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 April 2024. 037-044
https://doi.org/10.6107/JKHA.2024.35.2.037

ABSTRACT


MAIN

  • I.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II. 이론적 배경

  •   1. 국내 1인가구의 특성

  •   2.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   3.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

  • III. 연구방법

  •   1. 조사대상

  •   2. 조사내용

  • IV. 사례분석

  •   1. 사례분석

  •   2. 소결

  • V. 결 론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인구의 고령화, 비혼(미혼) 가구의 증가, 이혼율 증가 등으로 인해 1인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1인가구 비율은 2050년에는 40.3%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SIS, 2021). 1인가구는 외로움, 사회적 고립에 위험도가 높은 편이며(KIHASA, 2023), 이로인해 고독사 및 자살로 2차 문제를 야기했다. 이에 1인가구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 및 지자체는 서울시 1인가구 지원조례 제정(2016년)을 시작으로 마을 또는 지역으로 범위를 축소하여 1인가구의 사회관계망을 형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1인가구는 다인 가구와 달리 의식주부터 주거지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역할을 홀로 부담해야 하므로 이 역할을 분담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필요로 했으며(Ryu, 2022), 이에 서울시는 1인가구에게 취사 및 식사를 함께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공유부엌 등 제3의 장소를 활용하고 있다(서울시 1인가구 지원 조례 제3조).

광주광역시에서도 2016년부터 마을커뮤니티공간을 조성하여 주민들의 필요 서비스를 주민주도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동구는 1인가구 또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적 소외, 돌봄, 커뮤니티의 부재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며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Kim & Moon, 2022). 하지만 마을커뮤니티공간의 물리적 조성측면에서의 양적 공급이 팽배해지면서 운영관리 미흡, 개인의 사유화, 유휴공간으로 변질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이는 변화된 커뮤니티에 따라 마을커뮤니티공간의 기능 및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1인가구는 일상에서 언제든 방문할 수 있는 제3의 장소를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을커뮤니티공간을 변화된 1인가구의 커뮤니티 방식에 따라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의 정의 및 기능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여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가치와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이론적 배경

1. 국내 1인가구의 특성

1인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또는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의미한다(KOSIS, 2023).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가족형태의 다양화, 개인화 등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1인가구 싱글라이프(Single-Life)가 보편화되었다. 특히 코로나19이후 개인화 성향이 가속화되었으며(KB Research, 2020),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1인가구의 공간니즈 또한 변화된 양상을 보이며, 다음 <Table 1>과 같다.

Table 1.

Space Need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Lifestyle Changes

Change in Lifestyle Space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
Economic consumption occurs within the living
area near the house.
Access
The line between work and life has become blurred
due to non-face-to-face daily life.
Area
It functions variously on a small scale, such as
housing, work, and play.
Efficiency
Instead of marriage, they spend time for
themselves, such as hobbies and travel.
Activity
Pursue physical safety and emotional stability. Safety

1인가구의 주관적인 삶의 질, 만족감은 매우 낮으며(Moon & Song, 2020), 85% 이상은 생활 내 건강관리・외로움 등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Trendmonitor, 2022). 이로 인해 1인가구는 사회적 관계 약화, 우울감 및 사회적 고립감 증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대처할 수 있는 일상에서의 근린네트워크의 부재로부터 초래되고 있다(Lee, 2014).

2.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1) 제3의 장소

개인화, 가족해체 등 현대사회의 문제가 커뮤니티의 단절로 이어지면서 제3의 장소는 재조명되기 시작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제3의 장소는 주거지 내 위치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집처럼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개인의 심적 휴식과 경험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사회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반공적(半公的), 반사적(半私的) 공간이다(Choi, 2020; Park, 2021; An, 2021; Ryu, 2022).

선행연구(Kim, 2018; Choi, 2020; Park, 2021; Ryu, 2022)에 의하면 제3의 장소의 주요 특성은 접근성, 유희성, 편안성, 개방성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접근성은 지리적으로 거주지로부터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생활동선 내 시각적으로 자주 노출되어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유희성은 대화를 기본으로 놀이 행위까지 지원하여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편안성은 집과 같은 편안함으로 친환경 소재, 적절한 온도와 공기, 빛 등의 요소로 심리적 안정된 환경으로 공간의 긍정적 이미지를 주어 체류 시간 및 자주적 방문을 높일 수 있다. 개방성은 투명한 재료 및 개방된 창과 문 등 내・외부가 보이는 입면을 통해 시각적 개방감을 주어 심리적 접근을 높여준다. 또한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공간의 용도를 가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은 지역 내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가볍게 모여 교류하며 휴식하며 취미・여가를 즐길 수 있는 제3의 장소의 역할을 하게 한다(Ishiyama, 2022).

최근 서울시는 이러한 1인가구의 문제해결을 위해 각 자치구별 1인가구 커뮤니티센터를 조성해 휴식 및 충전, 교류의 장으로서 제3의 장소이자 1인가구를 위한 특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조성된 강남구 1인가구 커뮤니티센터의 이용자 대상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공간을 매개로 서로 교류를 통해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 있다는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는 1인가구에게 집과 직장 외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이 중요한 곳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커뮤니티에 따라 기존 마을커뮤니티공간이 제3의 장소로서 구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 마을커뮤니티공간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로 이동의 편리성 및 주거 형태의 변화로 장소와 사람 간의 연결이 약해지게 되었으며, 현대의 커뮤니티는 인위적으로 조성된 네트워크형 공동체로 발전하였다. 지역의 특성에 따라 생활권 중심 공간으로서 주민이 모일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기 위해 커뮤니티시설이 등장하였다(Jeong, 2022). 마을커뮤니티공간은 타 커뮤니티공간과 달리 운영 주체가 주민이며 주민의 필요와 요구에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한 유연한 공간으로(Park, Kim, & Hwang, 2013) 문화・복지・여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주민들의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다.

마을커뮤니티공간은 건물 및 이용 규모, 경제적 여건에 따라 공간 구성은 상이하나 선행연구에 의하면 진입공간, 다목적공간, 교육공간, 휴게공간 등으로 구성된다(Lee, 2018; Kim, 2020; Jeong, 2020). 광주광역시에서는 마을커뮤니티공간 내 공유부엌을 조성하여 음식을 매개로 자연스러운 커뮤니티 형성 및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특성은 선행연구에 의하면 다음 <Table 2>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나타난 접근성, 개방성, 다양성, 지역성 4가지를 마을커뮤니티공간으로 도출하였다. 접근성은 일상 동선과 근접하여 사회적 약자도 접근이 편의를 도모하며 눈에 쉽게 노출되는 입구 및 안내 사인으로 시각적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개방성은 공간의 확장 및 투명 물성에 의한 외부와의 시각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며, 공간의 용도가 개방되어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다양성은 다양한 계층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태를 지원한다. 지역성은 일정한 지역을 공유하며 역사・문화・사회적 특성에 따른 독자적 활동으로 유대감을 형성한다.

Table 2.

Village Community Spac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Researchers

Space
Characteristic
Detailed Planning Elements Researcher
ABCDE
Locality Independent Activities based o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 · ·
Sense of
Community
Community Consciousness,
Community Contribution
· ·
Interactivity Emotion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 ·
Accessibility Walkway or Proximity to Road,
Visual Exposure at Entrance,
Visibility of Guide Signs
· · ·
Openness Expansion of Space through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pen by Transparent Material,
Space Variability
· · ·
Pleasantly A Positive Environment for
Physical and Mental Needs
· ·
Diversity Diversify Behavior with
Different programs,
Accommodating Users from
Various Classes
· · ·
Safety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 ·
Individuality Functional Independence in
Space Use
·
Sharing Sharing of Space between
Users and Programs
·

광주광역시 마을커뮤니티공간은 주민들의 필요에 의해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2016년부터 총 47개소(마을커뮤니티공간 조성사업, 2021년 기준)가 조성되었다. 마을커뮤니티공간 사업 외에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 ,생활 SOC 복합화 등 동 단위 커뮤니티공간의 물리적 공간 조성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물리적 공간 조성 측면에서의 양적 공급으로 운영관리 미흡, 유휴공간 변질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광주광역시에서는 물리적 공간 조성 사업을 축소하고 공간 운영관리 초점을 둔 공간 활성화 사업으로 전환하여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지원사업을 통한 정책 개선은 마을커뮤니티공간의 본질과 자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므로 현대사회의 구조에 맞는 공간으로 기능과 역할 재정립을 통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3)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기존의 권위적이고 공동체 중심 커뮤니티는 개개인이 존중되는 커뮤니티로 변화되었으며, 이러한 커뮤니티의 변화는 마을커뮤니티공간의 기능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 개인에게 제3의 장소로서 의미를 가진 공간이 그 개인들이 모여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마을커뮤니티공간으로서 역할과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즉 1인가구는 주거공간에서 소유할 수 없는 기능의 공간들을 공동으로 이용하므로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친밀한 이웃 관계망을 형성하고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한다(An, 2022).

이에 본 연구는 마을커뮤니티공간을 제3의 장소로서 의미 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3.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

앞선 <Table 1>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가구 공간 니즈와 선행연구에 의한 제3의 장소와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을 <Figure 1>과 같은 과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F1.jpg
Figure 1.

Process of Deriving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munity Space as a Third Pla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1인가구 공간 니즈를 충족하며 마을커뮤니티공간의 기능을 갖되 제3의 장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을 편의적 접근성, 개방적 영역성, 유희적 다양성으로 도출하였다.

편의적 접근성은 1인가구의 일상동선 내 쉽게 이용가능하게 하며 자주적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지리적 위치를 의미한다. 이는 에너지 및 시간을 줄여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F2.jpg
Figure 2.

Convenience Accessibility

개방적 영역성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간이므로 공간의 가변적 요소를 통해 자유로운 공간 이용을 지원하되 1인가구의 개인영역을 확보하여 이용자의 자율적 선택에 따라 휴식, 소모임, 공동체 등의 공간을 지원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F3.jpg
Figure 3.

Open Territoriality

유희적 다양성은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이 1인가구의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매개 공간의 역할로 대화 이상으로 놀이적 행위, 문화・여가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흥미로운 경험과 즐거움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스스로 생활 만족감을 높이며, 더 나아가 이용자들의 연대감을 높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F4.jpg
Figure 4.

Playful Diversity

이에 도출된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특성별 공간 기능 및 표현요소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Village Community Space as a Third Pla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Characteristic Space Function and Space Representation
Convenience
Accessibility
A-1 Space Functi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parking lots,
ramps, etc.
A-2 Space
Representation
Location close to living
infrastructure
Open
Territoriality
B-1 Space Function Space configuration for
individuals, small groups of 2-3
people, or large groups of
people
B-2 Space
Representation
Variable elements available
depending on user purpose
Playful
Diversity
C-1 Space Function Space composition that
supports playful experiences
C-2 Space
Representation
Device elements that support
variou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의 지리적 범위는 광주광역시 동구이며, 공간적 범위는 마을커뮤니티공간 ‘마을사랑채’로 선정하였다. 이는 전국 1인가구 비율(33.4%)보다 더 높은(41.6%, 2021년 기준) 지역으로 문화복지 서비스가 부족한 노후 저층주거지이다. 이에 마을사랑채를 매개로 1인가구를 위한 프로그램 및 공간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1인가구의 특성이 잘 나타날 것으로 사료 되어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조사대상은 2019년부터 현재(2022년)까지 조성된 마을사랑채 8곳을 모두 선정하였다.

2. 조사내용

본 연구는 앞선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커뮤니티공간에서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현장방문과 문헌조사를 통해 <Table 3>의 각 특성별 요소를 강(50~100%), 중(30~50%), 약(30% 미만)으로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에서 나타난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의 두드러진 특성을 분석하여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V. 사례분석

1. 사례분석

사례별 분석 내용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Case Analysis

CASE. 1 CASE. 2 CASE. 3 CASE. 4
Location 68, Donggye-ro (4F) 5-42, Mudeung-ro
449beon-gil
63, Jisan-ro 16, Bamsil-ro 4beon-gil
Scale about 150 m2 about 94.26 m2 151.56 m2 149.36 m2
Operating
time
Mon~Fri 9:00~18:00 Mon~Fri 9:00~18:00 Mon~Fri 9:00~18:00 Mon~Fri 9:00~18:00
Con-
venience
Accessi-
bility
A-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jpg
Convenient access
to bus stop,
parking facility,
and elevator.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jpg
A bit far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Public parking lot
provides convenience
when using a vehicl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jpg
It is located in a place
with easy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but there is a lot of
traffic.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jpg
Securing parking space
and improving mobility
with ramps
A-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5.jpg
Adjacent to daily life
service facilities such as
cafes, supermarkets,
and side dish store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6.jpg
Located in a dead-end
alley in a densely
populated low-rise
residential area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7.jpg
Adjacent to living service
facilities such as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cafes,
restaurants, and bank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8.jpg
Adjacent to the senior
center and small library.
Somewhat far from living
service facilities
Open
Terri-
toriality
B-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9.jpg
Form some spaces into
personal areas with steps
and furniture, and create
multi-purpose space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0.jpg
Constructed with a focus
on space used by many,
personal space is not
secured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1.jpg
A single composition is
created through the unity
of the floor and ceiling,
and no private areas
appear.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2.jpg
The space is organized
with a focus on
community users,
with a multi-purpose
space as the center.
B-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3.jpg
Use folding doors instead
of walls. Supports use
for the majority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4.jpg
Movable furniture makes
it easy to utilize space,
but there is a lot of
furniture compared
to the area.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5.jpg
Space size and structure
are fixed. Configuration
of mobile furnitur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6.jpg
Space can be expanded
using folding doors.
Only community
areas appear
Playful
Diversity
C-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7.jpg
A shared kitchen and
library space are
provided.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8.jpg
Providing a playful
experience through
cooking activities
using a shared kitchen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19.jpg
Stage and shared
kitchen in
multi-purpose spac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0.jpg
Provides a variety of
cooking-related programs
utilizing shared kitchens
C-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1.jpg
We provide books and
support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2.jpg
We support activities
using books, beam
projects, and
speaker equipmen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3.jpg
Building karaoke facilities
and creating a stage
space. Unable to use
space freely due to piled
up furnitur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4.jpg
Support for craft-related
recreational activities
using sewing machines.
Furniture and
fixtures are not
organized
CASE. 5 CASE. 6 CASE. 7 CASE. 8
Location 1-1, Nammun-ro 634beon-gil 1, Hwasan-ro 337beon-gil 18-6, Jebong-ro 17beon-gil 6, Uijae-ro 43beon-gil
Scale 221.48 m2 122.3 m2 90.9 m2 168.5 m2
Operating
time
Mon~Fri 10:00~17:00
Sat 13:00~17:00
Mon~Fri 9:00~18:00 Mon~Fri 10:00~18:00
Holiday 10:00~12:00
Mon~Fri 09:0 ~18:00
Con-
venience
Accessi-
bility
A-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5.jpg
It is connected to a
level-free pedestrian
path. Parked at the
front of the building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6.jpg
Easy access as it is
adjacent to the
bus stop and has
a public parking lo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7.jpg
Located inside the
market, it is not
on the main route and
difficult to find spac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8.jpg
Located inside an
alley, accessibility is
somewhat low,
with access to the
second floor via stairs
A-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29.jpg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located
in an alley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0.jpg
Close to daily life
lines such as
elementary school,
pavilion, supermarket,
etc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1.jpg
It is located in a
commercial area,
so it is somewhat
off the main
pedestrian rout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2.jpg
Located in an alley,
difficult to find
without location
information
Open
Terri-
toriality
B-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3.jpg
Some bookshelves,
bar tables, coffee
machines, etc.
are placed in the
multi-purpose spac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4.jpg
Securing personal
space by placing
a table on a wall of
a multi-purpose spac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5.jpg
Each space has
a small area and is
closed due to
overcrowding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6.jpg
Configure a portion
of the space as a
personal area
where you can read,
rest, etc
B-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7.jpg
Furnitu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including folding
doors, groups, and
individual piece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8.jpg
Furnitu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including folding
doors, groups, and
individual piece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39.jpg
The space is divided
by walls, making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pace inflexibl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0.jpg
Separated shared kitchen,
multipurpose space and
Dong-gu Book Garden
divided into sitting and
standing areas
Playful
Diversity
C-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1.jpg
Inducing interest through
event-style cooking
activities using shared
kitchen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2.jpg
Areas were divided with
carpets and darts, Legos,
etc. were used, but these
have now disappeared.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3.jpg
Exhibits the history
of a place and provides
a place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plac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4.jpg
A library space and
a shared kitchen are
provided to provide
playful experiences
related to books and
cooking activities
C-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5.jpg
Coffee is provided
with a coffee machine,
but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it is
available or no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6.jpg
Provides playful activities
with device elements
such as darts,
Legos, and book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7.jpg
Consists mainly of
static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on a tabl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housing/2024-035-02/N0450350204/images/Figure_khousing_35_02_04_T4-48.jpg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such as
books, movie
screenings using beam
projects, and reading.

Strongness (50~100%) : ●, Middle (30~50%) : ◐, Weakness (Less than 30%) : ○

2. 소결

본 연구는 각 특성별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현황분석 분석하였으며, 이를 소결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사랑채의 구성은 다목적공간, 공유부엌, 도서공간으로 유사한 공간 구성을 보이며, 이는 도서공간 등을 활용하여 공간운영 재원을 위한 타 사업과의 연계를 위한 노력으로 보여진다. 1인가구를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 특성 중 유희적 다양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적 접근성, 개방적 영역성은 낮게 나타났다.

편의적 접근성은 교통 및 보행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특히 1인가구의 생활서비스인 마트, 빨래방, 카페, 반찬가게 등 일상 동선 내 위치하여 자연스러운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동선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CASE 2, 8의 경우 노후주거지의 지리적 특성상 골목에 위치하여 다소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적 영역성은 다수를 위한 공간인 다목적공간에서 주로 나타난 반면 다소 소극적으로 다목적공간 일부를 개인영역으로 구성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딩도어나 이동식 또는 비정형 가구를 활용하여 이용의 목적에 따른 자율적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이는 대부분이 1인가구보다 다수를 위한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적 다양성은 식문화 커뮤니티, 책 문화활동 등 공유부엌과 도서공간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1인가구 또는 취약계층을 위한 반찬 배달 서비스, 김장 등을 제공하여 유희적 체험보다는 복지 측면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이점으로 CASE 7의 경우 옛 철도 관사를 리모델링한 공간으로 전시관을 구성하여 간접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V. 결 론

본 연구는 1인가구 급증과 변화된 커뮤니티에 따른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은 개인 또는 2-3인, 다수 이용자가 일상적으로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심적 휴식 뿐 아니라 자연스럽게 사회적 교류할 수 있는 반공적, 반사적 공간으로 재정의할 수 있다. 기존 마을커뮤니티공간은 공동체 중심의 공간으로 조성되어 유연한 연대감으로 변화된 커뮤니티를 적용한 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향후 핵심 가구가 될 1인가구는 적절한 익명성과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안전한 영역을 선호하며, 이를 반영한 타인과 유연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제3의 장소로서의 마을커뮤니티공간으로 구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편의적 접근성은 1인가구의 생활 서비스와 연계하여 상시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하여 익숙한 공간으로 인지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1인가구가 필요한 생활 서비스인 공유물품대여, 빨래방, 반찬 가게 등을 인접한 위치 또는 마을커뮤니티공간 내 구성하여 접근의 편의 및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유희적 다양성은 요리, 도서 외 다양한 문화・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유희적인 공간 또는 장치요소들을 적극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공유부엌을 통한 식문화 커뮤니티뿐 아니라 1인가구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유희적 체험으로 삶의 재충전 시간을 제공하며, 심리적 안정 및 편안함으로 공간의 체류 시간 및 재방문율을 높여 정부에서 지향하는 사회적 가족 형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커뮤니티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제3의 장소로서 마을커뮤니티공간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마을커뮤니티공간 활용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한계점으로는 마을커뮤니티공간을 이용하는 1인가구의 세부분류에 따른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선호도 및 인식 등의 설문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광주광역시 동구라는 지역적 한계가 있어 지역적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3년도 조선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이 논문은 2023년 (사)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References

1

An, E. S. (2022). A Case Study on Private Community Space : Focusing on the changes of "Maeul Bookcafe NAMU" in Uijeongbu-si, Gyeonggi-do,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ungkonghoe, Seoul, Korea.

2

An, S. Y. (2021).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esign of the Public Library's Space Program Based on the Concept of 'Third Plac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nkuk, Seoul, Korea.

3

Choi, Y. H. (2020). A study on the third place and the experience of Korean elderly.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4

Ishiyama, N. (2022). Local discovery-Third place and related population, The Possibility Lab.

5

Jeon, J. H. (2020). A study on community space planning for active senior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Daejin., Gyeonggi, Korea.

6

Jeong, J .W. (2022). The challenges,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the Gangnam-gu one-person household community center. KRIHS, planning and policy, 489(7), 37-43.

7

Jeong, S. W. (2022). Planning of Community Center Considering Single-person Household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nkuk., Seoul, Korea.

8

KBResearch (2020). One-person Households Report 2020.

9

Kim, E. H., & Moon, J. M. (2022). A study on design plan for Activation of village community space. Korea Insti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Design Research, 7(2), 96-105.

10.46248/kidrs.2022.2.96
10

Kim, J. H. (2018). A study on the third place of co-working spac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ongik, Seoul, Korea.

11

Kim. E. J. (2020). A study on the design of multi-purpose space for community improvement in community service center : focused on the case of Dobong-gu,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ang, Seoul, Korea.

12

Ko, S. J., An, Y., Hwang, N. H., Lee, A. Y., & Choi, H. S. (2023). Prevention of lonely deaths by 2022 Fact-finding researc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3

Lee, J. M. (2021). The Type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as a Social Infrastructure to Revitalize a Loc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16(3), 169-178.

14

Moon, H. N., & Song, N. K. (2020). Influence of Living Infrastructures on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Quality of Life. Seoul Studies, 21(4), 163-181.

15

Opensurvey (2022). Single-person household trend report.

16

Park, S. H., Kim, S. H., & Hwang, S. W. (2013) Community Space Guidebook . Seoul Village Community Support Center.

17

Park, S. Y. (2021). A Study of the Tendencies of Bookstore Space Design as 'The Third Plac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Korea.

18

Ryu, H. J. (2022). A study on "The third place" for young adult independent households : based on Ray Oldenburg's theory.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Yonsei, Seoul, Korea.

19

Trendmonitor (2022). Assessing awareness of club activities and human relationships. Retrieved from https://www.trendmonitor.co.kr/tmweb/trend/allTrend/detail.do?bIdx=2438&code=0401&trendType=CKOREA#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