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노인주거디자인 국내외 연구동향 비교 :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과 KCI-Korean 저널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Abstract
In aging society, providing comfortable and optimized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s essential task for policy makers, designers, and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housing design for the elderly, both domestically in South Korea and in international, in order to propose a future research and a strategy for the research community. For this goal, we analyzed research document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databases, using VOSviewer software for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ies categorized as follows: (a) systems, services, and technologies, (b) care and health, (c) illness and life of the elderly (dementia, depression, etc.), and (d) macroperspective (population, project, government,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domestic studies were categorized as (a)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environment, (b) studies on elderly care facilities, (c)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or the elderly, and (d) user needs and design elements.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those of domestic research tended to lack convergence of diverse areas and interest; thus, expansion of research interest towards more diverse disciplines including technology, health, medicine, nursing, and policy is necessary. The results provide insight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the aging society of South Korea.
Keywords:
Elderly Residential Design, Co-occurrence Analysis, VOSviewer, Research Trend키워드:
노인주거디자인, 동시출현단어, 연구 동향I.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베이비부머들이 점차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세계 고령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은 동아시아에서는 인구의 고령화가 여러 사회경제적 부담, 즉 생산성 감소, 연금 증가, 돌봄 인력의 증가 등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은 일, 사업 등 야외 활동이 줄어들면서 삶의 중심이 가족 활동으로 이동하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주거공간에서의 생활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는데, 이에 노후 주거설계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Kim & Choi(2008)는 노년기가 인생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되는 중요한 시기로 노인들의 독립성 유지, 안락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주거공간의 질적 환경이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Ryu & Yang(2010)은 우리나라의 대가족제도의 해체와 부모부양에 대한 의식 변화 등으로 노인주거문제가 이슈가 되고 있으며 좀 더 다각적인 접근에 기반한 사회·공간적 서비스와 주택공급에 관련된 정책들이 추진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Son et al.(2014)은 공간디자인이 사용자의 심리적·정신적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노인들의 경우 이러한 공간디자인에 의해 심리적·정신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노인층의 삶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주거는 노년 삶의 질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써, 고령화 사회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주거 정책수립과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까지 진행된 국내 노인주거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노인주거 전반에 걸쳐 시기별, 주제별 연구의 경향을 파악한 연구들(Jung & Jung, 1996; Ryu & Yang, 2010), 노인공간디자인에 관한 경향(Min & Lee, 2020) 등이 있다. 보다 세부적인 주제로는 노인 주택개조 관련한 연구경향(Park et al., 2017; Lee & Yoo, 2019, 공간디자인 요소 중 노인색채와 관련한 연구경향(Son et al., 2014; Kim & Kim, 2018), 그리고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헬스 케어 디자인의 연구경향(Lee et al., 2019; Lee, 2020)이 있다. 또한 노인 요양시설 공간구성의 연구동향(Oh, 2017)을 파악하거나 치매노인 대상의 주거환경 연구동향(Cha & Lee, 2020)을 다룬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들은 주제별로는 노인주거, 노인 공간디자인, 노인대상 헬스케어디자인, 노인색채, 노인요양시설, 치매노인주거 등으로 요약할 수 있고 전반적인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경향과 더불어 보다 세부적인 주제를 대상으로 노인주거디자인의 연구경향을 파악한 연구들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체계적 분석과 정리에 따른 노인주거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는 ‘노인주거’라는 연구주제에 접근하는데 기반이 되며 해당연구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정보를 체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노인주거 연구동향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 국내 연구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국제적인 흐름 속에서 연구주제의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정보화기술을 바탕으로 빅 데이터에 기반을 둔 정보습득이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어 이들 정보를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체계화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에 따른 분석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한국의 노후 주거 디자인 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과 세계 다른 국가들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세계 및 한국의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현 단계에서 기존의 노인주거디자인 연구 동향을 국내, 국제로 구분하고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VOSviewer 프로그램을 통한 동시출현단어 분석(co-occurrence analysis)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향후 노인주거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노인주거디자인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에서 출판된 연구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주제와 형식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Web of Science (WoS) 웹사이트에서 검색하였다. WoS는 Clarivate Analytics가 제공하는 인용색인 웹 데이터베이스로 그 중 Core Collection은 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SCI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 A & HCI (Art & Humanities Citation Index), ESCI (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WoS에서는 국내 논문인 Korea Citation Index (KCI) 저널도 검색이 가능하다. 이에 WoS에서 Core Collection (해외)과 KCI-Korean Journal (한국국내)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대상 데이터를 획득한 후 연도별, 국가별, 연구 분야별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후 획득한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 프로그램인 VOSviewer를 사용하여 키워드 동시출현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주제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II. 이론적 배경
1. 한국 고령화 상태
2020년 기준 한국의 총 인구는 51,829,136명이며,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8,287,243명으로 전체 인구의 15.98%에 육박하였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추세를 보여 2025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1)에 따르면 기대수명은 84.2세인데, 이는 2050년 88.2세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노인 여성의 경우 90.1세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한국국가통계청, 장래 기대수명/전국).
UN의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자료에 의하면 2020년 한국의 중위 연령은 43.7세이다. UN의 World Median age 데이터와 비교해 보면 세계 전체 중위연령이 30.9세, More developed regions (선진국)의 중위연령이 42.0세로, 한국은 훨씬 높은 수치로 가파르게 중위연령이 높아지고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9) <Figure 1>.
한국의 인구 고령화는 의료기술 발전과 사회 복지 정책 등으로 노인의 수명이 향상된 배경 뿐 아니라, 저 출산율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UN의 2019년도의 Crude Birth Rate 보고2)에 의하면, 비록 전 세계 인구 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한국의 출산율은 세계 평균은 물론, 선진국 평균 출생률을 크게 밑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5년을 기점으로 더욱 낮아지고 있다<Figure 2>.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의 미래 인구구조 전망3)에 따르면, Pyramid/900 2050년의 세계와 한국의 평균 인구구조 분포를 비교했을 때 세계 인구구조도는 뒤집힌 팽이 모양, 한국의 인구구조도는 팽이모양으로 형태가 크게 차이가 날 것이라고 한다. 세부사항을 관찰해 보면 <Figure 3>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한국은 수명의 증가와 저 출산율로 인해 앞으로도 고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노인주거디자인의 중요성
유엔은 1982년 고령문제 세계총회를 개최하여 주거관련 62가지의 이슈를 담은 ‘Vienna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고령문제 빈 국제행동계획)을 발표하였는데 건강과 영양, 노인 소비자 보호, 주택과 환경, 가족, 사회복지, 소득보장과 취업, 교육 및 연구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위한 구체적 액션을 취할 것을 촉구하였다.4)
주거는 위 회의에서 제기된 문제들 중 하나로 고령화 사회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노인의 생활특성과 여가시간 이용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Kim & Kim(2019) 등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 노인들은 TV등의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 시간이 매우 많다. 한국 통계청이 2019년 발표한 연령별로 하루를 보내는 평균시간을 보면,5) 65세 이상은 가족관리·문화레저 활동시간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히 높고, 이동시간은 현저히 낮아 전체적으로 주거·여가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Table 1>. 이에 노인주거설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3. 동시출현단어 분석 Co-Occurrence Analysis
Grivell(2002)의 연구에 따르면 동시출현단어(Co-Occurrence)란 정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텍스트마이닝 방법 중 하나로, 텍스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를 분석해 해당 분야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분석에 사용되는 텍스트는 제목, 저자, 키워드, 요약(초록)이다. 이 방식은 기존의 정보학 분야 뿐 아니라 환경 분야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Li & Pu(2016)의 도시설계의 영문 문헌에 대한 현황연구, Lee & Yoo(2019)의 한국의 장애인 공간 연구 경향, Kim et al.(2013)의 키워드를 통한 주거문화 분석 등의 논문이 있다. 또한 Lee et al.(2019)등은 산지하천에 대한 국내 국제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WoS의 데이터를 사용한 논문으로는 Cabeza et al.(2020)의 건물의 에너지 효율과 기후 영향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연구자들은 고급 검색 코딩 방식을 적용하여 같은 주제를 WoS와 다른 인용색인 웹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에서 비교 분석하고 그 차이와 트렌드를 파악하는 단계별 검색을 진행하였다. Zhao et al. (2019)은 WoS 데이터를 통해 스마트시티 분야의 지식영역 매핑을 진행하였다.
데이터 검색의 경우 Cabeza(2020)등이 검색 인코드를 이용해 분포 검색을 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연구들에서는 대체로 일반 검색으로 데이터를 얻었다. 일반검색이란 검색어로 1회 이상 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분포검색이란 편집한 검색코드를 거쳐 단계별로 출현하는 단어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검색을 사용하였다.
III. 연구 방법
1. 검색 대상
검색대상은 노인주거디자인에 관련된 연구들을 국내 KCI(Korea Citation Index)논문과 이와 일치한 주제들의 연구들을 비교하기 위해, 권위있는 국제 논문 라이브러리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사용한 국제 논문 라이브러리는 WoS의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으로 A&HCI (1990-현재), ESCI (2015-현재), SCI-Expanded (1990-현재)와 SSCI (1990-현재)의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였다. 국내 논문 라이브러리는 1980년부터 현재까지의 KCI Journal 학술지 데이터베이스로 하였다. KCI는 한국연구재단에서 관리하며 한국에서 출판된 학술 문헌에 대한 서지 정보를 포함한다. WoS에서는 KCI논문의 영어제목, 영어키워드, 영문초록 등이 검색 가능하다. KCI논문을 WoS에서 검색한 이유는 국내와 국제논문의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한국어와 영어로 검색하여 비교할 경우, 언어의 차이로 인해 검색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하고자 영어로 모두 검색하였다.
2. 검색 절차
검색어 선정과 절차에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WoS 논문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문헌은 모두 영문 문헌이기 때문에 검색 과정에서 영어를 키워드로 활용해 검색해야 한다. 이때 언어적 특성과 WoS 사이트 알고리즘 문제로 인해 다른 분야의 연구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데이터 노이즈라고 한다. 예를 들어, ‘건축’에 대응하는 영어는 Architecture인데, Architecture는 “구조 아키텍처”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검색 결과에서는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아키텍처), Software Architecture (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검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키워드는 수집해야 할 분야와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데이터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한 최적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검색어는 단일 단어보다는 2개 이상이 결합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Design”이라는 단어는 디자인 학과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의료 연구의 실험 설계에도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어는 두 개 이상 조합된 어구를 “ ”(큰따옴표) 부호로 묶는 방식이 주제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다.
- (2) 노인주거디자인은 노인이라는 한정된 대상의 사람과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즉 본 연구의 노인주거디자인의 “노인”은 “주거 디자인”의 대상 군으로, “주거”는 “디자인”의 전문적인 방향성을 한정한다. 각 국별 전문 어휘에 대한 표현과 번역이 조금씩 다르기에, 보다 포괄적인 WoS의 영문 자료 획득을 위해 ‘노인주거’는 노인, 고령, 양로원에 대한 영문 표현을 포함하고, ‘주거 디자인’의 경우 주거디자인, 주거환경디자인, 주거환경, 환경디자인, 주거공간디자인, 실내디자인, 건축, 조경, 건축 조경에 대한 영문표현을 포함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영문 데이터와 주제의 상관성 및 포괄성을 높이기 위해 WoS쿼리(검색공식)로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다. 여러 검색 과정의 시도 끝에 “노인” 관련 단어가 함께 검색될 경우, 검색 결과에 의학 관련 논문들이 많이 나타남을 발견하였으므로, 주제에 적절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세 단계로 나누어 1단계에서는 ‘주거’ 관련, 2단계는 ‘디자인’ 관련, 3단계는 공간사용 대상자인 ‘노인’ 관련 키워들들로 단계별로 검색하였다.
각 단계별로 사용한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 절차와 연구의 흐름은 <Figure 4>와 같다. 검색어에서 *는 어떠한 글자가 있음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apple*이라 적으면 단수인 apple과 복수인 apples 가 모두 검색된다.
3. 분석 내용
WoS 사이트의 Core Collection과 KCI-Korean Journal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은 문헌 데이터(제목, 저자, 키워드, 요약(초록), keyword plus)를 바탕으로 수집된 국내국제 연구논문의 연도별, 분야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VOSviewe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국내 국제논문의 텍스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들을 살펴보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4. VOSviewer 소프트웨어
동시출현분석에 사용하는 분석 소프트웨어로는 VOSviewer 또는 CiteSpace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VOSviewer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과학지식지도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과학연구센터(The 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CWTS)의 Van Eck와 Waltman이 2009년 개발한 JAVA 기반 소프트웨어이다.7) 네트워크 데이터의 관계 구축, 가시화분석을 통해 과학지식 지도를 그리고 지식 영역의 구조, 진화, 협력 등의 관계를 나타내므로, 대규모 데이터에 적합하다.
IV. 연구 결과
1. 검색된 논문 수량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에서 2021년 8월 16일까지 검색되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1단계 검색 결과(‘주거’ 관련 용어) 총 63,431편의 문헌데이터를 확보하였고, 2단계 검색결과(‘주거’ 검색결과에 ‘디자인’ 관련 단어를 추가) 총 1,793편의 문헌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3단계 검색결과(‘주거’, ‘디자인’ 검색결과에 ‘노인’ 관련 단어를 추가) 총 288편의 문헌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이에 위에 만든 쿼리를 응용한 검색은 ‘노인주거디자인’를 주제방향으로 총 288건의 문헌을 획득하였다.
국내연구물인 KCI는 WoS Core Collection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검색 절차와 검색어 인코딩을 사용한다. 1단계 검색 결과 총 6,444편을, 2단계는 총 308편을, 3단계는 총 57편의 문헌데이터를 획득하였다.
2. 국제논문의 국가별 현황
획득한 논문을 다국적 연합의 연구가 겹치는 국가를 포함해 연구기관 상위 20개국을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노인주거설계 관련 연구는 미국이 50편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중국 (36편), 3위는 영국 (29편), 한국은 13편으로 세계 공동 8위를 차지하였다.
3. 연도별 분석
획득된 국제와 국내 연구목록을 출판 연도별로 살펴보았다. WoS에서는 1991년부터의 자료들을 검색대상으로 하므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의 년도별 출판수를 <Figure 5>로 나타내었다. 국제논문 중 최초의 연구가 출현한 년도는 1994년이었으며, 2009년도까지는 매년 0~4편씩 유동적으로 소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2010년부터는 2012년을 제외하고는 10여편씩 출판되었고, 2015년 이후는 2016년의 17편을 제외하고는 22편 이상씩 출판되었으며, 2018년 이후는 37편 이상씩 출판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상승세가 이어짐을 알 수 있다.

Amount of Research About Residential Design for the Elderly in Web of Science’s Core Collection Research Quantity
WoS 사이트에 기록된 KCI-Korean Journal의 국내논문들은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03년 데이터가 없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1~6편의 KCI 논문이 검색되었다. 국제 논문이 점차 상승세를 보여주는 것에 반해 국내 논문은 년도별로 소량이 검색되며 특별한 상승세나 하락세의 패턴이 뚜렷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Figure 6>.
4. 연구 분야별 분석
다음으로 국제, 국내의 연구 분야별 분석을 시행하였다. WoS Core Collection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WoS에서 자동으로 분류하는 분야별 분포를 보면, 본 분석 결과로 나온 논문들의 연구 분야는 <Table 3>과 같다. 논문의 연구 방향이 서로 중첩될 수 있지만, 공학 분야가 가장 많고, 컴퓨터 과학, 노년학, 공공환경 직업 건강, 환경과학생태계, 텔레커뮤니케이션, 건설기술, 계측, 화학, 도시 연구, 건축 등이 뒤를 이었다. 건축은 10위권에 들어있지 않았고 디자인 분야는 검색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의 발전 및 학문 융합으로 노인주거디자인 분야의 연구가 융합, 확장되고 있음과 동시에 지능화 관련 연구가 많아지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과학을 활용한 노인주거디자인을 연구한 Convergence Research Directions in Cognitive Sensor Networks for Elderly Housing Design (Suh et al., 2015), 환경과학을 활용한 주거연구인 Wood and Its Impact on Humans and Environment Quality in Health Care Facilities (Veronika et al., 2019)가 있다. 아울러 환경 디자인 외에 노년학, 간병과 건강 등 생리적, 기술적 연구가 일정한 방향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WoS에서 자동으로 분류된 KCI 논문 데이터의 연구 분야를 살펴보면, 예술인문 분야 20편, 기술관련 11편, 건축 관련 10편, 공학 분야 8편 등의 네 가지 주요 방향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분야는 예술 관련을 제외하고는 모두 1편에 불과하였다<Table 4>.
국제연구에 비해 국내연구는 주로 예술 인문, 과학 기술, 건축 분야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WoS에서 자동으로 제공하는 다른 분류법인 KCI-KJD Categories 분류에 의하면, 디자인 분야 20편, 건축공학 분야 10편, 생활과학 분야 9편, 공학 분야 8편, 예술 분야 2편의 연구논문이 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논문들의 분야는 디자인, 건축 공학, 생명 과학 등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5>
5. 동시출현단어 분석
Co-occurrence 분석을 위해 상기에서 검색된 노인주거디자인 관련 국제 288개의 논문과 국내 57개 논문의 데이터들(제목, 저자, 키워드, 요약, Keywords Plus)를 VOSviewer 소프트웨어로 각각 불러왔다. Keywords Plus란 WoS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논문 제목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된 색인 용어를 말한다. 키워드의 출현기준은 최소 5회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국제 논문의 경우, 텍스트 분석을 통해 총 8,286개의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73,622개의 링크가 형성되었다. 이 중 5회 이상 출현기준에 부합된 단어들은 599개였으며 최적화를 거쳐 <Figure 7>과 같은 4개의 어휘그룹을 생성하였다.
각 그룹에 속한 용어수가 많았으므로 출현 횟수(occurrences) 순위를 매겨 상위 20위 안에 드는 단어들을 정리하였다<Table 6>. 그 결과, 그룹 1의 어휘 집단군의 연구 경향은 “시스템, 서비스, 기술”, 그룹 2는 “돌봄 및 건강”, 그룹 3은 “질병과 노인의 삶 (치매, 우울 등)”, 그룹 4는 “거시적 관점(인구, 프로젝트, 정부, 민관협력)”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국내 데이터의 경우 총 1,740개의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3,767개의 링크가 형성되었다. 이 중 5회 이상 출현기준에 부합된 단어들은 116개였으며 최적화를 거쳐 <Figure 8>과 같은 4개의 어휘그룹을 생성하였다.
국제 논문 데이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출현 횟수(occurrences) 순위를 매겨 상위 20위 안에 드는 단어들을 정리하였다<Table 7>. 그룹 별 어휘를 종합해보면 그룹 1은 “주거환경특성”, 그룹 2는 “노인요양시설연구”, 그룹 3은 “노인을 위한 건축 및 실내디자인”, 그룹 4는 “사용자 요구 및 디자인요소” 연구 성향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WoS Core Collection과 KCI-Korean Journal의 같은 주제와 검색 코드에서 얻은 데이터를 보면, 동시출현단어 분석으로 파악한 연구 주제의 그룹들은 국제와 국내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8>과 같이, 국제연구의 경향은 1.시스템, 서비스, 기술, 2.돌봄 및 건강, 3.질병과 노인의 삶 (치매, 우울 등), 4.거시적 관점(인구, 프로젝트, 정부, 민관협력)이다. 반면 국내논문의 기존 연구 경향은 1.주거환경 특성, 2.노인요양시설 연구, 3.노인을 위한 건축 및 실내디자인, 4.사용자요구 및 디자인 요소이다.
국내 연구들보다 국제 연구들이 과학기술과 융합에 더욱 집중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기계 학습 기술을 통한 주거환경에서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Delmastro, F et al., 2020)와 가상현실을 이용한 요양시설에서 우울증 및 기분의 치료방법 연구(Zhai, K et al., 2021)이다. 국제적으로 노후 주거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다른 분야와 융합되어 기술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그룹 2는 건강한 노인, 그룹 3은 취약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제였으나, 전반적으로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알 수 있다. 그룹 4는 비교적 거시적으로 정부와 사회단체의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책 연구를 통한 노인주거환경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연구들은 국제 연구들에 비해 각 그룹의 주제가 노인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인다. 그룹 1은 환경, 집, 안전, 서비스, 커뮤니티 등 주거환경의 특성을 주로 다룬 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룹 2는 노인들이 단체생활을 하는 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것 위주이다. 그룹 3은 색채·건축·실내 디자인 등 공간 설계에 대한 연구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다룬 것들이다. 그룹 4는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와 디자인 요소에 집중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국내 연구보다 국제 연구 범위가 넓고, 학문적 융합성이 높았다. 한국의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연구는 구체적인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로 연구의 융합다양성은 국제 연구에 비해 적다고 하겠다. 최근 20년간 국내의 관련문헌을 대상으로 노인의 시지각 특성과 관련된 공간디자인의 연구경향을 파악한 Min & Lee(2020)의 연구에서는 분석대상 논문에서 키워드를 추출, 정리하여 분석하였는데,8) 키워드는 ‘노인요양시설’이 가장 많았고, ‘유니버설디자인’, ‘치매’, ‘치매요양시설’, ‘노인주거시설’, ‘노인주거’, ‘색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논문에서 나타난 결과에서처럼 주거 및 시설의 건축 및 디자인 측면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제가 많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거주환경으로서 노인주거가 단순히 물리적 하드웨어 뿐 아니라 서비스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V. 결 론
본 연구는 검색코드를 통해 Web of Science에서 Core Collection과 KCI-Korean Journal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획득하여 연도별, 국가별, 분야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프로그램 중 하나인 VOSview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보학을 응용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의 경향 분석을 실행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 (1) 전 세계적으로 노인주거디자인에 대한 연구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 (2) WoS Core Collection에서 한국의 노인주거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양은 세계 10위 안에 들어 노인주거설계 관련 연구가 중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3) WoS Core Collection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국제연구들은 타 분야 과학 기술과의 융합과 확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1. 시스템, 서비스, 기술, 2. 돌봄 및 건강, 3. 질병과 노인의 삶, 4. 거시적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 (4) WoS KCI-Korean Journal 데이터베이스의 국내 연구는 비교적 구체적인 주제로 분류가 되었으며 1. 주거환경 특성, 2. 노인요양시설 연구, 3. 노인을 위한 건축 및 실내디자인, 4. 사용자요구 및 디자인 요소로 정리할 수 있다.
- (5) 국제적으로 노인주거디자인 연구의 방향은 학문의 융합 추세에 있다. 국내 논문의 데이터 검색 결과 융합 논문이 아직은 부족하므로 공학, technology, 의학, 간호 분야 등과의 융합적 연구에 관심을 두고 확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 논문의 경우 시스템, 서비스, 기술, 돌봄 및 건강 등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한 생활·복지 서비스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된 반면, 국내논문의 경우 주거 및 시설의 건축 및 디자인측면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제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서비스 측면의 연구가 다소 부족하였다. 노인을 위한 주거복지 및 정책의 방향이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주택확보 및 공급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 노인주거디자인에 있어서도 이러한 서비스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며 정부의 방향, 정책, 산업체와의 공동 연구 등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의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 속에서 한국과 국제의 노인주거디자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경향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추후 한국 국내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정보화시대에 빅데이터에 기반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탐색하고 체계화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에 따른 분석방법을 모색하여 텍스트마이닝 프로그램인 VOSviewer을 사용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시행한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로는 문헌계량의 가시화 그래프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 추이를 분석하였으나 국가별로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검색어 사용에 의한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줄이기 위해 3단계의 쿼리 분석을 시도하였으나 그럼에도 노인주거설계 분야를 일컫는 용어가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언어로 검색 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일부 데이터가 유실될 수도 있다. 추후 DBpia등의 국내용 검색사이트를 통해 검색한 결과와 WoS를 통한 본 연구의 데이터를 비교해 보는 것도 가치가 있으리라 본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2020년도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4단계 BK21 사업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으로 지원된 연구임(5120200313836).
References
-
Cabeza, L. F., Chàfer, M., & Mata, E. (2020). Comparative analysis of web of science and scopus on the energy efficiency and climate impact of buildings, Energies, 13(2), 409.
[https://doi.org/10.3390/en13020409]
-
Cha, S. M,. & Lee, H. J. (2020).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4(2), 95-103.
[https://doi.org/10.34263/jsotad.2020.14.2.95]
-
Delmastro, F., Di Martino, F., & Dolciotti, C. Cognitive Training and Stress Detection in MCI Frail Older People Through Wearable Sensors and Machine Learning. IEEE ACCESS, 2020(8), 65573-65590
[https://doi.org/10.1109/ACCESS.2020.2985301]
-
Grivell, L. (2002). Mining the bibliome: searching for a needle in a haystack?. EMBO reports, 3(3), 200-203.
[https://doi.org/10.1093/embo-reports/kvf059]
- Jung, M. W., & Jung, K. N. (1996).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housing for the elderl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11), 51-60.
- Kim, G. Y., & Choi, J. W. (2008). A Study on Preoccupancy Evaluation Methodology of Housing Design for the Elderly. Design Convergence Study, 7(2), 75-85.
-
Kim, H. M., & Kim, D. H. (2019) Stud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leisure time spending: Analyzing the data of hours of liv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9(1), 57-67.
[https://doi.org/10.18598/kcbot.2019.9.1.06]
-
Kim, J. M., & Kim, S. M. (2018).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lderly color - focused on the study on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2), 145-155.
[https://doi.org/10.18208/ksdc.2018.24.2.145]
-
Kim, Y. J., Lee, S. M., & Kim, E. B., & Park, S. Y. (2013). Analysis of trends in housing culture until the recent year since 1980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4), 104-112.
[https://doi.org/10.14774/JKIID.2013.22.4.104]
-
Lee, M. A., Park, H. K., Oh, C. O., Baek, J. W, & Kim, S. T. (2019) A meta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healthcare design in spatial design field.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7), 37-50.
[https://doi.org/10.35216/kisd.2019.14.7.37]
- Lee, M. A. (2020). A study of research trends of color-centered healthcare space design.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5(5), 37-47.
-
Lee, S. I., Seo, J. I., Lee, Y. H., Kim, S. W., & Chun, K. W.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ountain streams in the republic of korea: Comparison to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Korean J. Environ. Ecol, 33(2), 216-227.
[https://doi.org/10.13047/KJEE.2019.33.2.216]
-
Lee, S. Y., & Yoo, S. E. (2019).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remodeling -focused on design and planing research-.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2), 167-177.
[https://doi.org/10.35216/kisd.2019.14.2.167]
-
Lee, S. Y., & Yoo, S. E. (2019). Analysi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n spaces for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8(3), 289-303.
[https://doi.org/10.5934/kjhe.2019.28.3.289]
- Li, Z. M., & Pu, P. J. (2016). Research progress of the sponge city in english literature: A scientific knowledge mapping based on citespace and VOSviewer. Modern Urban Research, 7, 12-18.
-
Min, Y. H., & Lee, S. Y. (2020).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lderly space design and aging visual perception: A systematic review.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33(2), 169-178.
[https://doi.org/10.15187/adr.2020.05.33.2.169]
-
Oh, C. O. (2017).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of nursing hom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6(2), 33-44.
[https://doi.org/10.14774/JKIID.2017.26.2.033]
-
Park, J. S., Lee, Y. S., & Jang, M. S. (2017).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home modification for the elderl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6(1), 25-32.
[https://doi.org/10.14774/JKIID.2017.26.1.025]
-
Ryu, H. J., & Yang, S. H. (2010). The research trends of elderly housing - focused on journal papers since 1990 -.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5), 51-61.
[https://doi.org/10.6107/JKHA.2010.21.5.051]
- Son, H. Y., Park, Y. S., & Lee, J. S. (2014).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olor appearing in the elderly space studies.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5(5), 303-313.
- Statistics Korea official website. Retrieved from https://kosis.kr
-
Suh, S., Kim, B. S., & Chung, J. H. (2015). Convergence Research Directions in Cognitive Sensor Networks for Elderly Housing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9), 196280.
[https://doi.org/10.1155/2015/196280]
- UN (2019). Global Issues Ageing. Retrieved from https://www.un.org/en/global-issues/ageing
- UN,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9).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Online Edition. Rev. 1. Retrieved from https://population.un.org/wpp/Download/Standard/Population, /
-
Veronika Kotradyova, Erik Vavrinsky, Barbora Kalinakova, Dominik Petro, Katarina Jansakova, Martin Boles, & Helena Svobodova. (2019). Wood and Its Impact on Humans and Environment Quality in Health Care Fac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8), 3496.
[https://doi.org/10.3390/ijerph16183496]
-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Retrieved from http://images.webofknowledge.com/WOK46P9/help/ko_KR/WOS/hp_full_record.html
- Wikipedia: Co-occurrence network. Retrieved fromhttps://en.wikipedia.org/wiki/Co-occurrence_network
-
Zhai, K., Dilawar, A., Yousef, M. S., Holroyd, S., El-Hammali, H., Abdelmonem, M. (2021). Virtual Reality Therapy for Depression and Moo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Geriatrics, 6(2), 58.
[https://doi.org/10.3390/geriatrics6020058]
-
Zhao, L., Tang, Z. Y., & Zou, X. (2019). Mapping the knowledge domain of smart-city research: A bibliometric and scientometric analysis. Sustainability, 11(23), 6648.
[https://doi.org/10.3390/su11236648]