, 귀가 행복간의 관계 분석

  •   2. 정리수납 서비스 이용 전, 후에 따른 공간 효율성, 물건 찾기 시간, 안정감, 귀가 행복 변화 분석

  •   3. 정리상태와 정리빈도, 정리강박 간 관계

  •   4. 전문가와 거주자의 정리수납 상태 파악, 정리수납 기대효과, 정리수납 만족도 차이 분석

  •   5. 연령대에 따른 서비스 만족과 삶의 변화 만족 분석

  • V. 결 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90년 중반부터 전자상거래와 홈쇼핑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소비 형태는 바쁜 현대인에게 제공된, 필요한 물품의 구매 편리성으로 매력을 끌기 시작한 후 2010년대 들어 본격화되었다. 홈쇼핑이 일반쇼핑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구매가 편리하지만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하는 특성상 소량 판매보다 다량 판매로 진행되었고, 이로 인해 주거 수납공간에 식품, 생활용품 등의 물건들이 쌓이기 시작하였다. 냉장고, 세탁기, TV 등의 필수가전이 주로 차지하던 생활 공간에 에어컨, 김치냉장고, 오븐, 전자레인지, 가습기, 제습기,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음식물처리기, 건조기 등의 특화된 전자제품들이 집안 곳곳에 자리하게 되었다. 더불어 생활 필수가전의 대형화도 진행되었다. 4계절로 인해 필요한 의류 수납공간은 늘 부족함에도 2000년대 들어서 의류가 본격적으로 세분화, 다양화되고, 수납공간의 수요 증가에 발맞춰 개발된 다양한 기능성 수납기구들로 인해 가정 내 수납 물품들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주택가격의 상승은 더 넓은 공간으로의 이전을 매우 어렵게 만들기에 제한된 공간 내에서의 정리와 수납(정리수납)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리’는 혼란스럽거나 뒤죽박죽인 상태를 질서 있게 만들어 주는 과정으로, 이는 물건이나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필요없는 것을 버리는 행위를 포함한다. 또한 문제가 되는 요소나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여 깔끔하게 정돈하는 것을 의미한다(표준국어대사전). 한편 ‘수납’은 사용하기 편리한 장소를 정하고 물건을 적절하게 보관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한국정리수납협회(KAPO)의 정의에 따르면, 정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제거하는 과정이며, 수납은 필요한 물건들을 적절하고 편리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Jeong, 2012). 이러한 정의를 종합해 볼 때, 정리수납은 필요 없는 물건을 식별하여 필요 없는 물건은 제거하고, 필요한 물건들을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적절히 배치하는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1980년대 말 노태우 정부의 주택 200만 호 공급의 주택정책에 따라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어 부족한 주택수요를 충족시켜주었고, 1990년대 후반 브랜드 아파트가 처음 등장하여 2000년대부터 본격화되었다. 이에 따라 주택 공간구조 및 규모, 주택 내 수납공간과 관련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아파트나 주택 내 수납공간 자체에 대한 필요성, 가변적 또는 다용도 수납공간의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산업화 시대에는 도시화를 통해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이 확대되었고, 내장형 가구(built-in furniture)들이 선호되었다. 최근에는 미니멀리즘이 선호되면서 필요한 물건만 소유하면서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추세이고, 1인 가구나 소형 주거 공간이 증가하면서 공간 활용도가 중요하게 판단되고 있다. 과거의 정리수납은 넓은 수납공간 확보를 중요시했다면, 현대에는 좁은 공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

이런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주거 공간의 정리수납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정리수납은 개인 생활환경과 습관의 영역이므로 다양한 방식과 형태를 가질 수 있기에 정리수납에 대한 일반화된 요인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 특히, 정리수납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하는 새로운 직업군이 창직되었기에(Jeong & Shin, 2023), 정리수납전문가의 정리수납 서비스를 통해 주거공간 내에 어떤 영역에서 정리수납이 개선되는지, 거주자들의 삶의 질이 어떻게 개선되는지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인천 LH 임대주택 245가구를 대상으로 제공된 정리수납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서비스 항목별, 서비스 형태별, 고객의 반응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주거 공간의 정리수납 서비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주거 공간 내 정리수납 대상은 거실과 냉장고, 안방, 옷장, 생활용품, 주방, 화장실, 기타 전반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수납 복지 서비스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II. 이론적 배경

1. 정리수납

생활을 담는 그릇이 주거 공간이며, 그 주거 공간을 정리수납하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경제와 사회가 발전하면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확대되고, 어떤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소비와 저장의 삶이 발생하기도 한다(Jeon & Lee, 2013). 이러한 과도한 소비와 물품의 저장은 생활 공간의 무질서를 초래하며(Ferrari et al., 2018), 삶의 질 향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Gregg, 1936).

2010년경, 영미권에서 시작된 미니멀 라이프는 일본의 곤도 마리에((近藤麻理惠, Marie Kondo)의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2012)’과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2016).’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켰다. 정리수납은 물건에 대한 소유보다 개인의 삶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고, 어지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요하며(Elgin, 2010),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이나 정신 건강 유지, 사회적 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Kim & Han(2022)의 연구에 따르면 정리수납은 개인의 행복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으며, Jeong(2021)은 정리수납 분야의 전문성과 시장 가능성을 탐구하였으며, 정리수납이 단순한 가정관리를 넘어서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정리수납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 분야에서도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Lee(2023)는 사용자 중심의 주거공간 디자인을 통해 주거환경이 개인의 창조적 활동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지를 탐구했으며, Lim(2000)은 생활 패턴과 가족 구성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납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처럼 건축과 정리수납의 결합은 공간이 사용자의 생활방식과 조화를 이루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이를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Ahn(2010)의 연구에 따르면 소형주택의 공간 활용의 효율성 증대가 주거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정리수납을 통한 공간확보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주거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2. 정리수납전문가와 정리수납 서비스

정리수납전문가는 개인이나 기업이 겪는 공간 및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1:1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이다. 정리수납전문가 교육과정은 2급, 1급, 강사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객에게 정리수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리수납전문가 1급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정리수납전문가는 15시간의 정리수납전문가 2급 자격증 취득 후 50시간의 정리수납전문가 1급 과정을 이수한 후 현장실습, 과제 그리고 필기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한 자이다. 정리수납전문가는 팀으로 활동하며, 한 팀은 인턴, 팀원, 팀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4~8명 정도가 한 팀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리수납전문가는 고객의 주거 공간에 방문하여 가구 재배치, 물건 분류, 정리, 편리한 수납 방법을 제공하며, 고객이 스스로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들의 주요 역할은 고객의 공간관리 및 시간 관리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상담자, 생활의 편의를 돕는 조력자, 주거환경을 관리하는 관리자, 정리수납을 지원하는 지원자, 그리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자로서 활동한다(Jeong, 2014). 정리수납 서비스사업은 1983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유럽, 일본으로 확대되어 활성화되었다. 우리나라는 2011년 한국정리수납협회가 설립된 후 2015년 한국직업사전에 직업으로 등재되었다. Jeong & Shin(2023)은 정리수납 직업과 관련하여 새로운 직업 창출과 시장 확장의 가능성을 탐구하였으며, 정리수납이라는 신시장의 창출 사례를 제시하였다. 정리수납전문가의 업무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리수납에 어려움을 겪는 개인이나 기업에 시간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주거 및 사무공간을 편리하고 쾌적하게 정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둘째, 효율적인 시스템 정리수납을 제공하며, 체계적인 정리 방법을 고객과 상담을 통해 계획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팀을 구성하여 활동한다. 셋째, 주거 공간의 영역 주방, 의류, 냉장고 등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수납을 진행한다. 넷째, 실제 사용자에게 정리수납 방법을 교육하여 스스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NCS능력단위공간정리컨설팅분류번호:1102010210_16v1). 정리 컨설팅 서비스는 공간별(주거 공간, 상업 공간, 사무공간, 교육시설, 작업공간, 보관시설)과 상황별(이사, 인테리어, 공간확보, 업무효율, 물품 정리, 공간구성원의 변화)로 구분되며, 다양한 상황과 공간에서 제공되나, 기본적인 단계와 서비스 과정은 일관되게 진행된다.

3. 삶의 질

정리된 환경은 물리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증진 시킨다. 무질서하고 혼잡한 환경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반면에 정리된 공간은 시각적으로 깨끗하고 조직적이어서 뇌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며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된다. 주거 공간이 정리되지 않고 관리 되지 않음에서 오는 압박감(Ferri et al., 2018)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집과 방이 정리되지 않으면 걱정과 스트레스가 늘고, 압박감을 느낀다고 한다(Lewczyk, 2018).

정리된 공간은 물건을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기에 생활의 효율성과 가사 일의 생산성 향상과 이것으로 인해 이어지는 다소 느긋한 일상을 즐길 수 있다. 정리된 환경은 주변의 간섭을 줄여주어 집중하기 쉽게 만든다. 재택근무나 학습 시에도 정리된 공간에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정리수납되지 않은 환경은 더러움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주거 공간의 어수선함과 무질서는 더러운 삶을 의미한다(Douglas, 1966).

정리수납을 통해 자신 주변 공간을 정리하고 또한 꾸미게 되므로써 자아 존중감을 높일 수 있다. 자신의 공간에 신경을 쓰면서 일상생활에서 더 나은 품질의 삶을 살 수 있다. 과도한 생활방식은 즐거움을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낭비적으로 사용하거나 모으는 것이다(Mustomi & Puspasari, 2020).

Kustanti(2020)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리적 안정감이나 행복감이 높을수록 물건을 구매하고 저장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건을 정리하면 어떤 물품이 있는지 파악하고 중복된 물건을 살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정리와 수납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물리적인 환경이 깨끗하고 조직적일수록 일상생활에서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정리된 환경에서 삶을 살면 더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같이 정리와 수납은 삶의 여러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깨끗하고 조직적인 환경에서 삶을 살면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자아 존중감과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된 논의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서울・경기・인천 LH 임대주택 245가구(노인가구, 다자녀가구, 청년 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30일부터 2023년 1월 30일까지 5개월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표집은 연구 참여 신청자를 모집하였고, 신청자를 대상으로 정리수납에 대한 사전 온라인 교육을 2시간 실시하였다. 또한 정리수납 코디네이터가 직접 방문하여 정리수납 서비스 전과 직후, 그리고 서비스 이용 한 달 후, 총 3번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거 공간의 혼잡도 인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리수납 코디네이터와 조사 대상자의 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리수납 코디네이터는 한국정리수납협회의 회원 중 정리수납전문가 1급 자격증을 취득한 후 정리수납 서비스 현장에서 3년 이상 활동한 경력자를 선정하여 작업 전, 작업 당일, 작업 후 고객의 주거 공간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한 정리수납전문가이다.

2. 조사대상의 기초 분석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 정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은 84명, 여성은 161명이었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35세 미만이 80명, 36세 이상 64세 미만은 57명, 65세 이상은 108명으로 나타났다. 가구 규모에 따라 1인 가구는 179명으로 나타났으며, 주택 면적은 10평 이하가 114명, 11평에서 14평 사이는 80명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Demographic Information

Categories Variables N
Sex male 84
female 161
Age ~35 80
36~64 57
65~ 108
Households size 1 179
>= 2 66
Apartment size(평) <=10 114
11~14 80
15~19 26
20~24 20
25~29 4
30~34 1

3. 조사내용

설문지 문항은 기존 연구 결과들과 12년 동안 정리수납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한국정리수납협회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었던 다양한 서비스 항목, 필요한 서비스 형태, 고객의 반응 및 만족도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1차 조사에 사용한 설문은 정리수납 서비스 제공 전에 나이, 성별, 동거형태 및 자녀현황, 주택 면적 및 공간 구성 형태 등의 기본 설문과, 삶의 질, 기대하는 서비스(거실, 냉장고, 방, 옷장, 잡동사니, 주방, 욕실, 베란다 및 기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2차 설문지는 정리수납 서비스 제공 직후에 실시하였다. 주요 항목은 정리수납 상태 및 성향 파악을 위한 6개 항목, 정리수납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7개 항목이다<Table 2>. 정리수납 상태 조사에는 주거 공간 내 정리상태에 대한 현황 파악 후, 정리 및 청소 습관 파악, 정리 및 정리기술에 대한 개인 성향 및 습관 조사로 구성하였고, 정리수납 서비스 만족도 조사에는 정리대상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하여 서비스 이후의 정리상태에 대한 조사 및 만족도가 제일 높은 서비스에 대한 조사 등이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와 동일한 내용이다.

설문 도구는 경력 5년 이상의 정리수납전문가 10인과 정리수납 서비스를 3회 이상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 3인의 토론을 거쳐 구축하였다. 설문 문항은 실제 정리수납 서비스 항목에 기반하여 선정하였으며, 삶의 질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논의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를 예비 조사를 통해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s alpha 계수가 0.757로 측정되었다.

Table 2.

Major Survey Items

Category Questionnaire questions
Organization and
storage status and
propensity
I enjoy organizing.
I secure the space properly by organizing the house
It takes me a lot of time to find things.
I feel psychological stability when I live inside the house.
I am excited and looking forward to coming back home from work.
Our family members have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Organization and
storage service satisfaction
1. Questions about the service and service provider, 9 sub-items in total
2. Questions about post-service space, 7 sub-items in total
3. Questions about organizing goods after service. Total of 5 sub-items
4. Survey on the service you were most satisfied with. Indicate 1st and 2nd place. Total 11 sub-items
5. Question abou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3 sub-items in total
6. Question about life changes made after organizing services. A total of 4 sub-items
7. Question about the intention to reapply for the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intervene
after the reorganization service, 5 sub-items in total

IV. 연구결과

1. 정리수납과 안정감, 귀가 행복간의 관계 분석

정리수납과 안정감, 귀가 행복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수납은 ‘정리 정돈(정리하는 즐거움)’, ‘공간확보’, ‘물건 찾는 시간’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안정감과 귀가 행복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 .01)<Table 3>. 또한 정리수납을 독립변인으로 산정하고, 안정감과 귀가 행복을 종속변인으로 둔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정리수납의 하위 요인인 ‘공간확보’만이 안정감(p < .01)과 귀가 행복(p < .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Table 5>. 즉, 집 안 정리를 통해 적절한 공간이 확보될수록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고, 귀가 행복을 느끼는 것이 확인되었다. 직접 정리하는 즐거움은 안정감과 귀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공간 확보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정리수납 서비스의 효용성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조사 대상의 약 46%에 달하는 인원이 10평 이하의 좁은 면적에 거주하고 있어, 공간확보 요인이 다른 요인보다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3.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Security and Happiness in Returning Home

Stability Happiness upon Returning Home
Stability 1
Happiness upon Returning Home .619** 1

** p < .01

Table 4.

Regression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 and Sense of Security

B SE β t Tol. VIF
Arrangement -.118 .077 -.127 -1.539 .587 1.705
Space Optimization .244 .079 .255 3.091** .584 1.711
Searching for Items .041 .059 .044 .695 .979 1.022

** p < .01

Table 5.

Regression Analysis between Organization and Happiness in Returning Home

B SE β t Tol. VIF
Arrangement .078 .071 .088 1.100 .587 1.705
Space Optimization .219 .073 .241 3.001** .584 1.711
Searching for Items .081 .054 .092 1.488 .979 1.022

** p < .01

2. 정리수납 서비스 이용 전, 후에 따른 공간 효율성, 물건 찾기 시간, 안정감, 귀가 행복 변화 분석

정리수납 서비스 이용 전과 후에 서비스 이용자가 인지하는 공간효율성과 물건 찾기 시간, 안정감, 귀가 행복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효율성과 물건 찾기 시간, 안정감, 귀가 행복 모두에서 서비스 이용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6>.

추가적으로 서비스 이용 직후와 그로부터 한 달이 경과 한 시점에서도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한 결과, 귀가 행복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 달 후가 되면서 정리된 상태는 일부 유지되어 있으므로 귀가 후 행복감은 느끼나, 정리수납 후 1개월 동안 생활 활동으로 인해 어질러짐과 정리 기억이 사라짐에 따라 물건 찾기, 공간확보, 안정감이 사라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Table 7>.

Table 6.

Paired Sample Test Before and After Service Use

M SD Error t
Space Optimization -1.506 1.137 .073 -20.740***
Searching for Items -1.502 1.193 .076 -19.708***
Stability -.894 1.050 .067 -13.319***
Happiness upon Returning Home -.947 .999 .064 -14.809***

*** p < .001

Table 7.

Paired Sample Test Immediately After Service Use and One Month Later

M SD Error t
Space Optimization .084 .675 .069 1.715
Searching for Items .126 .880 .064 1.974
Stability .068 .711 .051 1.323
Happiness upon Returning Home .137 .785 .057 2.403*

* p < .05

3. 정리상태와 정리빈도, 정리강박 간 관계

서비스 이용자들의 평소 정리상태와 정리빈도, 정리강박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요인 사이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Table 8>. 정리상태와 정리빈도, 정리상태와 정리강박 그리고 정리강박과 정리빈도 사이에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에 대해 설문지의 측정척도를 고려하여 해석하면, 정리빈도가 낮을수록 정리상태는 나쁘고, 정리강박이 높을수록 정리상태는 개선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Table 8.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tate, Frequency of Organization, and Compulsion to Organize

State Frequency Compulsion
State 1
Frequency .378** 1
Compulsion .320** .250** 1

** p < .01

4. 전문가와 거주자의 정리수납 상태 파악, 정리수납 기대효과, 정리수납 만족도 차이 분석

1) 전문가와 거주자의 정리수납 상태 파악 차이 분석

전문가 관점에서 본 정리수납 상태와 실거주자 관점에서 본 정리수납 상태 파악에서 차이가 있는지 일표본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정리수납 대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9>. 모든 항목에서 전문가가 거주자보다 정리상태를 더 안 좋게 보는 일관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전문가 관점에서 보이는 정리가 필요한 부분이 거주자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able 9.

Differences in Perceived Organizational State between Experts and Actual Residents Before Service Use

Living Room Refrigerator Master Bedroom Clothes Household Items Kitchen Bathroom Miscellaneous Overall
Expert(A) 2.653 2.584 2.563 2.363 2.347 2.604 2.861 2.467 2.371
Resident(B) 3.049 2.976 2.877 2.633 2.714 2.833 3.061 2.812 2.563
(B) - (A) 0.396 0.392 0.314 0.270 0.367 0.229 0.200 0.345 0.192

특히 거실과 냉장고, 생활용품에 대한 평가 차이는 다른 항목들보다 크게 나타났다<Table 10>. 거실에 대한 상태 파악 차이는 0.396이고, 냉장고는 0.392, 생활용품은 0.367로 나타났다. 전문가 관점에서는 거실과 냉장고, 생활용품 정리가 거주자가 느끼는 정리상태에 비해 정리할 부분이 많다고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able 10.

One-Sample Test on the Difference in State Perception between Experts and Residents

t df p MD
Living Room Expert 39.660 244 .000 2.653
Resident 22.422 244 .000 3.049
Master
Bedroom
Expert 39.616 244 .000 2.563
Resident 51.885 243 .000 2.877
Kitchen Expert 42.485 244 .000 2.604
Resident 49.707 244 .000 2.833
Bathroom Expert 49.309 244 .000 2.861
Resident 54.005 244 .000 3.061
Refrigerator Expert 40.988 244 .000 2.583
Resident 22.670 244 .000 2.976
Clothes Expert 34.368 244 .000 2.363
Resident 41.297 244 .000 2.633
Household
Items
Expert 34.825 244 .000 2.346
Resident 46.927 244 .000 2.714
Miscellaneous Expert 36.513 241 .000 2.466
Resident 48.698 244 .000 2.812
Overall Expert 36.014 244 .000 2.371
Resident 46.939 244 .000 2.563

2) 거주자의 정리수납 상태 파악과 정리수납 기대효과 차이 분석

거실에 대한 정리수납 상태 파악과 기대치는 불일치하였으나, 냉장고와 안방 옷, 용품 등의 상태 파악과 정리수납 기대치는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Table 11>.

Table 11.

Self-Assessment of Condition - Expected Effects

F p t df p (two-tailed) MD SED
Living Room A .031 .860 -950 243 .343 -.337 .354
B -1.563 168.885 .120 -.337 .215
Master Bedroom A 958.134 .000 2.162 242 .032 .238 .110
B 2.234 125.0 .027 .238 .107
Kitchen A .949 .331 -2.863 243 .005 -.777. .271
B -3.020 11.083 .012 -.777 .257
Refrigerator A 44.750 .000 -10.605 242 .000 -1.136 .107
B -18.598 183.0 .000 -1.136 .061
Clothes A 81.706 .000 12.467 243 .000 1.650 .132
B 27.453 202.0 .000 1.650 .060
Table 12.

Differences in Perceived Organizational State between Experts and Actual Residents Before and After Service Use

Living Room Master Bedroom Kitchen Bathroom Refrigerator Clothes Household Items Miscellaneous Overall
Expert(A) 2.653 2.563 2.604 2.861 2.584 2.363 2.347 2.467 2.371
Resident Before (B) 3.049 2.877 2.833 3.061 2.976 2.633 2.714 2.812 2.563
After (C) 4.539 4.588 4.559 4.396 4.392 4.649 4.485 4.480 4.633
Difference (B-A) 0.396 0.314 0.229 0.200 0.392 0.270 0.367 0.345 0.192
(C-A) 1.490 1.711 1.726 1.335 1.416 2.016 1.771 1.668 2.070

3) 본인 상태 파악과 서비스 후 정리수납 만족도 간의 차이 분석

서비스 전・후를 비교해 보면, 옷 정리에 대한 정리수납 만족도는 서비스 전 2.633의 만족도에서 서비스 후 4.649로 2.016의 증가를 보였다. 주방은 2.833에서 1.726 증가한 4.559로, 안방은 2.877에서 1.711이 증가한 4.588, 거실은 3.049에서 4.539로 1.490이 증가하였다<Table 12>. 거실의 경우 거주자가 서비스 전 정리상태를 높게 평가하였음에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스스로 평가한 정리상태가 양호할지라도 정리수납 서비스의 효과가 유의미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옷, 주방, 안방, 거실 공간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점에서 정리가 필요한 물품이 많거나 평소 시간을 많이 보내는 주요 생활 공간에 대한 서비스 효과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연령대에 따른 서비스 만족과 삶의 변화 만족 분석

연령대에 따른 저장 강박 예상 여부가 서비스 만족과 삶의 변화 만족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ANOVA (ANalysis Of VAriance)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전체 집단과 대비하여 40대 미만 단독거주 집단은 전체 집단보다 정리수납 상태가 좋지 못하였다<Table 13>.

Table 13.

Residents’ Perception of Their Condition Before and After Service Use

N M SD
Non-Discarding 1 Young 72 2.13 .963
Seniors 99 2.44 1.002
Non-Discarding 2 Young 72 2.47 1.150
Seniors 99 2.48 .952
Non-Arranging 1 Young 72 2.67 1.101
Seniors 99 2.55 .940
Folding Clothes Young 72 2.82 1.025
Seniors 99 2.76 .771
Storing Clothes Young 72 2.79 1.020
Seniors 99 3.05 .896
Seasonal Clothing
Segregation
Young 72 3.14 1.066
Seniors 99 3.12 .918
Fixed Placement Young 72 3.14 .997
Seniors 99 3.51 .825
Waste Separation Young 72 3.49 1.021
Seniors 99 3.53 .812
Lack of Time Young 72 3.11 1.056
Seniors 99 2.70 .874
Naturally Arranged Young 72 2.99 1.055
Seniors 99 3.33 .904
Possibility of
Improvement
Young 72 3.94 .803
Seniors 99 3.61 .913
Entrusted to an
Expert
Young 72 3.64 .969
Seniors 99 3.39 .935
Compulsive
Arranging
Young 72 3.21 1.174
Seniors 99 3.02 1.069
Will to Arrange Young 72 4.38 .680
Seniors 99 3.97 .677

또한, 집단 간 정리수납 습관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검증을 실시한 결과<Table 14>, 일부 정리수납 습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정리수납 습관 차이를 살펴보면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재활용품의 가치에 더 집착하고, 정리수납은 타고난 것이라고 더 강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년층이 노년층 대비 물건 놓는 자리를 잘 정하지 않으며, 정리에 대한 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청년층이 노년층보다 정리수납 교육 효과가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의 경우 직장 생활 등의 이유로 주거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노년층보다 짧고, 정리수납이 타고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더 크기 때문으로 이해할 수 있다.

Table 14.

Independent Samples Test

F p t df p(two-tailed) MD SED
Non-Discarding 1 Assumed Equal Variances 1.646 .201 -2.092 169 .038 -.319 .153
Not Assumed Equal Variances -2.105 156.524 .037 -.319 .152
Fixed Placement Assumed Equal Variances 3.137 .078 -2.622 169 .010 -.366 .140
Not Assumed Equal Variances -2.545 135.065 .012 -.366 .144
Lack of Time Assumed Equal Variances 1.850 .176 2.801 169 .006 .414 .148
Not Assumed Equal Variances 2.719 135.147 .007 .414 .152
Naturally Arranged Assumed Equal Variances 1.040 .309 -2.311 169 .022 -.347 .150
Not Assumed Equal Variances -2.256 138.437 .026 -.347 .154
Possibility of
Improvement
Assumed Equal Variances 4.194 .042 2.516 169 .013 .338 .134
Not Assumed Equal Variances 2.568 162.909 .011 .338 .132
Will to Arrange Assumed Equal Variances 10.251 .002 3.857 169 .000 .405 .105
Not Assumed Equal Variances 3.854 152.683 .000 .405 .105

서비스 후의 상태 개선에 대한 개인 평가를 살펴보면 모든 부분에서 청년층의 만족도가 전체 집단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때, 냉장고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다음으로는 주방, 거실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경우, 노년층 보다 가정에서 직접 음식을 만들어 식사하는 빈도가 적기 때문에 냉장고 정리 및 관리에 소홀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냉장고 정리수납의 효과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주거 공간의 정리수납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대별 서비스 만족도와 삶의 변화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경기・인천 LH 임대주택 245가구(노인가구, 다자녀가구, 청년 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30일부터 2023년 1월 30일까지 5개월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리수납의 하위 요인 중 공간확보가 안정감과 귀가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정리수납을 통해 주거지에 여유 공간이 확보되므로써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간효율성과 물건 찾기, 안정감, 귀가 행복은 정리수납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보다 이용한 후에 모두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정리수납 서비스를 통해 여유 공간이 확보되고, 정리된 물건을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되었으며, 그로 인한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직후와 한 달 후를 비교하였을 때, 여유 공간과 귀가 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리수납 서비스를 이용한 후 1개월의 시간이 지나도 공간효율성과 심리안정은 유지되었기에, 공간적 여유와 귀가 만족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안정감과 귀가 만족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서비스 이용이나 정리수납 교육을 통한 정리수납 습관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리수납 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모든 항목에서 정리수납 상태 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그 중 옷, 주방, 안방, 거실에서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주거 공간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에서의 만족도가 상승하였고, 이를 통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공간확보의 요인이 안정감과 귀가 행복에 정적 영향을 준 결과와 비교할 때, 정리수납 서비스를 통해 주 생활 공간의 여유가 확보되므로써 삶의 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 된다.

정리수납전문가가 본 상태와 거주자가 본 상태의 차이가 컸던 거실과 냉장고에 관한 서비스 결과는 옷과 주방에 대한 기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 대상자들의 주거 공간의 크기가 15평 미만의 작은 공간이라 옷과 생활용품에 대한 정리수납 스트레스가 거실이나 냉장고 정리에 대한 스트레스보다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청년층과 노년층의 정리수납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삶의 만족도 비교 결과, 물건 찾기를 제외한 정리 정돈과 공간 확보, 안정감, 귀가 행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가 젊을수록 현재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정리수납 서비스의 효과가 청년층에서 더 크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주거 복지 차원에서 노년층보다 청년층을 보다 우선으로 지원해야 하는 이유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조사 대상 중 다수가 1인 가구면서 10평 이하의 좁은 주거 면적에 거주하고 있기에 특정 요인의 영향력이 크게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사 대상이 서울・경기・인천 소재의 LH 임대주택 거주자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일반 가구 상황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1인 가구와 2인 이상의 가구 사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다양한 형태의 일반 가구에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령대에 따른 정리수납 성향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이를 확장하여 성별이나 주거 면적, 가구 형태 등에 따른 정리수납 성향 차이의 유무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수납 서비스가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노년층에 비해 청년층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독거주 형태이면서 거주 공간이 협소할수록 평소 정리가 소홀하고, 냉장고나 화장실 등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정리에 더 무관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혼자 살면 정리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 노하우가 발전되거나 개선될 기회가 적고, 관련 정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방치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추가적인 검토요인이 존재하겠지만, 주거복지의 일환으로 정리수납 서비스가 지원된다면 노년층보다는 청년층을, 다인 거주 가구보다는 단독거주 가구를, 넓은 거주 크기보다는 좁은 거주 크기의 가구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References

1

Ahn, Y. J., Kwon, O. J., & Ha, H. H. (2010). A Study on the Connection Planning between Kitchen & balcony in a Small - Sized National Rental housing, 208-213.

2

CERMIN: Journal Penelitian, 4(1), 133-147.

3

Choi, E. C., & Park, S. B. (2017). A Study on the Demand of Storage Furniture for Residents in a One-room Studio - Focused on One-person Household's Lifestyle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8(1), 27-36.

10.6107/JKHA.2017.28.1.027
4

Douglas, M. (1966). Purity and danger: An analysis of the concepts of pollution and taboo. London: Routledge.

5

Ferrari, J. R., Roster, C. A., Crum, K. P., & Pardo, M. A. (2018). Procrastinators and clutter: An ecological view of living with excessive "stuff." Current Psychology, 37(2), 441-444.

10.1007/s12144-017-9682-9
6

Jeon, J. O., & Lee, E. K. (2013). Psychology of the People Who Can't Throw Away: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mpulsive Hoard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Marketing, 28(6), 109-136.

7

Jeon, S. R., & Kim, S. Y. (2022).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ing the Use of Housing Support Programs: Focus on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s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3(2), 79-87

10.6107/JKHA.2022.33.2.079
8

Jeong, K. J. (2012). Professional organizer Level 2, The Korea Association of Professional Organizers.

9

Jeong, K. J. (2014). Professional organizer Level 1, The Korea Association of Professional Organizers.

10

Jeong, K. J., & Shin, H. S. (2023). A Case Study on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through the Creation of Organization and Storage Specialists : Focusing on the Case of Dumin Co., Ltd. Journa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16(1), 75-121.

11

Kim, H. K., & Han, M. S. (2022).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Organized Storage Educ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6(5), 31-51.

12

Kim, J. H., & Choi, Y. M. (2008). Study on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hange in the Selection Tendency of the Residential Property - Targeting Seoul Residences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31-38.

13

Kim, M. H., & Oh, J. Y. (2008). University Students' Housing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 Focusing on the Gwangju & Chonnam Area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145-155.

14

Kim, Y. J., & Jo, I. S. (2020). A Study on Living Characteristics and Housing Service Need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5), 11-24.

10.6107/JKHA.2020.31.5.011
15

Kustanti, E. R. (2020). Hubungan antara psychological well-being dengan kecenderungan perilaku konsumtif pada siswa pengguna Go-pay yang menggunakan promo cashback di SMA Negeri 2 Semarang. Jurnal Empati, 8(3), 497-504.

10.14710/empati.2019.26490
16

Lee, E. J., & Park, S. J. (2020). Frequency and Importance of Furniture Use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Single-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2), 75-85.

10.6107/JKHA.2020.31.2.075
17

Lee, J. J. (2023). A Study on User-Centered Residential Space Design in House Vision. SH Urban Research & Insight, 13(1), 47-70.

10.26700/shuri.2023.4.13.1.47
18

Lee, J. S., Choi, Y. J., Park, J. H., & Jeong, S. Y. (2002). A Study on Residents' Needs for Storage According to Unit Size in A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6), 101-110.

19

Lee, J. S., Lee, H. A., & Yoon, J. S. (2002).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Storag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3(5), 51-58.

20

Lee, M. A., Lee, Y. S., Park, J., & Jun, E. J. (2018. 6. 25). Characteristics of Service-Supported Housing for Various Vulnerable Groups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https://doi.org/10.6107/jkha.2018.29.3.081

10.6107/JKHA.2018.29.3.081
21

Lee, Y. M. (2020). A Study on the Demands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ousing Living Service for Newlywe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2), 65-73.

10.6107/JKHA.2020.31.2.065
22

Lewczyk, M. (2018). How decluttering can help you control your anxiety. Prevention.Com.

23

Lim, E. S. (2000). Research of Wall Storage System design process for residential spac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81-291.

24

Mustomi, D., & Puspasari, A. (2020). Pengaruh Media sosial terhadap perilaku konsumtif mahasiswa.

10.36841/cermin_unars.v4i1.496
25

Ryu, H. J., & Kim, S. K. (2021). Content Analysis on the Amenities and Housing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2(4), 1-11.

10.6107/JKHA.2021.32.4.001
26

Shin, H. K., Jo, I. S., & Kim, H. S. (2018).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urhood on the Subjective Depression of Residents by Housing Typ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9(5), 15-27.

10.6107/JKHA.2018.29.5.015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