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 April 2024. 083-091
https://doi.org/10.6107/JKHA.2024.35.2.083

ABSTRACT


MAIN

  • I.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II. 이론적 배경

  •   1. 국내 집창촌의 역사 및 현재

  •   2. 국내 집창촌 변화 유형

  •   3. 집창촌 관련 선행연구

  • III. 분석방법

  •   1. 분석대상

  •   2. 분석의 틀

  • IV. 분석내용

  •   1. 문화재생사업 계획 특성 분석

  •   2. 재생효과 분석

  • V. 결 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일제강점기 시기에 생긴 국내 집창촌은 2004년 성매매 특별법 제정 후 급속도로 낙후하면서 집창촌이라는 지역의 부정적 이미지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공실률 증가와 슬럼화 현상이 가속화되었고 점차 도시 개발에 밀려 낙후 및 쇠퇴 현상 등을 보였다. 이에 전국의 각 지자체는 집창촌 지역을 개발 및 폐쇄 등 원도심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할 대안으로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도시재생적 측면에서 발전시키려는 시도 또한 여러 차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집창촌 지역의 해결 방안 중 도시재생 측면에서 진행된 국내 사례 3가지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류하고, 재생 효과 및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집창촌을 문화 사회적 측면으로 재생산 시키려는 움직임에 따른 결과 도출로, 각 사례별 용도지역에 따른 변화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집창촌 도시재생의 재생 효과와 한계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집창촌 도시재생에 요구되고 있는 해결책 마련을 위한 필요 시사점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과거 성매매 업소로 집결되어 성행하던 집창촌이 개발 및 폐쇄된 형태 외에 도시재생 대상으로 진행된 국내 사례 3가지를 선정하여 해당 연구의 대상으로 진행한다. 해당 사례는 전주 선미촌과 아산 장미촌, 파주에 위치한 집창촌 20포를 대상으로 하며, 각 대상지는 모두 2016년도로 같은 시기에 도시재생이 진행되었다. 낙후 쇠퇴에 의한 재생 원인으로, 주체는 지자체 주도하에 이루어져 왔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재생계획 분석, 현황조사를 활용하며, 문헌 연구는 도시에 위치한 집창촌 물리적 환경과 재생사업에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자 한다. 재생계획 분석은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기 전후의 도시 계획 자료와 시대별 지도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각 지역의 현황조사는 국토정보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지도 서비스를 기초자료 및 보도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내용적 범위로는 도시재생된 집창촌 사례 중 문화재생에 초점을 맞추어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도시재생적 맥락에서 지역을 발전시킨 재생 효과 결과를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 본 연구의 범위이다.

II. 이론적 배경

1. 국내 집창촌의 역사 및 현재

집창촌은 성매매 집결지로 흔히 사창가, 홍등가, 윤락가, 기지촌 등으로 불리는 지역이다. 여성가족부와 서울대 여성연구소에서 만든 2007년 성매매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직접적 성매매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업소가 10곳 이상 모여 있는 지역으로 정의 내리고 국내 집창촌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해당 연도에 전국 45곳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Byeon et al., 2007).

이러한 집창촌은 조일수호조규(강화도조약) 체결 이후부터 시작된다. 당시 형성된 곳이 1902년 옐로 하우스, 1908년 대구 자갈마당, 1902년 부산 완월동으로 대표적인 집창촌이었으며, 광복 이후 1940년부터 1970년대까지 생겨난 곳이 총 23곳이다. 관련한 내용은 <Figure 1>과 같다.

이중 서울의 청량리 ‘588’, 미아리 ‘텍사스’. 부산의 완월동이 대표적 성매매 집결지로 유명했으며 현재 청량리 ‘588’은 재개발 완료로 롯데캐슬 SKY-L65가 있는 곳이다. 미아리 ‘텍사스’는 서울에 마지막으로 남은 집창촌으로 불렸지만, 현재는 2023년 10월 재개발이 확정돼 현재까지 이주 기간에 들어간 상태이다. 부산의 완월동은 국내 가장 큰 규모의 성매매 집결지로 아직까지 120년이 넘도록 운영되고 있지만 2023년 7월 부산시가 재개발 계획을 승인하면서부터 관련 절차가 진행 중에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8/images/Figure_khousing_35_02_08_F1.jpg
Figure 1.

The Evolution of Domestic Red-Light Districts

Table 1.

Detailed Table by Case in The Map

Id Year Case Existence
1 1902 Yellow House X
2 Wanwoldong, Busan O
3 1908 Jagalmadang, Daegu X
4 1940 ~ Yongsan Station, Seoul X
5 Daein-dong, Gwangju X
6 Gonghwa-dong, Yeosu O
7 1950 ~ 588, Cheongnyangni X
8 Cheonho-dong X
9 Yeongdeungpo Station, Seoul O
10 Geuk-dong X
11 Yongjugol, Paju O
12 Gijichon, Dongducheon X
13 Ssammari, Pyeongtaek O
14 Suwon Station X
15 Nancho Village, Chuncheon X
16 Rose Village, Chuncheon X
17 Heemae Village, Wonju O
18 Sunmi Village, Jeonju X
19 Sunhwa Village, Jeonju O
20 Songjeong-dong, Gwangju X
21 Jeokseon Jidae, Gyeongju X
22 Haeundae 609, Busan X
23 1960 ~ Miari Texas, Seoul X
24 Sanjicheon, Jeju O
25 1970 ~ Yucheondong, Daejeon O
26 Jangmimaeul, Asan O
27 America Town, Gunsan O

Source: Sunmi Village Archive Exhibition <Women’s Rights Records and Memories>

이처럼 개항 초기 일본인의 유입과 함께 매춘업 관련 종사들의 유입으로 성매매가 시작되었고, 이후 성병 통제 및 세금 징수를 위한 공창제가 실시되었다. 해방 이후로 1940년대에도 성매매 행위의 폐지가 1947년도에 이루어졌지만 기존 공창가지역은 사창가로 변질하여 성매매가 지속되었다. 현재에 다다라 2004년 성매매 특별법이 공포된 후 전국적으로 집결지가 폐쇄되기 시작했지만 성매매 업소가 음성화되어 일반 주택가 및 상업지역에 스며들면서 변종 성매매 업소로 변질되거나 기존 성매매 지역의 낙후 및 슬럼화 현상이 가속된 상황이다(Kwon, 2007).

2004년 성매매 방지법 제정 이후, 사람들의 성매매 불법 인식률이 점차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집창촌들이 사라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개발, 폐쇄, 재생 등의 다양한 양상이 관찰되고 있다.

2. 국내 집창촌 변화 유형

2002년 성매매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매매 집결지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성매매가 일차적 업종인 전업형 성매매(업소형)와 대규모 성매매 집결지, 소규모 성매매 업소로 구별된다. 전업형 성매매의 경우 특정 성매매 밀집 지역으로 여성은 성매매를 통해서만 생계유지가 지속되며, 업주와 종사 여성 간에 법률적 성격이 모호한 특징이 있다. 대규모 성매매 집결지는 앞서 <Figure 1>에서 소개한 내용에 해당하며, 소규모 성매매 업소는 군소 규모의 윤락 장소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지역들이다(Kim et al., 2002).

이러한 성매매 집결지의 업소 형태는 유리방, 방석집, 여인숙, 기지촌, 판잣집 등 나뉘게 되며, 가장 지배적인 업소 양태는 유리방이다. 2019년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총 업소 1,852개 중 휴업 및 폐업한 업소의 수는 282개로 15.2%에 다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Bak et al., 2019).

최근 보도자료 2021년 3월 기준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전국 성매매 집결지는 총 483개 업소로 종사자 1208명에 다다라 2019년도에 비해 1,570개 중 483개로 줄어들어 약 69.2% 대폭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역에서의 용도 전환을 위해 각 지자체에서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의 여파로 인한 자진 폐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각 지자체에서는 여관이나 여인숙 형태의 집결지에 대한 도시재생 등 프로젝트가 논의되고 있으며 그 형태는 개발, 정비, 재생, 폐쇄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성매매 집결지 중 사라져가는 변화 형태에 대한 본 연구의 조사 내용은 <Table 2>과 같다.

Table 2.

Form of Change in Collection of Prostitution

Regions Case Scale Form of Functional Changes Year
Establishments Employees
Seoul Yeongdeungpo Station 39 116 Redevelopment 2021
Wolgok Miari 79 148 Redevelopment 2020
Busan Wanwol-dong 10 120 Urban Public Development 2023
Daejeon Jungang-dong 101 150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21
Gyeonggi
South
Suwon Station 71 200 Closure 2021
Seongnam Jungdong 7 23 Closure 2020
Pyeongtaek Samri 65 211 Urban Renewal Project 2020
Gyeonggi
North
Paju Yongjugol 35 70 Redevelopment 2015
Paju 20-Po 25 -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 2016
Dongducheon Saengyeon 7-ri 16 24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20
Chungnam Asan Rose Village 84 200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16
Gangwon Wonju Heemae Village 12 16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19
Sokcho Geumho Industrial 7 11 Urban Regeneration Project 2021
Jeonbuk Jeonju Sunmi Village 10 15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 2016
Gyeongbuk Pohang Chung-Ang University 15 50 Closure 2020
Gyeongnam Changwon Seoseong-dong 17 53 Closure 2021

Source: https://www.police.go.kr/index.do

위 내용을 종합해 본 결과로 서울 영등포 역전과 월곡 미아리, 부산 완월동, 경기북부의 파주 용주골의 경우 용도 변환을 위해 재개발 방식이 진행되었으며, 대전 중앙동과 경기북부의 파주 20호, 동두천 생연 7리, 아산 장미촌, 강원 원주 희매촌, 속초 금호실업, 전주 선미촌과 같은 지역에서는 재생 방식을 사용했다. 그 외의 수원 역전과 성남 중동, 포항 중앙대학과 창원 서성동이 자진 이주 및 보상 협의에 따른 폐쇄가 이루어졌으며 별도 정비 사업에 의한 폐쇄 형태도 보이고 있다. 다양한 변화 형태 중 재개발과 같은 지역 용도 전환 방식은 비교적 과거에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도시재생 및 문화재생과 같은 방식이 진행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국내의 집창촌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전업형 성매매 업소에 포함되지 않는 신 변종 된 자유업종이 나타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성매매 알선 가능 업소 개념으로 성매매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곳들로 그 형태는 전화방, 인형방, 대딸방, 키스방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오피스텔에서의 성매매가 성행하고 있으나 엄격한 고객 관리 및 이동성과 은밀성 등 실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중간형 성매매에서 더 나아가 장소적 고착성과 집결성이 떨어지는 인터넷을 활용한 조건 만남 등 온라인 성매매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3. 집창촌 관련 선행연구

국내 집창촌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주제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들은 집창촌의 형성 과정과 해당 사례의 주변 환경 및 물리적 위계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분석이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집창촌 도시재생의 물리적 특성과 해당 도시재생 진행 이후 변화된 재생 효과에 대해 살펴보는 기준으로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성매매 집결지(집창촌)의 기원에 관한 연구는 한국 사회의 매매춘 현상에 대한 원인과 역사, 집창촌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Kim, 2008). 또한 2004년 성매매 방지법이 생겨난 이후 집창촌의 변화 양상과 집행 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Kwon, 2007), 성매매 집결지가 주변지역 주민의 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Kim, 2010)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다음으로 집창촌 도시재생 유형에 관한 연구는 도시재생의 원인과 재생 주체, 계획, 효과 관점에서 새로운 유형을 도출해 내고 있다(Jung, 2016). 해당 논문은 집창촌이 도시재생된 사례를 국내외 조사하여 변화된 특성과 도시적 맥락 파악 및 상호 관계를 파악한다. 이들의 특성을 반영한 관리 방안의 형태와 기존 도시재생의 계획을 새로운 기준을 도입해 분류하고 재생의 효과가 해당 사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새로운 집창촌의 도시재생에 대입해 보며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도시재생 관련 다른 연구로는 집창촌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며 해당 사례의 회복적 해체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Hwang, 2021).

그 밖에도, 집창촌 관련 선행연구로는 도시 성매매 공간에서의 사회적 생산과 구성에 관한 연구(Seo et al., 2016)와 성매매 의식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방안 연구(Bak et al., 2005), 각 지역에 대한 성매매 집결지 현황 조사 및 자활지원방안 모색(Jung & Kim, 2021) 등 집창촌의 기능 변화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집창촌에 관한 연구 중에서도 문화 도시재생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 창조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고 도시재생이 시행된 이후 변화된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II. 분석방법

1. 분석대상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집창촌 변화 형태 중 오늘날 많은 언급이 되고 있는 도시재생에 초점을 맞추어 사례를 선정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개선 기여도 여부에 관해 면밀히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Table 2>의 사례들 중 진행된 연도가 2016년으로 동일하며, 기능 변화 형태가 문화 재생에 초점이 맞춰진 사례 3개를 선정해 해당 사례들의 규모 및 역사적 배경과 도시재생 이전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8/images/Figure_khousing_35_02_08_F2.jpg
Figure 2.

Sunmi Village in Jeonju

먼저 전주 선미촌의 경우 전라북도 전주시 서노송동에 위치한다. 일반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 사이에 해당하며, 1960년대 초 과거 일제강점기, 기차역 주변으로 피난민과 노동자가 모이면서 주거지역으로 형성되었다. 총 84채의 건축물로 이루어지며 22,760 m2에 다다르는 규모이다. 교통과 행정, 교육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하숙 및 교육권이 발달된 것이 특징이며, 전주 한옥마을과도 밀집해 있어 도시재생 이전에는 전주시의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인구 유입 저하로 인한 선미촌의 도심 공동화 현상과 교육 중심지로서의 청소년 성매매 문제 등을 고려해 문화재생사업을 추진하였고, 해당 서노송예술촌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점진적 기능전환 방식을 통해 2022년까지 사업이 진행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8/images/Figure_khousing_35_02_08_F3.jpg
Figure 3.

Rose Village in Asan

장미마을은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에 위치하며, 온양온천역 북쪽에 자리해 온양관광호텔과 온양온천, 전통시장과 밀접하게 위치한다. 유동인구 증가에 따라 식당 및 술집이 늘어나면서 유흥가가 형성되었고 된장 골목이라 불리다 1980년대부터 장미마을 명칭이 생겨나 유리방 형태 집창촌으로 발전하였다. 용도지역은 일반상업지역이며, 용도지구로는 일부가 일반미관지구로 지정되어 있고 주거환경 및 청소년 보호를 위해 특정 용도제한지역으로 지정된 상황이다. 대상지 면적은 약 160,225 m2 규모에 해당하며 충남 최대 성매매 집결지로 2017년까지 18개 업소 및 80명 종사자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아산시는 2016년에 도시재생사업을 언급하였으며 2019년부터 여성친화형 도시재생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장미마을 ROSE 프로젝트를 시행되었고, 현재는 여성, 청년, 협동조합의 취업과 창업을 위한 공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쉼터 및 공동체 공간이 들어서고 있으며 성매매 업소는 4곳 정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8/images/Figure_khousing_35_02_08_F4.jpg
Figure 4.

No. 20 in Paju

파주 20포는 경기 북부에 위치한 파주 용주골과 가까우며 천현면 법원리에 위치한다. 2015년까지 지상 2층 높이 건물 25개 동이 밀집해 있었으며, 제 1종일반주거지역에 해당한다. 과거 파주 20포 마을은 천면면의 초리골 입구에는 최초 파주군 성병 관리소가 설치될 만큼 미군과 기지촌 여성 수가 많은 지역이었다. 금촌과 문산을 더불어 파주 중심 읍내에 해당하는 동네였으나, 경의 중앙선 철도가 이어지면서 서울과 접근성이 좋아진 금촌과 문산에 비해 외지고 산지 및 군사보호구역으로 둘러싸여 개발이 제한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낙후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슬럼화되어가는 거주지를 지자체와 민간이 협력해, 주거환경복지 차원에서 마을재생 프로젝트 사업이 실시되었고, 사례를 포함한 4개 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2022년 개선 사업을 완료한 상태이다.

Table 3.

Use Area by Case

General Residential Zone General Commercial Zone
Case 1 O O
Case 2 X O
Case 3 O X

해당 사례 3가지의 용도지역을 분류해 보면 <Table 3>와 같이 살펴볼 수 있다. 사례1인 전주 선미촌은 일반상업지역과 일반주거지역 사이에 위치해 전용주거지역과도 근접하게 위치하며 과거 성매매 집결지의 규모가 더욱 큰 시기에는 일반주거지역 내에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례2인 아산 장미촌의 경우 일반상업지역에 위치하며, 최근 도시재생된 이후에는 자연녹지지역이 일부 생겨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사례3의 파주 20포는 자연녹지지역으로 둘러싸인 일반주거지역에 해당하며 매우 작은 영역의 일반상업지역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2. 분석의 틀

문화재생사업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두 가지 주요 측면을 고려한다. 먼저 각 사례별 문화재생사업에 관한 계획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해당 사업의 주체와 프로그램 운영 방향성을 정의 내리고, 이를 토대로 관계 및 특성을 분석하여 각 사례별 형성된 문화재생에서의 관계도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용도지역에서 재생 계획이 어떻게 차별화되는지 비교하고, 해당 재생의 효과를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 이에 대한 결괏값을 수치화하여 현재 사례별 지역적 변화에 대한 양상을 수리적으로 진단하고 도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도시재생이 끝난 시점에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문화도시재생이라는 유사한 성격 내 서로 다른 용도지역에 위치한 상황에서의 결과와 현재 모습을 다각도로 비교 분석해 강점 및 한계점 등을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 내용을 종합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집창촌의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Table 4.

Urban Regeneration Plan Analysis

Case 1. Sunmi Village, Jeonju 2. Rose Village, Asan 3. 20-Po, Paju
Location Seonosong-dong,
Jeonju-si, Jeollabuk-do
Asan-si, Chungcheongnam-do 245th Street, Beobwon-eup,
Paju-si, Gyeonggi-do
Scale of
Commercial
District
60 buildings, 160 people → X 80 buildings, 200 people → X 25 buildings → X
Land area 22,760 m2 160,225 m2 17,000 m2
Project Title Seonosong Art Village Project Onyangwo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Beobwon-eup Five-senses
Satisfaction Hopeful
Lighting Project
Year 2016
Budget 210 billion won 167 billion won 112 billion won
Implementation
Contents
· After purchasing buildings,
converting them into cultural
spaces
- Art Bookstore
- Community Garden
- Community Communication
- Village History Museum
· Conducting cultural and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 Forming a tourism belt
· Linking with communities
and women’s organizations
· After purchasing After
purchasing buildings,
supporting youth startups
and women’s rights
- Women’s Community Centers
- Youth-Centered Cultural Hubs
- Social economy, youth startup
- Economic and cultural complex
· Expanding and paving urban
planning roads
· Creating Gender Equality Streets
· Bylaws for self-support for
victims of prostitution and
others
· Transformation into a cultural
arts village
- Stone Bridge Cultural Village
Experience and Sales Center
- Composite Community Center
· Environmental improvement
- Creation of flower beds
· Creation of traditional lantern
streets
· Maintenance of artist studios
· Village event promotion
· Festival of Hope and Light
Cause Increased vacancy rates, deterioration of streetscape, security issues
Agent Led by local governments
Agent Elements Local government >
Experts >
Private enterprises
Local government >
Private enterprises >
Experts
Local government >
Residents >
Private enterprises
Plan Cultural creation

Source: Jeong, A Study on The Types of Uruban Regeneration of Red-light districts 2016, Asan City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2016

IV. 분석내용

1. 문화재생사업 계획 특성 분석

전주 선미촌의 도시재생 계획은 1단계, 2016년부터 2년간 선미촌 지역의 건물과 토지 조사 후 매입해 거점공간을 확보하여 경관을 개선하는 것이었으며, 2단계로 2019년까지 전주 한옥마을과 연계한 전통문화 관광벨트 구축 및 차 없는 거리 조성과 성매매 업소의 자진 폐업이었다. 또한 문화재생사업에 맞게끔 기존 성매매 업소 건물을 박물관 및 미술관으로 리모델링하며, 문화 예술창작활동을 진행해 관광객 유입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2인 아산 장미촌은 선미촌과 마찬가지로 토지 및 건물을 매입해 청년과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청년창업공간 및 여성 커뮤니티센터를 설립하였다. 또한 경관 개선을 위해 도시계획도로를 확대 및 포장하고, 문화재생을 위한 청년 함께 문화중심지 및 경제 문화복합공간을 형성하였다. 사례3 파주 20포의 문화재생사업은 4개 마을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으로, 성매매 집결지의 폐쇄와 마을 행사를 추진할 수 있는 곳으로 형성하기 위해 지역과 주민에 중점을 두어 복합 커뮤니티센터 및 마을 행사 추진, 문화마을 체험과 전통 등 거리 조성 등으로 구성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8/images/Figure_khousing_35_02_08_F5.jpg
Figure 5.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Relationship Networks in Cultural City Revitalization

이러한 문화재생사업 계획의 관계도를 분석해 보면 다음 <Figure 5>와 같이 살펴볼 수 있다. 문화재생사업은 주로 지역에서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가치를 가진 문화재나 건축물 등에 중점을 두어 보전 및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 문화적 활동을 촉진하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대한 방향성은 각 사례마다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모두 지역과 관광, 예술에 초점을 두어 구도심을 재생시키려고 하고 있으며, 해당 문화창작에 관한 운영자 및 주체는 기존 거주자들인 주민들과 여성, 외부에서 유입되는 청년과 예술가로 나눠볼 수 있다. 주체들 중 주민과 지역, 예술과 예술가처럼 상호 필수적으로 연결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으며, 여성이 주체가 되는 프로그램 또한 지역사회의 개선을 목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b-A의 연계성을 추가로 살펴볼 수 있었다.

Table 5.

Case-specific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Relationship Networks

Taget Program
Case 1 dB,C
Case 2 b,cA
Case 3 aA,B

A: Local, B: Tourism, C: Art, a: Residents, b: Women, c: Youth, d; Artists

각 사례 3가지의 문화도시재생 관계도에 대입해 분석해 보면 다음 <Table 5>과 같다. 전주 선미촌은 예술을 중심으로 한 관광을 촉진하기 위해 예술 작가들을 운영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아산 장미촌은 여성과 청년을 중점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했다. 파주 20포의 경우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과 관광에 운영 방향성을 두어 도시재생을 진행한 것이라 분석된다.

2. 재생효과 분석

문화재생사업에서 주된 운영 방향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지역, 관광, 예술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정의 내렸기에 이에 따른 효과 분석을 지역-사회적, 관광-경제적, 예술-문화적 차원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지역 현황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도시재생의 원인인 공실률 증가, 거리 경관 저해, 치안 문제의 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해 도시재생의 효과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는 구두 자료 및 도시재생 계획 실현 여부 등을 고려하였으며, 지역별 생활지리정보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Table 6>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전주 선미촌은 불충족(X)으로 평가된 것이 7개로 3개 사례 중 가장 많이 나왔으며, 아산 장미촌은 부분적 충족(△)으로 미흡한 결과가 많았다. 반면 파주 20포의 경우 충족(○) 평가가 가장 많이 나와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전주 선미촌은 문화재생사업에서 관광과 예술에 초점을 맞추어 예술가를 적극 투입한 결과이다. 선미촌은 성공적 사례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지만, 2022년 전주시 사업 중단과 함게 많은 문화공간이 민간으로 위탁되어 운영방식이 바뀌면서 활동이 저조해진 현황이다. 또한 도시재생의 주요 원인인 공실률 증가에 대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긴 시간 방치되면서 거리 경관을 더욱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한 구도심 살리기나 인식 변화 등에 긍정적인 결과를 못 미쳐 더욱 낮게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용주거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하지만 사업 주체로 주민들보다 예술가가 중점이 되면서 기존 지역 내부인들에 대한 불만이 나타났으며 사회 교류가 활성화되기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아산 장미촌의 경우 청년과 여성을 주체로 지역-사회적 측면으로 운영 방향성을 띠었는데, 이에 대한 결과로 사회 교류 활성화와 지역 인프라 구축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다. 도시재생의 원인인 공실률 증가와 거리 경관 문제 또한 선미촌에 비해 해결된 것으로 보이지만, 성매매 업소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 치안 문제와 인식 변화 등의 한계가 나타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파주 20포 사례는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과 관광에 초점을 두어 재생사업이 이루어졌는데, 일반주거지역 내 위치한다는 점과 연계되면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관광사업과 문화 예술 행사 개최가 주되게 이루어지면서 지역 경제 인프라가 구축되었고, 사회 교류가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도시재생 원인 또한 모두 해결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파주 20포가 앞의 사례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성매매 집결지 형태를 띠고 있어, 비교적 원활하게 해체되었고 이로 인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Table 6.

Urban Regeneration Impact Analysis

Case 1 2 3
A. Local
(Cultural
Aspect)
1. Change in Perception XX
2. promoting Social Exchange
3. Revitalizing Urban Centers X
4. Reducing Prostitution-related Female Issues
B. Tourism
(Economic
Aspect)
1. Contributing to Commercial Activation XX
2. Building Local Economic Infrastructure X
3. Fostering Tourism Initiatives X
4. Economic Ecosystem X
C. Art
(Social
Aspect)
1. Public Art Projects X
2. Utilizing the History of Prostitution XX
3. Utilizing Local Histor
4. Hosting Cultural and Arts-Based Events
Addres
sing the
Causes
1. Decreased Vacancy Rates X
2. Improvement of Streetscape X
3. Security Issues X

X: Inadequate, △: Partly fulfill, ○: Adequate

V. 결 론

본 연구는 성매매 집결지의 사라져가는 변화 양상 중에 오늘날 많은 관심을 받는 도시재생 중 문화재생이라는 공통점을 갖는 사례들이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물리적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여 강점과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세 가지 사례에서 문화재생은 지역, 관광, 예술이라는 큰 영역 내 여성, 청년, 예술가, 주민 등 다양한 주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관계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반주거지역이나 일반상업지역과도 연결되어 재생 결과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성공사례로 많은 주목을 받은 선미촌은 오히려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실제로 최근에는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보도가 나오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주 20포와 달리 큰 규모의 성매매 업소를 완전히 없앴다는 점에서 세 사례 중 차별성을 지니고 있지만, 그 이후의 재생사업에서는 한계를 보였다. 반면 아산 장미촌은 사례1,3과 전혀 다른 대상을 주체로 하고 있지만 더 나은 지역사회를 형성하고자 하는 방향성과 잘 맞물리면서 프로그램보단 주체가 중심이 되어 원활히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는 4개의 성매매 업소가 남아있어 재생 분석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추후 이 부분이 해결되면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파주 20포는 일반주거지역에 해당하면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운영 방향을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는 점이 기존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일으킬 만한 방향으로 잘 구성된 사례라 해석된다. 하지만 사례1,2와 다르게 도시재생이 시작되기 전부터 집창촌이 점차 폐쇄되고 있었고 그 규모가 훨씬 작았다는 점에서 보다 더 쉽게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문화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봤을 때, 각 사례별 운영 주체와 운영 방향성은 용도지역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업지역에서 여성과 청년을 대상으로 지역 발전을 계획한 아산 장미촌과, 주거지역에서 주민들을 대상으로 관광 및 지역 발전을 계획한 파주 20포는 비교적 해당 지역에 녹아들어 도시재생에 이바지한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고, 반면 상업지역에 해당하여 예술가를 대상으로 관광 및 예술 발전을 계획한 전주 선미촌은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이 밀집해 있는 것을 고려하지 않아 주거지역에서의 주민들이 운영 주체에 제외되면서 생기는 문제점과 이에 따른 지속적인 재생에서의 한계점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재생사업이 종료된 후 살펴본 결과, 재생 과정에 형성되었던 많은 문화공간이 사업과 행사가 중단되면서 공공에서 민간으로 위임되어 운영방식이 변경되었다. 공공은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지 않다면, 민간이 사업을 원활하게 계속하여 지속적인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해결책을 마련해 줘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러한 면에서 파주 20포는 주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기에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자발적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경제 생태계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해당 사례의 도시재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선행연구(Hwang, 2021; Kim, 2021; Park, 2019)들과 달리, 사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문화재생을 목적으로 진행된 3가지의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기존 평가와는 대조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이를 통해 물리적 계획과 재생 전후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했다. 다만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문화재생의 관계도가 사례 3가지를 토대로 형성된 것으로 주체와 운영 방향성에 대한 요소가 제한적이다는 한계를 지닌다.

References

1

Bak, J. G., Ahn, W. K., Lee, Y. A., Song, K. S., ... Cho, K. W. (2005).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rostitution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Jeonbuk Development Institute.

2

Bak, J. H., Lee, Y. H., Song, B. G., Kim, J. S., ... Lee, U. N. (2019). A Study on the Status and Response of Prostitution.

3

Byun, H. S. (2007). National Prostitu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4

Cho, S. A. (2019). An analysis about 'Self-Sufficiency' discussions in the closing process of prostitution si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 University.

5

Hwang, S. H. (2021) A study for Reformative Dismantling of the Red Light District - the case of the 'Sunmi-chon' Red Light District in Jeonju, Korea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Jung, D. U., & Kim, S. S. (2021). A Study on the Status of prostitution gathering sites and Self-Sufficiency Support Plan in Busan. Busan Women and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7

Jung, S. J. (2016). A Study on The Types of Urban Regeneration of Red-light distri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8

Kim, H. S. (2008). The Origin of the Prostitute Block Examination of the Park Jeong Hi Regime. Historical Studies No. 20, Historical Studies Institute.

9

Kim, I. T.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Prostitution Gathering on the Use of Space by Residents in Surrounding Areas. University of Seoul.

10

Kim, U. G. (2002). National Survey on the Status and Economic Scale of Prostitution in South Korea.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KIC 02-53. Retrieved from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041103723&gubun=search

11

Kim, Y. B. (2021).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of Prostitution Districts through Arts and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

Kwon, Y. S. (2007). The Empirical Study of the Anti-Prostitution Act Effect: The Focusing on Tightening Control Action on Prostitutio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CTION, 18(1), 221-241.

1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Seoul National University Women's Research Institute (2010). Report on the State of Prostitution in 2010. Retrieved from https://www.kwdi.re.kr

14

Park, Y. J., & Kim, H. (201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onmichon Regeneration in Jeonju - Focused on the Governance's Activities & 'Boundary Breakdow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0(1), 87-96. 10.6107/JKHA.2019.30.1.087

10.6107/JKHA.2019.30.1.087
15

Seo, U. S., Ahn, J. H., Maeng, K. D., Yun, N. R., & Kim, S. J. (2016). Social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the Red Light District - A Case Study of 'Missbang' in Cheongnyangni 588, Seoul -. Seoul Studies, 17(3), 117-14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